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법률 제16256호, 2019.01.15.)
제·개정일자
개정이유 및 주요 내용
부칙
오류신고
이동
전문보기
제1장 총칙
add
제1조 【목적】
add
제2조 【기본이념】
add
제3조 【장기등기증자의 존중】
add
제4조 【정의】
add
제5조 【적용범위】
add
제6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add
제6조의 2【생명나눔 주간 지정 및 공원 조성 등】
add
제7조 【장기등의 매매행위 등 금지】
제2장 장기등이식윤리위원회및장기이식관리기관
add
제8조 【장기등이식윤리위원회】
add
제9조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add
제10조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
제3장 장기등의적출및이식등 제1절 통칙
add
제11조 【장기등의 적출ㆍ이식의 금지 등】
add
제12조 【장기등의 기증에 관한 동의】
제2절 장기등기증희망자ㆍ장기등기증자및장기등이식대기자의등록
add
제13조 【장기이식등록기관】
add
제14조 【장기등기증자 등의 등록】
add
제15조 【장기등기증희망자의 등록】
제3절 뇌사의판정
add
제16조 【뇌사판정의료기관 및 뇌사판정위원회】
add
제17조 【뇌사추정자의 신고 및 뇌사판정의 신청】
add
제18조 【뇌사판정 등】
add
제19조 【뇌사판정대상자관리전문기관】
add
제20조 【장기구득기관】
add
제21조 【뇌사자의 사망원인 및 사망시각】
제4절 장기등의적출및이식
add
제22조 【장기등의 적출 요건】
add
제23조 【장기등의 적출 시 준수사항】
add
제24조 【해부 또는 검시의 우선】
add
제25조 【장기이식의료기관】
add
제26조 【이식대상자 선정 등】
add
제27조 【뇌사판정 의사의 장기등의 적출 등 금지】
add
제28조 【기록의 작성 및 장기등의 적출사실 통보 등】
add
제29조 【기록의 보존】
add
제30조 【기록의 열람 등】
add
제30조의 2【장기등 기증ㆍ적출ㆍ이식 통계의 작성ㆍ관리】
add
제31조 【비밀의 유지】
제4장 장기등기증자등에대한지원
add
제32조 【장기등기증자 등에 대한 지원 등】
add
제33조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 등에 대한 지원】
제5장 감독
add
제34조 【보고ㆍ조사 등】
add
제35조 【시정명령】
add
제36조 【지정취소 등】
add
제37조 【폐업 등의 신고ㆍ통보 및 자료이관】
제6장 보칙
add
제38조 【협조의무】
add
제39조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 등의 명칭 사용금지】
add
제41조 【청문】
add
제42조 【장기등의 적출ㆍ이식 비용의 부담 등】
add
제43조 【수수료】
제7장 벌칙
add
제44조 【벌칙】
add
제45조 【벌칙】
add
제46조 【벌칙】
add
제47조 【벌칙】
add
제48조 【벌칙】
add
제49조 【벌칙】
add
제50조 【벌칙】
add
제51조 【자격정지의 병과】
add
제52조 【양벌규정】
add
제53조 【과태료】
add
제54조 【과태료의 부과ㆍ징수절차】
인쇄
보관
제4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9.1.15>
1. "장기등"이란 사람의 내장이나 그 밖에 손상되거나 정지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이식이 필요한 조직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신장ㆍ간장ㆍ췌장ㆍ심장ㆍ폐
나. 골수ㆍ안구
다. 뼈ㆍ피부ㆍ근육ㆍ신경ㆍ혈관 등으로 구성된 복합조직으로서의 손ㆍ팔 또는 발ㆍ다리
라.
제8조
제2항
제4호
에 따라 장기등이식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이 결정ㆍ고시한 것
마. 그 밖에 사람의 내장 또는 조직 중 기능회복을 위하여 적출ㆍ이식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것
2. "장기등기증자"란 다른 사람의 장기등의 기능회복을 위하여 대가 없이 자신의 특정한 장기등을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제14조
에 따라 등록한 사람을 말한다.
3. "장기등기증희망자"란 본인이 장래에 뇌사 또는 사망할 때 장기등을 기증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한 사람으로서
제15조
에 따라 등록한 사람을 말한다.
4. "장기등이식대기자"란 자신의 장기등의 기능회복을 목적으로 다른 사람의 장기등을 이식받기 위하여
제14조
에 따라 등록한 사람을 말한다.
5. "살아있는 사람"이란 사람 중에서 뇌사자를 제외한 사람을 말하고, "뇌사자"란 이 법에 따른 뇌사판정기준 및 뇌사판정절차에 따라 뇌 전체의 기능이 되살아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사람을 말한다.
6. "가족" 또는 "유족"이란 살아있는 사람ㆍ뇌사자 또는 사망한 자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다만, 14세 미만인 사람은 제외한다.
가. 배우자
나. 직계비속
다. 직계존속
라. 형제자매
마. 가목부터 라목까지에 해당하는 가족 또는 유족이 없는 경우에는 4촌 이내의 친족
자료보관함
shoael74님 반갑습니다.
해당 자료를 지정한 '카테고리'에 보관합니다.
기본
보관하기
메모해서 보관하기
새 카테고리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