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국회계기준원 http://www.kasb.or.kr Copyright ⓒ KAI all rights reserved.
- 1. 기업회계와 회계기준
- 1. 회계의 의의
- 2. 회계의 분류
- 3. 기업회계기준
- 4. 일반기업회계기준의 체계
- 5. 목적
- 6. 구성
- 7. 적용
- 8. 시행일
- 9. 경과규정
- 10. 시행일 및 경과규정(2011.10.5.)
- 11. 시행일 및 경과규정(2012.11.28.)
- 12. 시행일 및 경과규정(2013.10.28.)
- 13. 시행일과 경과규정(2016.10.28.)
- 2. 재무제표
- 1. 목적 및 적용범위
- 2. 재무제표의 범위
- 3.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의 일반원칙
- 4. 재무상태표
- 5. 손익계산서
- 6. 자본변동표
- 3. 당 좌 자 산
- 제1절 현 금
- 1. 의 의
- 2. 소액현금제도
- 제2절 은행예금
- 1. 은행예금의 분류
- 2. 은행계정조정표
- 제3절 금융상품
- 1. 금융상품의 범위
- 2. 금융상품의 최초인식
- 3.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최초 측정
- 4.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후속측정
- 5. 대손충당금
- 6. 금융상품의 제거
- 7. 주석 공시
- 8.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4절 채권ㆍ채무조정
- 1. 적용범위와 용어의 정의
- 2. 채권ㆍ채무조정시점
- 3. 채권ㆍ채무조정방법
- 4. 채무자의 회계
- 5. 채권자의 회계
- 4. 재고자산
- 1. 정의와 적용범위
- 2. 취득원가의 결정
- 3.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되는 항목의 결정
- 4.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 5. 기말재고자산의 평가
- 6. 분류와 공시
- 7.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5. 유가증권과 투자자산
- 1. 유가증권의 정의
- 2. 유가증권의 분류
- 3. 단기매매증권
- 4. 매도가능증권(지분증권)
- 5.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6. 투자채권
- 7. 유가증권의 재분류
- 8. 주석 공시
- 9. 조인트벤처투자
- 6. 유형자산
- 1. 개요
- 2. 최초 인식
- 3. 후속적 인식 및 측정
- 4. 차입원가 자본화
- 5. 정부보조금 회계처리
- 6. 자산손상
- 7. 무형자산
- 1. 적용범위
- 2. 무형자산의 정의
- 3. 무형자산의 인식과 최초측정
- 4. 비용의 인식
- 5. 취득 또는 완성 후의 지출
- 6. 상각
- 7. 손상차손
- 8. 폐기와 처분
- 9. 공시
- 8. 부채
- 제1절 개 요
- 제2절 부채의 분류
- 1. 상환금액ㆍ시기ㆍ대상을 모두 추정할 수 있는 부채
- 2. 상환금액이 불확실한 부채
- 3. 상환금액ㆍ시기ㆍ대상이 불확실한 부채
- 제3절 충당부채
- 1. 적용범위
- 2. 용어의 정의
- 3. 인식
- 4. 측정
- 5. 충당부채의 변제
- 6. 충당부채의 변동
- 7. 충당부채의 사용
- 8. 인식과 측정의 특수한 상황]
- 9. 주석 공시
- 10. 적용사례
- 11.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4절 온실가스 배출권과 배출부채
- 1. 목적
- 2. 용어의 정의
- 3. 배출권의 인식과 최초 측정
- 4.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배출권
- 5. 단기간의 매매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는 배출권
- 제5절 사채
- . 사채의 의의
- 2. 사채발행가액의 결정
- 3. 이자비용의 인식
- 4. 사채의 상환
- 5. 자기사채
- 6. 연속상환사채
- 9. 자본
- 제1절 자본의 분류
- 1. 자본금
- 2. 자본잉여금
- 3. 자본조정
-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5. 이익잉여금
- 6.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2절 주식의 종류
- 1. 액면주식과 무액면주식
- . 보통주와 우선주
- 제3절 자본금의 변동
- 1. 자본금의 증가
- 2. 자본금의 감소
- 제4절 자기주식
- 1. 자기주식의 본질
- 2. 자기주식의 회계처리방법
- 제5절 이익잉여금의 변동
- 1.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2. 결손금처리계산서
- 제6절 복합금융상품
- 제7절 주석사항
- 10. 주식기준보상과 주당이익
- 제1절 주식기준보상
- 1. 주식기준보상거래
- 2. 적용범위
- 3. 인식
- 4.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 5.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 6. 선택형 주식기준보상거래
- 7. 주석공시
- 제2절 기본주당이익
- 1. 개 요
- 2. 목적과 적용범위
- 3. 기본주당이익의 계산
- 4. 재무제표의 표시
- 5. 주석공시
- 11. 수익의 인식
- 제1절 수익인식
- 2. 수익인식의 원칙
- 3. 수익의 측정
- 4. 거래의 식별
- 5. 재화판매의 수익인식
- 6. 재화의 판매
- 7. 용역제공의 수익인식
- 8. 이자수익, 로열티수익 및 배당수익
- 9. 기타 수익의 회계처리
- 10. 주석 공시
- 제2절 건설형 공사계약
- 1. 목적 및 적용범위
- 2. 건설형 공사계약의 의의
- 3. 공사계약의 병합과 분할
- 4. 공사수익
- 5. 공사원가
- 6. 공사계약 전 지출
- 7. 공사수익과 비용의 인식
- 8. 예약매출
- 9. 생산설비와 건설장비 또는 가설재의 회계처리
- 10. 주석 공시
- 11.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3절 농림어업
- 1. 정의와 적용범위
- 2. 생물자산과 수확물의 인식
