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92년 영국 파운드화의 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이 흔들릴 때마다 헷지펀드가 그 주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 이유는 "헷지펀드"는 투기성자본(Hot money) 이라는 인식에 근거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투기성자본이, 방대한 유동성의 이동으로 인하여, 개별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만들고 금융시스템을 위협한다는 부정적 측면, 즉 역기능이 있는 반면 국제금융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한다는 긍정적인 측면, 즉 순기능 측면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92년 영국 외환위기에 따른 파운드화(Pound)의 평가절하부터 96년 체코 코루나화(Koruna), 97년 인도네시아 루피아화(Rupiah), 필리핀 페소화(Peso), 말레이시아 링기트화(Ringgit), 태국의 바트화(Baht), 98년의 홍콩달러 등에 이르기까지 헷지펀드에 의한 환투기로 인하여 세계곳곳에서 금융불안이 일어나자 헷지펀드는 국제적 투기자본의 대명사로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한편 98년 하반기에 미국 LTCM1)과 같은 대형 헷지펀드의 파산위기와 이에 따른 금융시스템의 붕괴위험은 또 다른 측면에서의 헷지펀드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금융연구원은 2000. 3. 10 발표한 "국제 금융환경 변화 속의 주요 이슈"라는 보고서에서 " 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 10억달러에 불과하던 헷지펀드들이 최근 아시아 지역의 경기 회복세를 타고 60억-70억달러로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고 밝혔다.2) 우리나라에 대하여 장세근 한국은행 증권시장팀장은 "지난 2월에 유입된 외국인 순매수자금 20억달러와 이 달 들어 나흘사이에 봇물 터진 듯 들어온 16억달러 중 상당부분이 헷지펀드 등 핫머니로 추정된다"고 말했다.3) 또한, 최근 국제 헷지펀드가 국내 자산운용회사와 손을 잡고 국내 주식시장 공략에 나선 것으로 보이며 국내에 유입될 투자자금 규모는 조세회피지역인 버진아일랜드와 바하마군도 등을 통하여 1억 내지 3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4) 우리나라도 국제 헷지펀드의 직접적인 영향권내에 들어간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1) Long-term Capital Management, 1994년 설립되었고 1998년 러시아 루블화 평가절하, 채무불이행 등의 이유로 국제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사실상 파산되었다. 2) 한국경제(2000. 3. 11, 제목 : "헷지펀드 유입가능성") 3) 문화일보(2000. 3. 11, 제목: "헷지펀드 몰려온다") 4) 세계일보(2000. 2. 3, 제목 : "국제 헷지펀드 국내증시 공략나서") |
따라서 여기서는 헷지펀드의 개념 및 헷지펀드가 가지고 있는 양면성인 순기능 및 역기능의 검토와 아울러 그 투기사례를 소개하였고, 헷지펀드의 국내자금 유입으로 인하여 발생된 소득에 대한 과세방안을 우리나라 조세제도 측면과 조세행정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Ⅱ. 개 요 1. 의 의 49년 당시의 경제분석가(Analyst)이자 금융거래전문가(Trader)였던 Alfred W. Jones에 의해 미국에서 처음 설립된 헷지펀드(Hedge fund)는 100명 미만의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사모방식에 의해 모집하는 사모투자 파트너쉽(Private investment partnership) 등과 같은 펀드를 말한다. 이 헷지펀드는 버뮤다, 버진아일랜드 또는 바하마군도 등과 같은 Tax Haven지역에 설립한 후, 국제외환시장, 주식·채권시장 및 선물거래(파생금융상품)시장 등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원유, 금 등 실물자산시장에 각종 첨단 금융투자기법을 이용하여 자금을 운용한 후 투자실적에 따라 배당하는 민간 투자회사(Pooled Investment Vehicle)를 의미한다. 헷지펀드는 주로 위험행정사무관회피(헷징)기법을 이용하여 투자하므로 헷지펀드로 명명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헷지펀드가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사모형식으로 기금을 조성하는 이유는 미국의 경우 증권감독기관인 증권거래위원회(SEC)5)에의 등록 및 공시가 면제되는 등 상대적으로 운영상 규제를 덜 받기 때문이다. 미국의 투자회사법(Investment Company Act)에서는 100명 미만의 투자자로 구성된 투자회사는 부정행위방지규정을 제외하고는 SEC의 등록, 공시, 자산운영 등에 대한 규제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
