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내용은 최신 개정분까지 반영되었습니다.
- Ⅰ. 배경 및 제정 경과
- 1. 사회적 요구
- 2. 제정 경과
- Ⅱ. 해외사례
- Ⅱ-1. 국가별 비교
- Ⅱ-2. 특기사항
- 1. 미국
- 2. 영국
- 3. 캐나다
- 4. 호주
- 5. 일본
- 6. 독일
- 7. 국가별 개선작업
- Ⅲ. 비영리조직회계기준 제정에 대한 기본접근방법
- Ⅲ-1. 일반목적 재무제표
- 1. 현황
- 2. 회계기준위원회의 제정관점
- 3. 해외사례
- Ⅲ-2. 조직전체에 대한 재무제표
- 1. 현황
- 2. 회계기준위원회의 제정관점
- 3. 해외사례
- Ⅲ-3. 복식부기 기반의 발생주의회계
- 1. 현황
- 2. 회계기준위원회의 제정관점
- 3. 해외사례
- Ⅲ-4. 재무제표 종류와 명칭 통일
- 1. 현황
- 2. 회계기준위원회의 제정관점
- 3. 해외사례
- Ⅲ-5. 기업회계기준 바탕 위에 비영리조직회계 특수성 가미
- 1. 현황
- 2. 회계기준위원회의 제정관점
- 3. 해외사례
- Ⅲ-6. 조문식 회계기준
- 1. 현황
- 2. 회계기준위원회의 제정관점
- Ⅳ. 주요 논점별 해설
- Ⅳ-1. 회계기준 적용대상 비영리조직의 범위
- 1. 현황
- 2. 원칙
- Ⅳ-2. 현금흐름표 작성 여부
- 1. 현황
- 2. 유사재무제표 수지계산서
- 3. 원칙
- Ⅳ-3. 순자산 구분 - 재무상태표
- 1. 현황
- 2. 원칙
- 3. 적용방법
- Ⅳ-4. 기능별 비용보고 - 운영성과표
- 1. 현황
- 2. 원칙
- 3. 적용방법
- 4. 적용 예
- Ⅳ-5. 운영성과표 구조
- 1. 순자산 구분별로 수익과 비용을 집계
- 2. 일시제약이 해제된 순자산의 표시
- 3. 사업과 사업외 항목 구분
- 4. 고유목적사업과 수익사업의 구분
- 5. 법인세비용의 표시
- Ⅳ-6. 기타 표시ㆍ인식ㆍ측정 기준
- 1. 현금기부금 수익인식 기준
- 2. 비현금기부금 수익인식 기준
- 3. 유ㆍ무형자산 (감가)상각
- 4. 유형자산 재평가
- 5. 투자유가증권 표시
- 6. 투자유가증권 평가
- 7. 고유목적사업준비금과 그 전입액
- 8. 정부보조금
- Ⅳ-7. 주석기재
- 1. 현황
- 2.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