- 3. 최초 인식시점의 측정
- 4. 인식시점 이후의 측정
- 5. 정부보조금
- 6. 주석 공시
- 제4절 추출활동
- 12. 비용의 인식과 손익측정
- 제1절 비용의 인식
- 1. 비용의 정의
- 2. 비용의 인식
- 제2절 종업원급여
- 1. 정의와 적용범위
- 2. 종업원급여의 구분
- 3. 퇴직급여 외의 종업원급여: 인식과 측정
- 4. 퇴직급여: 확정기여제도
- 5. 퇴직급여: 확정급여제도
- 6. 퇴직금제도와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가 병존하는 경우
- 7. 퇴직급여제도의 변경
- 8. 공시
- 9.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3절 중단사업
- 1. 중단사업 공시의 의의
- 2. 중단사업
- 3. 중단사업손익의 인식과 측정
- 4. 중단사업손익의 재무제표상 표시와 공시
- 13. 법인세회계
- 1. 정의와 적용범위
- 2. 법인세회계와 세무조정
- 3. 법인세회계의 기본원리
- 4. 자산ㆍ부채의 세무기준액
- 5. 법인세회계의 처리순서
- 6. 당기법인세부채와 당기법인세자산의 인식
- 7. 이연법인세부채와 이연법인세자산의 인식
- 8. 측정
- 9.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의 인식
- 10. 표시
- 11. 공시
- 12.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14. 리스
- 1. 리스거래
- 2. 적용범위
- 3. 리스기준의 적용(약정에 리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 4. 용어의 정의
- 5. 리스의 분류
- 6.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 7. 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 8. 판매후리스거래
- 9. 기타의 회계처리
- 15. 환율변동효과
- 1. 기능통화의 식별
- 2. 최초 인식
- 3. 후속 보고기간말의 보고: 시제법
- 4. 외환차이의 인식
- 5. 기능통화의 변경
- 6. 표시통화로의 환산: 현행환율법
- 7. 해외사업장의 환산
- 8. 해외사업장의 처분 또는 일부 처분
- 9. 공시
- 10.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16. 자본변동표
- 1. 목적
- 2. 기본구조
-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17. 현금흐름표
- 1. 현금흐름표의 목적
- 2.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 3. 현금및현금성자산
- 4. 현금흐름표의 기본구조
- 5.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표시방법
- 7.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9. 기타 표시방법
- 10.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18. 기타재무제표 작성 및 공시
- 제1절 주석
- 1. 구조
- 2. 회계정책의 공시
- 3. 측정상의 유의적인 가정
- 제2절 특수관계자 공시
- 1. 특수관계자의 정의
- 2. 반드시 특수관계자가 아닌 경우
- 3. 특수관계자 공시의 필요성
- 4. 특수관계자 및 특수관계자거래 공시
- 5.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3절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1. 회계정책의 선택과 적용
- 2. 회계변경
- 3. 회계정책의 변경
- 4. 회계추정의 변경
- 5. 오류수정
- 6. 오류수정의 회계처리
- 7. 재무제표의 표시방법
- 8. 주석 공시
- 9.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제4절 보고기간 후 사건
- 1. 보고기간 후 사건
- 2. 인식과 측정
- 3. 계속기업
- 4. 주석 공시
- 제5절 중소기업 회계처리 특례
- 1. 목적 및 적용범위
- 2. 회계처리와 재무제표 표시
- 3. 주석 공시
- 4. 특례규정의 적용중단
- 제6절 일반기업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1. 최초채택
- 2. 전환일에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절차
- 3. 공시
- 제7절 중간재무제표
- 1. 중간재무제표
- 2. 최종 중간기간에 관한 공시
- 3. 인식과 측정
- 4. 회계정책의 변경과 재무제표의 재작성
- 19. 사업결합
- 1. 사업결합의 정의
- 2. 사업의 정의
- 3. 회계처리
- 4. 취득자의 식별
- 5. 역취득의 회계처리
- 6. 취득일의 결정
- 7. 식별가능한 취득자산ㆍ인수부채의 인식과 측정
- 8. 이전대가의 측정
- 9. 영업권 또는 염가매수차익의 인식과 측정
- 10. 측정기간
- 11. 취득관련원가
- 12. 조건부대가의 후속측정
- 13. 공시
- 14.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20. 동일지배거래
- 1. 목적 및 적용범위
- 2. 동일지배의 정의
- 3. 동일지배하에 있는 기업 간의 거래 식별
- 4. 합병의 회계처리
- 5. 주식인수도, 사업인수도의 회계처리
- 6. 분할의 회계처리
- 7.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순자산이전(동일지배하에 있는 다른 기업의 일부 지분 이전 포함)
- 8. 주석공시
- 21. 연결재무제표
- 1. 연결재무제표의 작성기업
- 2. 지배력
- 3. 연결재무제표의 작성절차
- 4. 회계연도 중 연결실체 변동시 손익 반영
- 5. 지배기업의 지분이 변동하는 경우
- 6. 지배력의 상실
- 7. 연결재무제표의 형식
- 8. 개별재무제표에서 종속기업 투자의 회계처리
- 9. 주석 공시
- 10. 기업회계기준간 비교
- 22. 파생상품회계
- 1. 유가증권기준서와의 관계
- 2. 용어의 정의
- 3. 파생상품의 정의
- 4. 내재파생상품
- 5. 위험회피회계
- 6.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