HEDGE FUND |
|
Private investment partnership (for US investors) or an offshore investment corporation (for non-US or tax-exempt investors), often where those managing the fund have substantial personal stakes, whose offering memorandum allows the fund to take both long and short positions, use leverage and derivatives, and invest in many markets. Hedge funds often take very large risks for their clients on speculative strategies, including programme trading, selling short, swaps and arbitrage. |
2. 특 징 헷지펀드는 고수익·고위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크고 헷지펀드 매니저는 고수익 실현가능성으로 인하여 투자자에게 높은 성과급과 운용수수료를 요구하고 있다. 가. 운용수수료 헷지펀드는 뮤추얼펀드와는 달리 수수료에 대한 규제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순자산의 1-2%에 해당하는 기본수수료와 운용수익의 20%에 해당하는 성과수수료를 받고 있다.6) 이와 같은 성과급 체계는 단기적·공격적 투자성향을 조장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 자산운용 행태 헷지펀드는 주식, 채권, 통화, 파생금융상품 등의 가격변동에 대응하여 수익률·위험 조합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단기적인 가격변동을 겨냥하여 포지션을 자주 바꾸는 운용 행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초기의 헷지펀드는 매입 및 매도포지션을 일치시키는 시장위험 중립적인(Market neutral)포지션으로 가격변동 위험을 차단함으로써 수익극대화를 도모하였으나, 금융시장의 효율성 제고로 종래의 기법에 의한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점차 공격적인 거래기법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헷지펀드는 레버리지(Leverage)7)를 많이 이용하는데 매도포지션(Short position), 파생금융 상품거래 등 단기거래를 통해 레버리지를 높일 수 있다. 매도포지션은 낮은 가격에 다시 구입하기 위해 증권 또는 파생금융상품 등을 매도하는 것으로 가격이 하락하면 매도포지션의 가치가 증가하나, 매입포지션(Long position)은 가격상승에 따른 이익을 겨냥하여 증권 또는 파생금융상품 계약을 매입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매도포지션과 매입포지션은 상호 헷지수단으로 이용된다.
5)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6) 손실 발생시에는 손실이 보전될 때까지 성과급이 지급되지 않는 손실보상조항(High-water provision)을 두는 경우가 많음. 7) 주식을 신용으로 매입하기 위하여는 평균 50% 수준의 담보금을 부담하여야 하지만 금융선물의 경우 단위 계약액의 1-2%만을 개시증거금으로 예치하고 가격변동에 따라 일정액의 추가증거금만을 예치하면 되기 때문에 선물환이나 금융선물시장의 투기거래자에게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레버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이에 따라 은행, 증권회사 등은 다른 영업부문의 수입 및 유동성을 통해 레버리지 위험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으나 헷지펀드는 대차대조표상 레버리지 비율이 동일한 다른 금융업보다 유동성 충격에 훨씬 취약한다. 