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RS 18 하의 손익항목의 분류 Category
IFRS 18은 손익계산서상 손익항목을 "영업(Operating)", "투자(Investing)", "재무(Financing)"의 세 범주로 명확히 구분하고, 항목별로 어느 범주에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세부 지침을 제공한다. 특히 부채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에 대해서는 해당 부채가 순수한 자금조달 거래에서 발생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재무 범주 포함 여부를 결정하며, 하이브리드계약 및 파생상품의 분류에 대해서는 예외와 세부 지침이 존재한다.
- 영업 범주: 기업의 주요 수익 창출 활동과 관련된 항목
- 투자 범주: 비핵심 자산의 취득·처분에서 발생하는 손익
- 재무 범주: 자금조달 활동 및 부채 관련 이자 비용 등
손익 분류 관련 핵심 내용
(1) 부채 관련 손익
- 자금조달 거래에서 발생한 부채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현금 또는 자기 지분 상품을 수취하고, 미래 시점에 이를 현금 또는 자기 지분 상품으로 상환하는 거래에서 발생한 부채는 재무 범주에 포함된다. 예시로는 현금상환 사채, 자기주식으로 상환되는 채권, 공급자 금융 등이 있다. 관련 손익은 이자 비용, 공정가치 변동 손익, 주식배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비자금 조달 거래에서 발생한 부채 리스 부채, 고객과의 계약에서 인식된 계약 부채(IFRS15), 확정급여 채무 등은 자금조달이 아닌 운영 활동에서 기인한다. 이 경우, 이자 비용이나 이자율 변동에서 기인하는 손익만 재무 범주로 분류되며, 그 외는 영업 범주이다.
(2) 하이브리드 계약 (Hybrid Contracts) 하이브리드 계약 (Hybrid Contracts)
- 내재 파생이 분리 가능한 경우: 호스트 계약과 파생상품 각각 분리 적용
- 내재 파생이 분리 불가한 경우: 전체 계약 성격에 따라 분류 (금융 부채/보험계약/기타)
(3) 파생상품 및 헤지수단
파생상품 손익은 해당 파생상품이 관리하는 위험이 속한 범주에 따라 분류 (영업 또는 재무), 단, 여러 항목 동시 헤지의 경우 등은 일반적으로 영업범주로 분류된다.
주요 사례 정리
IFRS 18 적용과 관련하여 실무상 자주 마주치는 다양한 거래 유형에 대해 손익항목을 어떻게 분류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환사채 (Convertible Bonds)
기업이 발행한 전환사채는 일반적으로 부채(호스트 계약) 와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내재파생상품(전환권)으로 구성된 복합금융상품이다. 전환권이 분리 가능한 경우, 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자 비용은 자금조달 거래에서 발생한 손익으로 재무범주에 포함되고, 전환권의 공정가치 평가손익 역시 파생상품으로서 재무범주에 포함된다.
(2) 공급자 금융(Supplier Finance)
공급자가 받을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으로부터 조기 회수하고, 추후 상환하는 구조를 말한다. 이는 운영활동의 연장이 아닌 자금조달 성격으로 보아, 금융기관에 대한 부채와 관련된 이자 비용은 재무범주로 분류된다.
(3) 리스부채 (IFRS16)
리스부채는 자산사용권을 확보하는 대가로 발생하는 부채이며, 자금조달 목적이 아님. 그러나 리스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자 비용은 금융적 성격이 있어 재무범주에 포함되며, 자산사용권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영업범주로 분류된다. 외화 리스의 경우 환차손익도 재무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4) 금리 헤지 파생상품 (Interest Rate Swaps)
변동금리 대출에 대해 금리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고정금리로 교환하는 스왑계약은, 그 대상인 대출 이자 비용이 재무범주에 속하므로 파생상품에서 발생하는 손익도 재무범주로 분류된다.
(5) 원자재 선물계약 (Commodity Futures)
원재료 가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된 선물계약의 경우, 해당 원재료가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경우라면 이는 영업위험에 대한 관리로 보며, 파생손익도 영업범주에 포함된다.
(6) 지분법 적용 투자주식의 손익
지분법 적용 투자에서 발생하는 투자이익은 일반적으로 투자활동에서 기인하므로 투자범주에 포함되며, 전략적 사업 제휴 또는 통합 목적일 경우 예외적으로 영업범주로도 분류 가능하다.
(7) 외화차입금의 환산손익
외화차입금은 명백한 자금조달 거래이며, 이에 따른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익도 재무범주에 포함된다. 단, 경상거래성 외화채무(예: 외화매입채무)는 영업범주로 처리되어야 한다.
(8) 변동보상조건 포함 계약 (Variable Consideration)
매출계약에서 변동대가 조건(성과보수, 환불의무 등) 이 존재하는 경우, 계약부채에 대한 이자 비용 등은 재무범주로 분류 가능하나, 조건 충족에 따른 손익 인식은 영업범주에 포함된다.

복합금융상품 관련 손익의 분류 사례
아래는 grant thorthon의 IFRS 18 관련 article에서 발췌한 것으로 이 다이어그램은 내재파생상품이 포함된 하이브리드 계약(hybrid contract)에서 발생하는 손익을 IFRS 18 하에서 어떤 손익범주(영업, 투자, 재무) 로 분류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흐름도이다.
💡 View & Opinion
일부 기업에게는 IFRS 18을 적용함에 있어, 현재 시스템에 비해 더 상세한 기록 유지가 요구될 것이다. 예를 들어, 손상차손(impairment)의 경우, 기존 IAS 1 하에서는 손상차손을 하나의 일반계정으로 기록하면 충분했지만, IFRS 18에서는 세분화된 정보 확보를 위해 자산의 분류별로 복수의 계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기업은 이미 이러한 변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고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기업은 보고 시스템 및 프로세스에 대해 중대한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IFRS 18 최초 적용 시, 비교표시(비교 기간) 도 재작성해야 하므로, 비교 기간의 시작 시점(예: 2026년 1월 1일) 부터 새로운 보고 시스템이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은 계정과목 체계 개편 및 시스템 대응 가능성 사전 점검, 비교 기간 재작성 대비하여 2026년 1월부터의 시스템 구축 필요, 계정 분류 자동화를 위한 ERP 태깅 설계 등 사전 준비가 필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