⑴ 표시통화로의 환산
재무제표는 어떠한 통화로도 보고할 수 있다. 표시통화와 기능통화가 다른 경우에는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표시통화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기능통화를 사용하는 개별기업으로 구성되는 연결실체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각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같은 통화로 표시한다.
⑵ 해외사업장의 범위
해외에 소재하는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지점을 말한다.
⑶ 환산방법(K-IFRS는 현행환율법을 적용)
기능통화가 초인플레이션 경제의 통화가 아닌 경우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기능통화와 다른 표시통화로 환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재무상태표상 자산·부채 12/31의 마감환율로 환산한다. ② 포괄손익계산서상 수익·비용 해당 거래일환율(실무상은 평균환율을 적용)로 환산한다. ③ ‘①’과 ‘②’의 환산에서 생기는 외환차이 기타포괄손익(해외사업환산손익)으로 인식한다. ④ 구체적인 사례는 제5장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 - 14. 해외소재 피투자기업에 대한 지분법적용 참조
⑷ 해외사업장의 취득으로 발생한 영업권과 공정가치의 조정액
해외사업장의 취득으로 발생하는 영업권과 자산·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공정가치 조정액은 해외사업장의 자산·부채로 본다. 따라서 이러한 영업권과 자산·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공정가치 조정액은 해외사업장의 기능통화로 표시하고 현행환율법에 따라 마감환율로 환산한다.
⑸ 해외사업장의 처분 또는 일부 처분
해외사업장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별도의 자본항목에 누계한 해외사업장관련 외환차이의 누계액(처분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은 해외사업장의 처분손익을 인식하는 시점에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한다.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종속기업을 일부 처분하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된 외환차이의 누계액 중 비례적 지분을 그 해외사업장의 비지배지분으로 재귀속시킨다. 그 외의 해외사업장을 일부 처분하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된 외환차이의 누계액 중 비례적 지분만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한다. 상기 내용은 해외종속법인에 대하여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연결분개에서 발생되는 영업권은 해외종속법인의 기능통화로 환산하여 해외종속법인의 자산으로 보아 매년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해외사업장의 환산 시 영업권 해당액도 마감환율을 적용하여 한국내 지배법인의 영업권 금액으로 환산하라는 것이다. 매년 영업권금액이 마감환율로 환산되므로 이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해외사업환산손익의 변동을 가져오고 이에 따라 비지배지분 배부해당액도 변동하게 된다.
⑹ 해외지점인 경우
- ① 2024.4.1. 한국법인 A사는 미국에 $1,000,000을 투자하여 지점을 설치하였다. 환율은 ₩1,100/$이다. ㈎ 한국본사
(차) 지 점 |
1,100,000,000 |
(대) 현 금 |
1,100,000,000주) |
주) $1,000,000 × 1,100 = 1,100,000,000 ㈏ 미국지점
(차) 현 금 |
$1,000,000 |
(대) 본 사 |
$1,000,000 |
- ② 2024.12.31. 현재 미국지점의 재무제표(단위:$)
- ③ 미국지점 재무제표의 원화환산 ㈎ 2024.12.31. 마감환율:₩1,200/$ ㈏ 2024.4.1.~2024.12.31. 평균환율:₩1,160/$ 평균환율은 상기 기간에 대한 실지 거래환율과 근접하다고 판단되었다.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⑺ 해외종속법인인 경우
- ① 2024.1.1. 한국법인 A사는 미국법인 B사의 주식 80%를 $250,000에 취득하였다. 2024.1.1.의 현물환율은 ₩1,100/$이다.
- ② 2024.1.1. 현재 B사의 재무상태표는 다음과 같다.
- ③ 2024.7.1. A사는 B사에게 $50,000을 무이자로 대여하였으며 동액은 상당기간 회수계획이 없는 순투자개념의 대여금이다. 이날의 현물환율은 ₩1,170/$이다.
- ④ 2024.12.31. B사의 재무상태표는 다음과 같다.
- ⑤ 2024.1.1.~2024.12.31. B사의 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다.
- ⑥ 2024년의 마감환율은 ₩1,200/$고, 평균환율은 ₩1,160/$이다.
- ⑦ A사의 B사 관련 회계처리(별도재무제표상) ㈎ 지배권획득 시
(차) 종속기업투자주식 |
275,000,000주) |
(대) 현 금 |
275,000,000 |
주) $250,000 × 1,100 = 275,000,000 ㈏ 장기대여 시
(차) 장기대여금 |
58,500,000주) |
(대) 현 금 |
58,500,000 |
주) $50,000 × 1,170 = 58,500,000 ㈐ 2024.12.31. ㉠ 종속기업투자주식에 대한 지분법적용 여부 원가법을 적용하여 지분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 외환차이
(차) 장기대여금 |
1,500,000주) |
(대) 외화환산이익 |
1,500,000 |
|
|
(기타수익) |
|
주) $50,000 × (1,200 - 1,170) = 1,500,000
- ⑧ B사 재무제표의 원화환산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⑨ A사 연결재무제표상 연결분개 ㈎ 자본과 투자계정의 상계
(차) |
자 본 금 |
220,000,000 |
(대) |
종속기업투자주식 |
275,000,000 |
|
자본잉여금 |
22,000,000 |
|
비 지 배 지 분 |
57,200,000주1) |
|
이익잉여금 |
44,000,000 |
|
해외사업환산이익 |
4,200,000 |
|
영 업 권 |
50,400,000주2) |
|
|
|
주1) (220,000,000 + 22,000,000 + 44,000,000) × 20% = 57,200,000 주2) 1. 영업권 $환산액 46,200,000 ÷ 1,100 = $42,000 2. 영업권 ₩환산액(마감환율로 환산):$4,200 × 1,200 = 50,400,000 ㈏ 차입·대여 상계 및 외환차이의 대체
(차) |
장기차입금 |
58,500,000 |
(대) |
장기대여금 |
58,500,000 |
(차) |
외화환산이익 |
1,500,000 |
(대) |
해외사업환산이익 |
1,500,000주) |
주) 해외종속기업에 대한 순투자에서 발생한 외환차이는 A사의 별도재무제표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나 A사의 연결재무제표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관련순투자의 처분시점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한다. ㈐ B사 당기순이익의 비지배지분해당액 대체
(차) |
이익잉여금 |
1,856,000주) |
(대) |
비지배지분 |
1,856,000 |
주) B사 당기순이익 9,280,000 × 비지배지분율 20% = 1,856,000 ㈑ 해외사업환산이익의 비지배지분대체
(차) |
해외사업환산이익 |
5,264,000 |
(대) |
비지배지분 |
5,264,000주) |
주) 26,320,000 × 20% = 5,26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