헷지펀드는 대부분 보유포지션에 대한 시가평가를 하고 있어 헷지펀드의 손익을 매일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가격의 일일변동에 대응하여 거래기관이 담보 및 거래증거금을 추가로 요구할 경우 헷지펀드의 현금흐름 및 유동성 관리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다. 규제측면 헷지펀드는 일반적으로 감독기관의 등록, 보고의무, 보유자산의 구성 및 성과에 관한 공시의무가 면제되어 있으며 자산운영에 대해서도 거의 규제를 받지 않다. 다만 미국에서는 미국의 선물시장에서 거래하거나 미국투자자가 포함된 헷지펀드에 대해서는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등록, 보고, 기록보존, 공시 등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한편 뮤추얼펀드(Mutual fund)는 일반인에게 주식을 공모하여 모아진 기금으로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기금을 말한다. 아래에서 헷지펀드와 뮤추얼펀드의 투자자규모 및 감독·규제 등의 요소별 주요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였다. 〈표 1〉헷지펀드와 뮤추얼펀드의 주요 차이점
|
헷지펀드 |
뮤추얼펀드 |
투자자규모 |
100명 미만 |
100명 이상 |
투자자모집방법 |
사모 |
공모 |
펀드운용자의투자 |
허용 |
금지 |
자산운용형태 |
공격적 |
보수적 |
운용수수료 |
기본수수료 및 성과급 |
자산의 일정비율(0.5-1.0%)로 고정 |
감독·규제 |
거의 없음 |
엄격 |
라. 투자자의 구성 헷지펀드는 일반적으로 100만달러 이상의 순자산(net worth)을 보유하고 있거나 2년간 연평균 소득이 20만달러 이상인 개인투자자와 모건스탠리, 살로먼스미스바니 등 대형투자은행, 최근 들어서는 연기금까지를 고객대상으로 한정하고 있다.8) 기본적으로 헷지펀드는 광고에 의한 모집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투자자문회사를 통해 고객을 유치한다. 또한 미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기관투자자의 투자자금이 헷지펀드의 전체신규 유입자금의 30%를 차지하고 있는데 기관투자자는 주로 타이거펀드 등 몇몇 유수한 헷지펀드에만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헷지펀드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통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자금을 관리해 오던 상업은행, 투자은행 등도 자체적으로 헷지펀드를 운영하거나 헷지펀드와 연계된 펀드를 개발하는 사례도 있다. 한편 헷지펀드 운용자는 뮤추얼펀드와는 달리 자신이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다. 3. 유 형 헷지펀드는 다양한 투자전략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투자전략을 자주 바꾸는 데다, 운영실태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으므로 유형별로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헷지펀드를 투자자의 요구에 따라 운용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가. 투자형태별 1) 기회주의형 : 펀드매니저가 시황에 따라 이윤극대화를 목적으로 재량에 의하여 자금을 운용 하는 형태이다. 2) 시장중립형 : 안정성추구 및 손실위험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포트폴리오의 50%는 매입포지션(Long position), 나머지는 매도포지션(Short position)을 취하여 시장변동에 따른 위험을 커버하는 형태이다. 3) Fund의 fund형 : 펀드매니저가 직접 자금을 운용하지 않고 자기의 펀드자금을 다른 펀드에 예치·운용하거나 고객의 취향에 따라 펀드를 재조합하는 형태된다. 나. 투자지역별 1) 범세계 거시경제형 : 세계경제동향 및 각국의 거시경제 변수를 검토분석하여 투자대상 국가를 선정하고 각국의 거시경제 변수의 변화에 따라 투자대상국 변경이 빈번하고 투자기회 포착시 대규모 자금을 동원하는 공격적인 펀드로서 환투기의 주요세력이다. 2) 신흥자본시장형 : 동아시아, 동부유럽 및 남미신흥 개발도상국들과 같이 성장속도가 빠르고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에서 주식 및 채권투자에 운용하는 펀드를 말한다. 다. 