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주요 사업 활동의 정의와 재무제표 영향
1. 주요 사업 활동(Main Business Activitie) 정의
주요 사업 활동이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고 자산·부채를 사용하는 핵심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즉, 기업이 본질적으로 ‘무엇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활동으로 다음과 같다. •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제조 및 판매 • 은행의 경우: 대출 및 예금을 통한 금융서비스 제공 • 부동산 리츠의 경우: 부동산 임대 및 자산 운용
2. 왜 주요 사업 활동을 식별해야 하는가?
IFRS18에서 수익과 비용을 분류할 때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IFRS18은 재무제표(특히 손익계산서)의 비교 가능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 세 가지 활동으로 분류된 정보를 요구한다.
따라서 기업이 무엇을 주요 사업 활동으로 정의하는지가, 모든 수익·비용 분류의 출발점이 된다.
분류 | 설명 |
---|---|
주요 사업활동 | 기업의 본업과 관련된 모든 수익과 비용 |
투자활동 | 비영업적 투자에서 발생하는 손익(예: 유가증권 매각) |
자금조달활동 | 차입, 배당, 자기주식 등 자본·부채 조달 관련 손익 |
3. 주요 사업 활동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주요 사업 활동은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및 현금흐름표(statement of cash flows)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
- (1) 손익계산서: 활동 구분에 따라 라인 아이템 구성 결정 • 주요 사업 활동 관련 수익 → 매출 또는 ‘기타 주요 수익’으로 분류됨 • 비주요 활동 수익 → ‘기타 수익’, ‘기타포괄손익’ 등으로 분류됨 • A 회사가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해 벌어들인 수익 → ‘주요 사업수익’ • A 회사가 보유한 부동산을 매각하여 얻은 차익 → ‘투자활동 수익
- (2) 현금흐름표: 현금 유입/유출 분류에 영향 •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 주요 사업 활동에서 발생한 현금흐름 • 투자활동 현금흐름(Investing cash flow): 자산 투자 및 처분 • 재무 활동 현금흐름(Financing cash flow): 차입금, 배당, 자기주식 등 • 주요 사업 활동이 바뀌면, 동일한 거래라도 현금흐름표상 분류가 바뀔 수 있다.
- (3) 연결재무제표 vs 개별재무제표의 차이 연결 기준으로는 ‘그룹 전체 관점에서의 주요 사업 활동’을 기준으로 분류해야 한다. 이는 모회사/자회사 각각이 정의하는 활동과 다를 수 있어, 연결조정 필요 발생 가능성이 있다.
항목 실무 고려사항 주요 활동의 정의 매출 비중, 자원 배분(인력/자본), 경영진의 주요 관심사 등을 고려하여 판단 연결 vs 개별 재무제표 연결 기준에서는 그룹 전체 관점에서 주요사업활동을 정의해야 함 변경 시 영향 주요사업활동 정의가 바뀌면 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 모두 재작성될 수 있음
4. 요약
질문 | 답변 요약 |
---|---|
주요 사업활동이란? | 기업이 본질적으로 수행하는 핵심 수익 창출 활동 |
왜 식별이 중요한가? | 수익·비용·현금흐름 분류의 기준이 되기 때문 |
재무제표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 |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분류 기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침 |
연결 기준에서의 유의점은? | 그룹 전체의 시각에서 통합 판단 필요. 각 기업과 다를 수 있음 |
주요 사업 활동의 평가 기준, 그룹(Group)
기업이 지정된 주요 사업 활동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보고 기업 자체의 관점에서 수행해야 한다. 이는 그룹의 연결재무제표에서는 그룹 전체의 관점에서 평가가 수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평가는 모기업이 별도 재무제표에서 수행하는 평가 또는 종속기업이 자체 재무제표에서 수행하는 평가와는 다를 수 있다. 즉, 그룹, 모기업, 종속기업은 서로 다른 주요 사업 활동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익 및 비용 분류 방식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손익계산서(및 연결현금흐름표)를 작성할 때는 추가적인 연결조정(consolidation adjustments) 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속기업이 자산 투자를 주요 사업 활동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연결재무제표에서는 그룹 전체가 이를 주요 사업 활동으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룹과 종속기업이 금융 제공(대출 등) 을 주요 사업 활동으로 본다고 하더라도, 지주회사 역할만 하는 모기업은 별도 재무제표상 이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Example ; 그룹 내 서로 다른 재무제표 세트에서의 주요 사업 활동 평가 시나리오 A – 자회사와 그룹 간 서로 다른 결론
