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 Issue Paper 2] KIFRS 1118, Non-GAAP 지표에 대한 IFRS 18의 요구사항

Non-GAAP 지표의 정의와 예시
NASDAQ 등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10-K(사업보고서)나 IR 자료를 보면 Non-GAAP 재무제표 또는 제무지표를 공시하거나 발표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Non-GAAP 지표(또는 Alternative Performance Measures)란, IFRS 또는 K-IFRS 등 공식 회계기준에서 정의하지 않은 지표로서, 기업이 자체적으로 경영 성과를 보완·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익성, 현금흐름, 재무구조 관련 지표를 말한다. 아래는 Tesla가 8-K에 공시한 Non-GAAP 지표 중 하나인 "Adjusted EBITDA"이다. EBITDA (Earning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 Amortisation)는 세전영업이익(EBIT ; 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에 감가상각비를 가산한 세전 현금 이익 지표이다. 많은 투자자는 종종 발생주의 이익보다 현금주의 이익을 알기를 원한다. 이는 기업의 가치평가(valuation) 관점에서 현금 이익이 발생주의 이익보다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이다.
위 Tesla의 "Adjusted EBITDA(non-GAAP)의 산출 과정을 보자. 보통주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Net income attributable to common stockholders(GAAP)에서 이자 비용(Interest)과 법인세 관련 충당금의 환입, 감가상각비, 손상 금액과 Stock-option 보상비용을 가감한 금액이다. 단순히 “EBITDA”를 산출할 경우에는 감가상각비만 가산할 뿐, Stock-option 보상비용 항목은 조정하지 않음에 반해 Tesla의 Non-GAAP 지표는 "Adjusted EBITDA"로 감가상각비 뿐 아니라 다른 비현금 비용인 Stock-Option 보상비용도 가산함으로써 실질적인 현금주의 영업이익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갔다고 할 수 있다. EBITDA와 Adjusted EBITDA는 GAAP(IFRS, USGAAP)에서 정의하지 않는 투자 지표임에도 GAAP에 의한 재무제표에 추가로 공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GAAP에 의한 재무지표만으로는 투자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다소 부족함이 있다는 판단임을 암시한다. IFRS 환경 하에서도 이러한 Non-GAAP 지표는 IR 자료, 애널리스트 브리핑, 실적 발표 등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조정 EBITDA, Adjusted EPS는 대기업의 실적자료에 거의 필수적으로 포함되며, 위 Tesla 사례와 같이 재무제표 본문 중간 subtotal로 표시되기도 한다. 문제는 Non-Gaap 지표 (예: EBITDA, Adjusted EPS 등) 는 회계 기준서상 정의되지 않고 있어 기업 간 비교가능성이 저하된다는 점이다. ESMA (유럽), ASIC (호주), 금융감독원 (한국) 등은 “공식 기준이 없는 Non-GAAP 지표를 IR 목적 외에 과도하게 강조할 경우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Non-GAAP 지표의 대표적인 종류
아래는 대표적인 Non-GAAP 지표의 예시이다.

IFRS 18에서의 Non-GAAP 관련 공시 요구사항
IFRS 18은 공식적으로 MPM(Management Performance Measures) 제도를 도입하여, 비 IFRS 지표(Non-GAAP 지표)에 대해 주석 공시를 의무화하였다. MPM (Under IFRS 18)은 이익 또는 손실에 기반한 비 IFRS(non-gaap) 지표로, 기업의 외부 커뮤니케이션(예: IR, 보도자료 등) 에 사용된다.
공시 요구사항 (문단 99103 및 B87B93)
IFRS 18에서는 Non-GAAP 지표는 MPM으로 별도 분류하여 회계이익과의 조정내역 등을 주석으로 공시할 것을 요구한다. 즉, 현재의 관행처럼 Non-GAAP 지표가 GAAP에 의한 재무제표 본문이나 주석에 섞이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이들은 MPM 관련 주석으로 별도로 categorized 되며 회계이익과의 관련성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조정내역은 공시되어야 한다.
* 생성형 AI로 제작된 이미지입니다.


IFRS 18 Reference
「Appendix A – 용어의 정의」 경영성과지표(Management performance measure)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수익 또는 비용의 부분합(subtotal)을 말한다. (a) 재무제표 외부의 공개 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s)에서 사용되는 경우 (b) 해당 지표가 기업의 재무성과 특정 측면에 대한 경영진의 관점을 전달하는 경우 (c) IFRS 회계기준서에서 명시된 부분합 또는 총액(subtotal or total)이 아닌 경우 100. 기업은 재무제표 외부의 공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각 경영성과지표에 대하여, 제101항부터 제106항까지 요구하는 정보를 하나의 주석(note)에 공시하여야 한다. 101. 기업은 각 경영성과지표에 대하여 다음의 정보를 공시하여야 한다 : (a) 해당 지표가 기업의 재무성과 특정 측면에 대한 경영진 관점을 제공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 (b) 경영성과지표와 IFRS 회계기준서에서 명시된 가장 유사한 부분합 또는 총액 간의 조정 (c) 각 조정 항목에 대해 별도로 공시한 소득세 효과 및 비지배 지분에 대한 영향 (d) 경영성과지표 또는 그 산정 방식에 대해 변경한 내용, 변경의 이유 및 영향에 대한 설명 (e) 해당 경영성과지표가 기업의 재무성과의 특정 측면에 대한 경영진의 관점을 제공하며, 다른 기업들이 사용하는 유사한 명칭의 지표와 반드시 비교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