중점투자 대상별 1) 금융상품형:투자금액 50%이상을 은행 등 금융기관발행 증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2) 건강의료산업형:투자금액 50%이상 의료산업 관련 증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3) 미디어/통신산업:투자금액의 50%이상 통신 및 매스미디어 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4) 하이테크형:투자금액이 50%이상을 하이테크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라. 투자전략 유형별 1) 글로벌펀드(Global fund) : 미국 이외의 시장에 투자하며 투자지역에 따라 세계 모든 국가에 투자하는 국제시장펀드(International fund), 유럽, 일본 등 안정된 국가에 투자하는 안정시장펀드(Established fund), 신흥시장국에 투자하는 신흥시장펀드(Emerging market fund)로 세분된다. 2) 글로벌 매크로펀드(Global-macro fund) : 세계 각국의 거시경제 상황을 분석하여 수익기회를 포착하면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대규모로 투자하는 펀드로 퀀텀펀드, 타이거펀드 등 주요 대형펀드들이 이에 해당된다. 3) 재료주펀드(Event-driven fund) : 특별한 상황을 이용하여 투자하는 펀드로 도산 위기 또는 구조조정기업의 증권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Distressed securities fund)와 피인수기업의 주식을 사는 동시에 인수기업의 주식을 파는 위험차익펀드(Risk arbitrage fund)등이 이에 해당된다. 4) 펀드의 펀드(Fund of fund) : 다수의 헷지펀드에 투자하는 펀드로 다양한 종류의 펀드에 분산투자하거나(Diversified fund) 특정 종류의 펀드에 집중적으로 투자(Niche fund)한다. 5) 시장중립펀드(Market neutral fund) : 시장위험에 중립적으로 투자하는 전통적인 형태의 펀드를 말하며 이들 펀드는 매입과 매도포지션을 균등하게 유지하여 시장위험을 줄이거나(Long/short fund) 전환채권에는 매입(또는 매도)포지션을, 전환대상주식에는 매도(또는 매입)포지션을 취함으로써 차익을 실현(Arbitrage-convertible fund)한다. 4. 규 모 헷지펀드의 성격이 공개 모집되는 것이 아니므로 정확한 규모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49년 미국의 Alfred W. Jones에 의하여 처음 설립된 이후 1980년대 후반부터 세계적으로 금융자유화가 확산되면서 급속히 성장하였으며, 미국 대통령 산하 금융시장 관련 실무그룹에 따르면 98년 현재 헷지펀드의 수는 2,000 -3,000개, 자본금 규모는 2,500-3,500억 달러, 총자산 규모는 8,000억-1조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0) 다만, 헷지펀드에 대한 일률적인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데다, 실체파악이 힘들어 헷지펀드에 대한 통계는 추정기관별로 많은 차이가 있다. 현재 운영중인 세계적인 헷지펀드는 Quantum Fund, Tiger Fund 등이다.
8) 문화일보(2000. 3. 11, 제목 : "엄청난자금 증시 쥐락펴락") 9) 박완근, "헷지펀드의 실태와 LTCM 위기의 교훈", 한국은행 조사국, 1999. 8, pp 7-8 10) 한국경제(2000. 3. 11, 제목: "헷지펀드 유입가능성") |
5. 주요 헷지펀드 현황 99 10월 현재 자산규모 1억불 이상 되는 헷지펀드의 종류 및 그 자산규모는 다음 표와 같다.11) 〈표 2〉자산이 1억불 이상인 헷지펀드 현황 (총자산 규모순) (1999. 10. 현재)
펀 드 명 |
자산($M) |
펀 드 명 |
자산($M) |
1 |
Soros Fund MGT |
9,248 |
20 |
Carlson Capital MGT |
1,033.8 |
2 |
Moore Capital MGT |
9,000 |
21 |
Offshore Advisors |
943.80 |
3 |
Tiger MGT |
4,000 |
22 |
Staro Asset MGT |
896.60 |
4 |
Zweig-Dimema Association |
3,870 |
23 |
Millennium Asset MGT |
880.46 |
5 |
Ainslie |
3,360 |
25 |
Fla(Bermuda) |
802.59 |
6 |
Kingdon Capital MGT |
2,365.96 |
26 |
Salus Carital MGT |
780.00 |
7 |
CDC Investment MGT |
2,128.18 |
27 |
Camden Asset MGT |
755.00 |
8 |
Perry Corp |
2,009.52 |
28 |
