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관 직무집행법(법률 제14839호, 2017.07.26.)
제·개정일자
개정이유 및 주요 내용
부칙
오류신고
이동
전문보기
add
제1조 【목적】
add
제2조 【직무의 범위】
add
제3조 【불심검문】
add
제4조 【보호조치 등】
add
제5조 【위험 발생의 방지 등】
add
제6조 【범죄의 예방과 제지】
add
제7조 【위험 방지를 위한 출입】
add
제8조 【사실의 확인 등】
add
제8조의 2【국제협력】
add
제9조 【유치장】
add
제10조 【경찰장비의 사용 등】
add
제10조의 2【경찰장구의 사용】
add
제10조의 3【분사기 등의 사용】
add
제10조의 4【무기의 사용】
add
제11조 【사용기록의 보관】
add
제11조의 2【손실보상】
add
제11조의 3【보상금 지급】
add
제13조
인쇄
보관
제10조(경찰장비의 사용 등)
④ 위해성 경찰장비는 필요한 최소한도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① 경찰관은 직무수행 중 경찰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경찰장비(이하 이 조에서 "위해성 경찰장비"라 한다)를 사용할 때에는 필요한 안전교육과 안전검사를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② 제1항 본문에서 "경찰장비"란 무기, 경찰장구(警察裝具), 최루제(催淚劑)와 그 발사장치, 살수차, 감식기구(鑑識機具), 해안 감시기구, 통신기기, 차량ㆍ선박ㆍ항공기 등 경찰이 직무를 수행할 때 필요한 장치와 기구를 말한다.
③ 경찰관은 경찰장비를 함부로 개조하거나 경찰장비에 임의의 장비를 부착하여 일반적인 사용법과 달리 사용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생명ㆍ신체에 위해를 끼쳐서는 아니 된다.
⑤ 경찰청장은 위해성 경찰장비를 새로 도입하려는 경우에는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여 그 안전성 검사의 결과보고서를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안전성 검사에는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켜야 한다.
⑥ 위해성 경찰장비의 종류 및 그 사용기준, 안전교육ㆍ안전검사의 기준 등은
대통령령
으로 정한다.
자료보관함
shoael74님 반갑습니다.
해당 자료를 지정한 '카테고리'에 보관합니다.
기본
보관하기
메모해서 보관하기
새 카테고리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