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법(법률 제17505호, 2020.10.20.)
제·개정일자
개정이유 및 주요 내용
부칙
오류신고
이동
전문보기
제1장 총칙<개정2007.12.21>
add
제1조 【목적】
add
제2조 【소년 및 보호자】
제2장 보호사건<개정2007.12.21> 제1절 통칙<개정2007.12.21>
add
제3조 【관할 및 직능】
add
제4조 【보호의 대상과 송치 및 통고】
add
제5조 【송치서】
add
제6조 【이송】
add
제7조 【형사처분 등을 위한 관할 검찰청으로의 송치】
add
제8조 【통지】
제2절 조사와심리<개정2007.12.21>
add
제9조 【조사 방침】
add
제10조 【진술거부권의 고지】
add
제11조 【조사명령】
add
제12조 【전문가의 진단】
add
제13조 【소환 및 동행영장】
add
제14조 【긴급동행영장】
add
제15조 【동행영장의 방식】
add
제16조 【동행영장의 집행】
add
제17조 【보조인 선임】
add
제17조의 2【국선보조인】
add
제18조 【임시조치】
add
제19조 【심리 불개시의 결정】
add
제20조 【심리 개시의 결정】
add
제21조 【심리 기일의 지정】
add
제22조 【기일 변경】
add
제23조 【심리의 개시】
add
제24조 【심리의 방식】
add
제25조 【의견의 진술】
add
제25조의 2【피해자 등의 진술권】
add
제25조의 3【화해권고】
add
제26조 【증인신문, 감정, 통역ㆍ번역】
add
제27조 【검증, 압수, 수색】
add
제28조 【원조, 협력】
add
제29조 【불처분 결정】
add
제30조 【기록의 작성】
add
제30조의 2【기록의 열람ㆍ등사】
add
제31조 【위임규정】
제3절 보호처분<개정2007.12.21>
add
제32조 【보호처분의 결정】
add
제32조의 2【보호관찰처분에 따른 부가처분 등】
add
제33조 【보호처분의 기간】
add
제34조 【몰수의 대상】
add
제35조 【결정의 집행】
add
제36조 【보고와 의견 제출】
add
제37조 【처분의 변경】
add
제38조 【보호처분의 취소】
add
제39조 【보호처분과 유죄판결】
add
제40조 【보호처분의 경합】
add
제41조 【비용의 보조】
add
제42조 【증인 등의 비용】
제4절 항고<개정2007.12.21>
add
제43조 【항고】
add
제44조 【항고장의 제출】
add
제45조 【항고의 재판】
add
제46조 【집행 정지】
add
제47조 【재항고】
제3장 형사사건<개정2007.12.21> 제1절 통칙<개정2007.12.21>
add
제48조 【준거법례】
add
제49조 【검사의 송치】
add
제49조의 2【검사의 결정 전 조사】
add
제49조의 3【조건부 기소유예】
add
제50조 【법원의 송치】
add
제51조 【이송】
add
제52조 【소년부 송치 시의 신병 처리】
add
제53조 【보호처분의 효력】
add
제54조 【공소시효의 정지】
add
제55조 【구속영장의 제한】
제2절 심판<개정2007.12.21>
add
제56조 【조사의 위촉】
add
제57조 【심리의 분리】
add
제58조 【심리의 방침】
add
제59조 【사형 및 무기형의 완화】
add
제60조 【부정기형】
add
제61조 【미결구금일수의 산입】
add
제62조 【환형처분의 금지】
add
제63조 【징역ㆍ금고의 집행】
add
제64조 【보호처분과 형의 집행】
add
제65조 【가석방】
add
제66조 【가석방 기간의 종료】
add
제67조 【자격에 관한 법령의 적용】
제3장 의2비행예방<신설2007.12.21>
add
제67조의 2【비행 예방정책】
제4장 벌칙<개정2007.12.21>
add
제68조 【보도 금지】
add
제69조 【나이의 거짓 진술】
add
제70조 【조회 응답】
add
제71조 【소환의 불응 및 보호자 특별교육명령 불응】
인쇄
보관
제60조(부정기형)
① 소년이 법정형으로 장기 2년 이상의 유기형(有期刑)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경우에는 그 형의 범위에서 장기와 단기를 정하여 선고한다. 다만, 장기는 10년, 단기는 5년을 초과하지 못한다.
② 소년의 특성에 비추어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형을 감경할 수 있다.
③ 형의 집행유예나 선고유예를 선고할 때에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④ 소년에 대한 부정기형을 집행하는 기관의 장은 형의 단기가 지난 소년범의 행형(行刑) 성적이 양호하고 교정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관할 검찰청 검사의 지휘에 따라 그 형의 집행을 종료시킬 수 있다. <개정 2018.9.18>
자료보관함
shoael74님 반갑습니다.
해당 자료를 지정한 '카테고리'에 보관합니다.
기본
보관하기
메모해서 보관하기
새 카테고리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