Clinton Group |
716.00 |
9 |
Marshall Wace Asset MGT |
1,844.92 |
29 |
Martley Intl |
660.00 |
10 |
Appaloosa MGT |
1,566.45 |
30 |
Canyon Capital Advisors |
650.00 |
11 |
Unterman MGT |
1,492 |
31 |
Braxton Associates |
610.00 |
12 |
Alliance Capital MGT |
1,468.6 |
32 |
Newman Ragazzi & Co |
596.70 |
13 |
Lotsoff Capital MGT |
1,332.85 |
33 |
Hellman Jordan MGT |
508.50 |
14 |
Orbis Investment MGT |
1,330.44 |
34 |
Caxton Corp |
496.23 |
15 |
Arnhold & Bleichroeder |
1,312.84 |
35 |
Forest Investment MGT |
494.10 |
16 |
Ellington Capital MGT |
1,307.33 |
36 |
Emerging Growth MGT |
459.45 |
17 |
Halcyon & Alanslifka MGT |
1,220.12 |
37 |
Essex Investment MGT |
459.17 |
18 |
Omega Advisors |
1,134.31 |
38 |
Adelphi MGT |
453.18 |
19 |
Spectrum Asset MGT |
1,062 |
39 |
Rocker Partners |
435.60 |
40 |
Swiss Bank Corp |
425.60 |
69 |
Tobias Brothers |
246.00 |
41 |
Bear Stearns Asset MGT |
423.37 |
70 |
Rudman MGT |
245.10 |
42 |
Aig Intl Asset MGT |
419.00 |
71 |
Ronald Pollock & Co |
243.90 |
43 |
Weiss Peck &Greer-Farber |
398.80 |
72 |
American Express AssetMGT Group |
243.20 |
44 |
Concordia Adv(Bermuda) |
390.30 |
73 |
Sierra Global MGT |
237.19 |
45 |
Fletcher Asset MGT |
388.90 |
74 |
West Broadway Partners |
231.00 |
46 |
Argent Finl Grp(Bermuda) |
382.73 |
75 |
Bayard Partners |
229.65 |
47 |
Teleos MGT |
366.35 |
76 |
Richard Blum & Assoc |
223.18 |
48 |
Nwi MGT |
359.94 |
77 |
MD Sass MGT |
220.63 |
49 |
Paramount Cap Asset MGT |
353.00 |
78 |
Boyer Allan Inv MGT |
220.00 |
50 |
Gem Capital |
352.80 |
79 |
JMG Capital MGT |
217.40 |
51 |
Sparx Overseas |
335.00 |
80 |
Basswood Partners |
209.73 |
52 |
Bay Harbour MGT |
332.64 |
81 |
Galleon MGT |
209.48 |
53 |
Toa Investors |
331.20 |
82 |
Palladin Group |
207.70 |
54 |
Sandler Capital MGT |
320.00 |
83 |
Oscar Capital MGT |
206.76 |
55 |
Bennett Lawrence MGT |
313.70 |
84 |
Dickstein Partners |
205.20 |
56 |
Bricoleur Capital MGT |
304.00 |
85 |
Regan Partners |
204.99 |
57 |
Deerhaven Capital MGT |
302.20 |
86 |
Lane capital MGT |
204.33 |
58 |
Libertyview Capital MGT |
293.99 |
87 |
Pacific Assets MGT |
202.74 |
59 |
Globalvest MGT |
274.53 |
88 |
Cobalt Capital MGT |
194.76 |
60 |
Symphony Asset MGT |
268.70 |
89 |
CMS Advisors |
194.49 |
61 |
Digital Century |
263.00 |
90 |
Olympus Capital MGT |
192.79 |
62 |
Rose glen Capital MGT |
261.80 |
91 |
Coast Asset MGT |
191.40 |
63 |
Derivative Consulting Grp |
261.00 |
92 |
Hermes Advisors |
189.20 |
64 |
TT Intl Investment |
255.47 |
93 |
