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 Issue Paper 8] KIFRS 1108, IFRS 18에 근거한 수익, 비용 항목의 범주별 분류

목 차

IFRS 18 Exposure Draft에서 제시하는 수익과 비용의 분류체계(classification of income and expenses)를 결정하는 논리적 흐름


General Requirements (일반 요건)
모든 기업은 손익(수익 및 비용)을 아래 3가지 손익 범주 중 하나로 분류해야 한다. ● Operating category (영업활동 손익) ● Investing category (투자활동 손익) ● Financing category (재무 활동 손익) 그러나 주된 사업 활동이 투자 또는 금융인 기업은 이 외에도 추가 요건(specific requirements)을 적용해야 하며, 이들은 일반 요건과는 다른 기준으로 일부 손익을 영업활동에 포함할 수 있다.
Operating category (영업활동 손익)
영업활동 손익은 기업의 주된 사업 활동(main business activitie)에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포함한다. 즉, 영업손익(Operating profit)은 일반적으로 이 범주에 해당하는 손익으로 구성된다. 다만, 다음과 같은 항목은 기업의 주된 사업 활동과 관련되어 있더라도 무조건 다른 손익 범주에 포함된다. ① 지분법 적용 투자(Equity-accounted investments) 관계기업의 순이익 중 당사의 지분에 해당하는 지분법의 이익은 지분법 회계를 적용하는 투자에서 발생한 손익이며, 이는 항상 투자활동 손익(investing category)에 포함한다. ② 참가적 조건이 있는 투자계약(Participation features) 보험사가 발행했으나 IFRS 17의 정의를 충족하지 못하는 보험성 계약 등 IFRS 9에 따른 참가적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에서 발생한 수익 및 비용은 주된 사업 활동에서 비롯되지 않더라도 무조건 영업활동 손익으로 분류된다.
IFRS 18은 영업활동 손익 범주를 간접적으로 ‘기본(default)’ 또는 ‘잔여(residual)’ 범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는, 기업이 특정 기준서에 따라 다른 범주(예: 투자 또는 재무 활동 손익) 로 분류되어야 할 명확한 요건이 없는 한, 수익과 비용을 기본적으로 영업활동 손익 범주에 분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FRS 18은 기업이 변동성이 크거나, 비정상적이거나, 일회성의 손익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이유로 영업활동 손익에서 제외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한다.
[Example]



영업활동 범주가 일반적으로 포착하는 손익 항목들



투자활동으로 분류되는 주요 수익과 비용 항목



전체 구조 이해
도표는 자산을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 ① 운영 자산(Operating assets): 예) 유형자산(PPE), 매출채권 등 본업과 직접 관련된 자산 ② 비운영 자산(Non-operating assets): 예) 관계기업 투자, 금융자산, 투자부동산, 현금 등
[1] ‘비운영 자산(Non-operating assets)’의 분류 절차
비운영 자산은 다시 3가지로 나뉜다. (1) 관계기업 투자 (예: 관계회사, 공동기업, 비연결 자회사 지분 등) : 지분법 또는 기타 방식으로 평가됨 Q. 이 자산에 대한 투자가 주요 영업활동인가?” Yes → 운영 활동(Operating category) No → 투자활동(Investing category) (2) 기타 비운영 자산 (예: 금융자산, 투자부동산 등) Q. 이러한 금융자산이나 부동산 투자가 주요 영업활동인가?” Yes → 운영 활동(Operating category) No → 투자활동(Investing category) (3) 현금 및 현금성 자산 (Cash & Cash Equivalents, C&CE) Q1.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가 주요 영업활동인가?” Yes → 운영 활동 No → 추가 판단 필요 Q2. “고객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영업활동인가?” Yes : 고객금융 제공과 관련된 C & CE → 운영 활동 / 관련 없는 C & CE → 투자활동 No : 회계정책 선택 가능 → 경영진이 자율적으로 운영 또는 투자 중 하나 선택 가능
[2] ‘운영 자산(Operating assets)’의 분류
운영 자산은 별도의 판단 없이 무조건 운영 활동(Operating category)으로 분류된다.
결론 요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