정리하면, 주요 사업 활동 판단은 재무제표의 작성 단위(entity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개별재무제표: 자회사 자체 관점에서 판단, 연결재무제표: 그룹 전체의 경영성과 표시 목적에 따라 판단한다. 보고 부문(operating segment)과 내부 경영 보고 방식(예: gross profit 유사 소계) 이 판단에 핵심적인 지표가 된다. 결론이 다를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연결조정을 통해 정합성을 맞춰야 한다. 시나리오 B – 모회사와 그룹 간 서로 다른 결론 (Different conclusions for the parent and the group)
구분 | 연결 재무제표 | 별도 재무제표 |
---|---|---|
평가 주체 | 그룹 전체(그룹 관점) | 개별 기업 |
주요 사업활동 | 그룹 수준에서 통일된 기준 필요 | 개별적 판단 가능 |
재무제표 영향 | 수익/비용, 현금흐름의 분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기업별 판단 기준이 반영됨 |
실무상 유의사항 | 연결조정 사항 발생 가능성 (예: 분류 재조정, 내부거래 정리 등) | 외부 공시 시 그룹 기준과 불일치 가능성 존재 |
■ 종속회사 개별 관점과 연결실체 관점 그룹은 모회사 P(자동차 제조업)와 그 자회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자회사들은 자동차 제조 또 는 관련 활동에 종사하고 있으며, 단 하나의 자회사 S만 투자부동산 회사이다. S의 자체 재무제표에 서는, 부동산 투자 활동만으로 구성된 단일 보고부문(single reportable segment)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그룹의 연결재무제표에서는, 부동산 투자 활동이 단독으로 하나의 운영부문(operating segment)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은 그룹의 경영성과(operating performance)를 내부적 또는 외부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매출총이익과 유사한 소계(subtotal)**로 표시되지 않는다. S는 자체 재무제표에서 부동산 투자가 지정된 주요 사업활동이라고 판단한다. 이는 보고부문이 오 직 부동산 투자로 구성된 단일 활동이기 때문이다. 반면, 연결재무제표에서는 그룹이 부동산 투자를 주요 사업활동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이는 그룹이 부동산 투자 성과를 매출총이익과 유사한 소계로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그룹 전체의 영업성과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 결과, 연결 손익계산서(및 연결 현금흐름표)를 작성할 때 S의 손익을 영업 범주에서 다른 범주로 재분류하는 연결조정(consolidation adjustment)이 필요하게 된다.
구분 | 자회사 S (개별 재무제표) | 그룹 (연결 재무제표) |
---|---|---|
주요 사업활동 판단 | O(투자부동산) | X |
판단 기준 | 단일 보고부문 존재 | 총이익 유사 소계 없음 |
회계적 영향 | 주요 사업활동 수익/비용으로 표시 | 다른 활동 범주로 재분류 필요 |
실무 결과 | 연결조정 필요: S의 손익을 재분류 |
그룹은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들을 보유한 지주회사(Parent Q)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하 나의 자회사 R은 소매은행(retail bank) 이다. Q는 별도 재무제표에서 오직 자회사에 대한 투자만을 포함하는 단일 보고부문(reportable segment) 을 보고한다. R은 자체 재무제표에서 오직 고객에 대 한 금융 제공(providing financing to customers) 으로 구성된 단일 보고부문을 보고한다. R의 고객 금 융 제공 활동은 그룹 연결재무제표에서도 별도 보고부문으로 공시된다. R은 자체 재무제표에서 고객 금융 제공이 지정된 주요 사업활동이라고 판단한다. 이는 보고부문이 오직 해당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결재무제표에서도 그룹은 고객 금융 제공을 주요 사 업활동으로 판단한다. 이유는 보고부문 중 하나가 해당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Q의 별도 재무제표에서는, Q가 직접 고객에게 금융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해당 활동은 주요 사업활동 여부 판단에 무의미하다(irrelevant). Q는 오직 자회사(즉, 자산)에 투자하는 활동만을 주요 사업활동으로 판단한다.
요약
IFRS 18에서 ‘지정된 주요 사업 활동’은 보고 기업 관점에서 판단해야 하며, 이는 각 재무제표(별도 vs 연결) 의 작성 주체에 따라 달라진다. 지주회사(Parent Q) 는 본질적으로 자회사에 투자하는 활동만 수행하므로 고객 금융 제공 여부는 스스로의 주요 사업 활동 판단에 영향이 없다. 반면, 연결 기준(Group level) 에서는 보고 부문 중 하나가 금융 제공이므로, 이를 주요 사업 활동으로 간주한다. 즉, ‘주요 사업 활동’은 어떤 기업이 어떤 활동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실체 기준(substance-based) 판단이다.