CMT Capital |
188.60 |
65 |
Para Partners |
254.90 |
94 |
King Street Advisors |
187.70 |
66 |
Ashmore Investment MGT |
249.52 |
95 |
Grossman Asset MGT |
185.00 |
67 |
Cavelli Securities |
249.00 |
96 |
Hermitage Capital MGT |
184.30 |
68 |
Velocity Capital MGT |
247.00 |
97 |
Zazove Associates |
182.70 |
98 |
Abernathy Group |
181.14 |
119 |
Harnisch Capital MGT |
132.71 |
99 |
Highland Partners |
181.00 |
120 |
Brown Simpson Asset MGT |
130.00 |
100 |
Odey Asset MGT |
180.23 |
121 |
Jundt Associates |
129.80 |
101 |
Carl Marks MGT |
176.00 |
122 |
Turnberry Capital MGT |
127.00 |
102 |
Magus Capital MGT |
173.42 |
123 |
Regent Fund MGT |
125.78 |
103 |
Friedman,Billings, Ramsey Investment MGT |
169.00 |
124 |
Noesis Corp |
125.40 |
104 |
Richmont Opport MGTPartners |
168.66 |
125 |
Platinum Asset MGT |
122.20 |
105 |
Castlerock MGT |
165.00 |
126 |
Paradigm Capital Corp |
120.40 |
106 |
Wolverine Capital Corp |
163.47 |
127 |
Portfolio Advisory Svces |
119.00 |
107 |
Ati Partners |
163.38 |
128 |
Eminence Partners |
113.80 |
108 |
Avery Advisors |
162.00 |
129 |
Promethean Managers |
112.70 |
109 |
Paul Jones & Co |
159.50 |
130 |
Angelo Gordon & Co |
112.30 |
110 |
Beacon Hill Asset MGT |
156.85 |
131 |
Lansdowne Partners |
111.22 |
111 |
Hilspen Capital MGT |
154.00 |
132 |
Park Place Capital |
109.77 |
112 |
Alexandra Inv MGT |
150.00 |
133 |
Kleinheinz Cap Partners |
108.00 |
113 |
Innovest Capital MGT |
149.17 |
134 |
De Putron Fund MGT |
106.09 |
114 |
Robert Fleming & Co |
149.00 |
135 |
Beta MGT |
105.00 |
115 |
Egs Securitles |
147.77 |
136 |
Sage Asset MGT |
105.00 |
116 |
Cannell Capital MGT |
143.60 |
137 |
Millgate Capital |
102.50 |
117 |
Quaker Premier |
137.05 |
138 |
Sharevest Capital MGT |
100.98 |
118 |
Barrett Wissman/Clark Hunt |
135.00 |
139 |
Gls Capital Patrners |
100.60 |
6. 헷지펀드의 전략대상 헷지펀드가 전략대상으로 삼는 통화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가. 거시경제정책과 환율안정 목표와의 부조화로 평가절하가 예상되는 통화 재정적자 보전 등의 이유로 통화공급이 확대되고, 환율목표유지를 위하여 자국통화매입(즉 외환매도)으로 통화수축이 이루어져 거시경제정책과 환율정책간 부조화가 발생하는 경우, 환율상승 압력의 근본원인인 통화증발의 수습노력 없이 외환공급 확대를 통하여 환율지지를 도모한다면 결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 소진을 초래할 것이므로 종국에는 평가절하 할 수밖에 없다. 나. 불리한 경제상황으로 정부 및 중앙은행의 환율방어 의지가 약화되는 통화 7. 헷지펀드의 전략형태 특정 외환이 고평가 되어있을 뿐 아니라 가까운 장래에 평가절하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자신들의 역량을 총동원하여 집중적으로 그 외환을 투매하거나 매도초과 포지션을 취하고서 해당 외환이 평가 절하되기를 기다린다. 가. 현물환 매도 : 상당수 헷지펀드는 금리가 낮은 나라의 통화를 차입하여 높은 수익이 기대되는 외국통화 및 해당통화 표시채권에 투자하여 오다가 상황이 반전되는 경우 투매한다.
12) 나. 공매(short-sale) : 주식시장에서 대주를 이용한 투자의 경우와 같이 자신이 보유하지 않은 자산을 매도하는 행위를 지칭하며 실제로 보유하지 않은 자산(통화)을 매도하기 위해 먼저 그 자산(통화)을 확보한다. 헷지펀드가 특정 통화를 공매하고자 하는 경우 국제금융시장(또는 해당통화의 역외금융시장)에서 단기 차입하는 방법을 취한다. 다. 선물환 매도 : 외환의 결제가 미래 시점에 이루어지므로 공매의 경우와는 달리 거래시점에서 매도외환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가 없고, 결제시점까지의 기간도 3개월, 6개월, 1년 등 장기계약이 가능하므로 헷지펀드의 자금동원 부담 및 중앙은행의 외환방어에 따른 손실위험을 극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8. 헷지펀드의 기능
13) 가. 순기능 헷지펀드에 의해 금리??환율??주가 등 자산가격의 이상변동이 신속히 조정됨으로써 국가간 자본이동이 확대되고 금융시장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헷지펀드에 의해 위험해지 거래시장이 확충됨으로써 금융혁신이 촉진되고 금융시장 참가자들에게 폭넓은 위험해지 기회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투자자는 자신의 위험선호도에 따라 자산을 구성하기가 용이한다. 나. 역기능 헷지펀드는 단기??공격적인 투자로 높은 레버리지를 유지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충격이 나타날 경우 금융시장의 불안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헷지펀드의 투자포지션을 다른 금융기관이 추종할 경우 헷지펀드의 투기적 공격대상이 되는 국가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Ⅲ. 헷지펀드에 의한 환투기 고수익을 추구하는 헷지펀드는 범세계적으로 대상국가와 상품을 번갈아 가며 운용하므로 이들에게 환율변동은 최우선 관심대상이다. 특히, 주식, 채권 등 장기적 투자의 경우와는 달리 통화에 대한 공격은 매우 신속하게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투기적 성향이 강하고 범세계적 파급영향이 크다. 공세대상이 각국의 중앙은행(더 나아가 지역 중앙은행 협력체)이라는 점에서 기대수익 또는 손실 규모가 막대한다. 1. 대상통화의 선정 헷지펀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통화를 공세대상으로 삼다. 가. 고평가된 통화 나. 주요통화에 고정되어 있는 통화 또는 관리변동환율제하에서 1일 환율변동폭을 억제하거나 경직적으로 운용하는 국가의 통화 다. 상시적인 대량거래에 비교적 유동성 제약이 없는 통화 라. 상당부분 국제화(해외외환시장에서의 거래보장)된 통화 마. 자본거래자유화가 상당부분 진전된 나라의 통화. 특히 역외금융시장에서 비거주자의 차입에 대한 규제가 없는 나라의 통화 바. 헷지펀드가 이미 유입되어 상당기간 운용되고 있는 나라의 통화 사. 통화선물시장에서의 거래대상이 되는 통화 또는 선도환거래가 활발한 통화 2. 공세의 시기 및 양태 헷지펀드가 대상통화의 중앙은행을 상대로 하는 게임이므로 상대방 중앙은행의 대응능력 약화의 징후가 보이기 시작하거나 또는 단기적 집중공격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는 확신이 서는 경우 공세를 개시한다. 당해 중앙은행의 대응능력은 그 나라의 가. 경제기본여건(Economic fundamentals) 나. 경제정책수립 집행의 합리성, 효율성 및 신뢰성 다. 대외준비자산 규모 라. 신속한 국제협력 유도 능력 등에 달려 있다. 상대방 중앙은행의 대응력 약화 징후는 2)항과 같은 경제정책당국의 합리성, 효율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상황이 예상되고 1)항과 같은 경제 기본여건의 악화와 이에 따른 국제수지적자의 누증으로 인한 대외준비자산의 감소로 나타난다. 우선, 헷지펀드는 대상통화의 대량매각을 통해 그 통화의 매각초과 포지션상태(Oversold position)를 유지하기 시작한다. 이는 상대방 중앙은행에 어쩔 수 없이 통화가치를 절하토록 유도하는 압박수단으로서 공격기간은 중앙은행의 외화준비자산규모 및 소진속도에 달려 있다.14) 통권 제16호(4월호)에 계속
11) MAR/Hedge·December 1999 12) 예를들면, 일본엔화 차입히고 태국 바트화 표시채권 매입 후 투매함. 13) 박완근, "헷지펀드의 실태와 LTCM 위기의 교훈", 한국은행 조사국, 1999. 8, p6 14) 당해 통화를 역외시장에서 차입하여 달러 등을 매입하는 경우 당해 통화의 절하는 차입비용 (당해 통화의 가치) 경감을 가져옴으로써 투기이익(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음. |
자료원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