구분 | Q (지주회사, 별도 재 무제표) | R(소매은행, 별도 재 무제표) | 그룹 (연결 재무제표) |
---|---|---|---|
주요 사업활동 | 자회사 투자 | 고객 금융 제공 | 고객 금융 제공 |
보고부문 기준 | 자회사 투자만 존재 | 금융 제공 단일 부문 | 금융 제공 부문 존재 |
회계적 결론 | 금융 제공은 무의미한 판단 대상 | 금융 제공은 주요 사업 활동 | 금융 제공은 주요 사업 활동 |
기업이 어떤 자산에 투자할 때, 그게 본업(주요 사업 활동)으로 볼 수 있는가?
다음 두 가지 유형의 자산에 투자하는 경우, 그 활동이 기업의 본업(주요 사업 활동) 일 수 있다.
- (1) 관계회사나 자회사 지분에 대한 투자 예를 들어 A 회사가 다른 회사(B, C, D 등) 의 지분을 보유하면서 직접 경영은 하지 않고 ‘지분수익(dividend)’을 얻는 경우로, 투자전문회사(펀드 회사 등) 는 이런 지분 투자 자체가 본업이 될 수 있다.
- (2) 기타 투자자산’에 대한 투자 예를 들어, 오피스 빌딩, 상가 등에 투자해 임대료 수익을 얻는 부동산회사나, 투자부동산과 고객의 보험료로 주식·채권에 투자하는 보험사에게는 채권이나 주식 같은 금융자산 투자도 본업으로 분류된다.
- (3) 현금이나 예금에 투자하는 건? 현금·예금(Cash and Cash Equivalents)은 ‘본업’으로 평가할 필요가 없다. 예금이나 현금은 어차피 거의 모든 기업이 갖고 있는 기본 자산이다. 이걸 ‘투자’라고 보긴 어렵고, 그로 인해 생기는 이자수익도 경영 성과를 보여주는 핵심 활동이라고 보긴 어렵다. 따라서 ‘현금’에 투자하는 게 본업인지 아닌지 따질 필요조차 없다.
상황 본업? 이유 부동산회사 → 건물 사서 임대 Yes 임대 수익이 핵심 수익원이기 때문 펀드회사 → 다른 기업 지분 보유 Yes 지분 투자 자체가 본업 보험회사 → 주식·채권 투자 Yes 보험료 수익 운용이 본질 일반제조업체→ 유휴자금 예금 No 예금은 단순 현금관리 수단일 뿐 유통회사 → 임시로 채권 투자 No 투자 목적이 아니고 일시적 여유자금 관리일 수 있음
지분법이 적용되지 않는 관계기업, 공동기업, 비연결 종속기업 투자에 대한 평가
기업에게 자산에 대한 투자가 주요 사업 활동인지 평가해야 할 의무가 주어지는 경우는, 그 투자가 지분법(equity method)으로 회계처리가 되지 않을 때로 한정된다. 왜냐하면 지분법이 적용되는 투자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항상 투자활동 범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지분법이 적용되지 않는 투자가 주요 사업 활동인지 판단할 때, 기업은 개별 자산 또는 동일한 특성을 가진 자산 그룹 단위로 평가하게 된다. 만약 별도 재무제표에서 자산 그룹 단위로 평가할 때는, IAS 27 기준서(별도 재무제표) 상 자산의 측정 기준 분류와 일관되게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관계기업 투자는 IFRS9(금융상품)으로 처리하고, 비연결 종속기업은 원가법(at cost)으로 측정하는 경우, 기업은 이들을 별도로 분류하여 주요 사업 활동 여부를 각각 평가해야 한다.
기타 비영업 자산(Non-operating assets)에 대한 평가
기업이 기타 비영업 자산에 대한 투자가 주요 사업 활동인지 평가할 때도, 개별 자산 또는 공통 특성을 지닌 자산 그룹 단위로 평가한다. 금융자산 그룹에 대해 평가할 때는, IFRS 7 기준서 제6항에 따라 기업이 식별한 금융자산의 분류(class) 와 일관되게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업이 채권, 상장 주식, 투자부동산 등에 투자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이 자산들이 기업의 핵심 수익원이자 경영 목표 대상이라면, 이는 주요 사업 활동이 될 수 있다. 반대로 단순 유휴자금 운용 차원이라면 주요 사업 활동으로 보지 않는다. 중요한 포인트는 "이 자산들을 묶어서 판단할 때는, 회계 기준서상 분류체계(예: IFRS 7 금융상품 공시의 자산 분류 기준)"에 따라 정리해서 평가해야 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