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相 鎬/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산업조사처장 Ⅰ. 중소기업 현주소 1. 국민경제상 중소기업 위상 [중소제조업 위상 변화]
[목차] Ⅰ. 중소기업 현주소 1. 국민경제상 중소기업 위상 2. 주요국의 중소기업 위상 비교 Ⅱ. 중소기업 실상 1. 최근 중소기업 동향 2. 중소기업 실태 우리나라 중소제조업의 현주소를 보면(1999년 기준, 종업원 5인∼299인) 사업체 수, 종업원 수, 생산액, 부가가치 등 모든 면에서 전년대비 10% 이상 증가하여 외환위기 이후 극심한 침체상태에서 벗어났다. 최근 통계청이 잠정 발표한 2000년 광공업 사업체 수(잠정)는 전년대비 7.5% 증가한 98,777개로 나타났으며, 이중 5인 이상 300인 미만 중소광공업 사업체 수는 전년대비 7.6% 증가하여 외환위기 이전인 1996년도 수준으로 거의 회복하였다.
┌──────────┬────┬────┬────┬─────┐
│ │ 1997 │ 1998 │ 1999 │ 증감률(%)│
├─────┬────┼────┼────┼────┼─────┤
│사업체 수 │전 체│ 92,138 │ 79,544 │ 91,156 │ 14.6 │
│(개) ├────┼────┼────┼────┼─────┤
│ │중소기업│ 91,324 │ 78,869 │ 90,449 │ 14.7 │
│ │ │ (99.1) │ (99.2) │ (99.2) │ │
├─────┼────┼────┼────┼────┼─────┤
│종업원 수 │전 체│ 2,698 │ 2,324 │ 2,508 │ 7.9 │
│(천명) ├────┼────┼────┼────┼─────┤
│ │중소기업│ 1,870 │ 1,638 │ 1,830 │ 11.7 │
│ │ │ (69.3) │ (70.5) │ (73.0) │ │
├─────┼────┼────┼────┼────┼─────┤
│생산액 │전 체│ 434,895│ 425,007│ 479,733│ 12.9 │
│(10억원) ├────┼────┼────┼────┼─────┤
│ │중소기업│ 201,464│ 196,796│ 227,891│ 15.8 │
│ │ │ (46.3) │ (46.3) │ (47.5) │ │
├─────┼────┼────┼────┼────┼─────┤
│부가가치 │전 체 │181,085 │176,730 │200,935 │13.7 │
│(10억원) ├────┼────┼────┼────┼─────┤
│ │중소기업│84,148 │84,890 │97,108 │14.4 │
│ │ │(46.5) │(48.0) │(48.3) │ │
└─────┴────┴────┴────┴────┴─────┘
※ 주:( )안은 전체 제조업에 대한 비중(%) 자료: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 해당연도 통계청의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를 근거로 1999년 중 중소제조업의 사업체 수(5∼299인)는 91,156개로 전제의 99.2%를 차지하였으며, 고용면에서는 73%, 생산 및 부가가치면에서는 각각 47.5%, 48.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구조별로 보면 중화학공업 부문의 사업체 수, 생산액, 부가가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여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위주에서 자본·기술집약적인 중화학공업으로 산업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다. 2. 주요국의 중소기업 위상 비교 전체 제조업 사업체 수에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9.2%로 일본, 대만, 미국 등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미국처럼 서비스산업 등 비제조업 분야의 고용이 월등이 높은 나라를 제외하고는 주요경쟁국 대만의 고용비중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주요국의 중소제조업 위상 비교] |
┌─────────────┬─────┬─────┬─────┬─────┐
│ │한국(1999)│일본(1998)│대만(1999)│미국(1998)│
├──────┬──────┼─────┼─────┼─────┼─────┤
│사업체 수 │전 제조업 │91,156 │373,713 │146,719 │366,443 │
│(개) ├──────┼─────┼─────┼─────┼─────┤
│ │중소기업 │90,499 │370,154 │142,686 │327,871 │
│ ├──────┼─────┼─────┼─────┼─────┤
│ │중소기업비중│99.2% │99.0% │97.3% │89.5% │
├──────┼──────┼─────┼─────┼─────┼─────┤
│종업원 수 │전 제조업 │2,508 │9,837 │2,603 │16,946 │
│(천명) ├──────┼─────┼─────┼─────┼─────┤
│ │중소기업 │1,830 │7,129 │2,092 │7,015 │
│ ├──────┼─────┼─────┼─────┼─────┤
│ │중소기업비중│73.0% │72.5% │80.4% │41.4% │
├──────┼──────┼─────┼─────┼─────┼─────┤
│출하액 │전 제조업 │477,987 │305,840 │8,068 │39,910 │
│(1억圓, ├──────┼─────┼─────┼─────┼─────┤
│10억円, │중소기업 │226,413 │157,938 │2,292 │9,893 │
│억元, 억弗) ├──────┼─────┼─────┼─────┼─────┤
│ │중소기업비중│47.4% │51.6% │28.4% │24.8% │
└──────┴──────┴─────┴─────┴─────┴─────┘
※주:중소기업기준은 한국 5∼299인, 일본 4∼299인, 대만 자본금 6천만元 미만, 매출액 8천만元 이하, 미국 500인 이하 매출은 1997년 기준 자료:한국 통계청, 일본·미국 중소기업청, 대만 중소기업처 Ⅱ. 중소기업 실상 1. 최근 중소기업 동향 (1) 생산 중소제조업의 생산은 내수회복이 지연되고, 주요 수출경기 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6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가동률도 수주감소에 따른 생산량 위축 등으로 생산과 마찬가지로 6월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
2000. 8월 6월 7월 8월
-생산증가율(전제조업, %): 25.6 △3.2 △6.2 △5.2
(중소제조업, %): 26.1 △2.4 △6.8 △4.3
-평균가동률(전제조업, %): 71.5 74.1 71.0 73.4
(중소제조업, %): 76.3 72.9 72.1 71.8
※주: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기준 자료:기업은행, 기협중앙회 (2) 수출 올 들어 중소기업 수출은 5월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오다 미국, 일본, ASEAN 등 주력 해외시장의 경기침체에 따른 수출부진으로 6월, 7월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각각 6.3%, 4.6% 감소하였으며, 8월 들어 1.0%의 미미한 수출증가세를 보였다. (3) 창업 및 부도 2001. 8월 중 8대도시 신설법인 수는 경기회복지연 전망 등으로 전월대비 186개가 감소한 3,361개로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며, 부도법인에 대한 신설법인 수 배율도 전월의 21.8에서 17.9로 크게 하락하였다. 이는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향후 경기전망이 불투명하여 창업열기가 다소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4) 자금사정 중소기업의 자금사정은 금융권의 중소기업대출 확대에 따라 일부 우량중소기업의 자금사정은 다소 개선되었으나, 경기침체와 수요 위축에 따른 내수 및 수출부진 등으로 자금경색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주식 및 회사채 등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은 경기회복지연에 따른 증시불안이 이어져 7월 4,184억원에서 8월 903억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2. 중소기업 실태 (1) 구매동향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의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구매액은 101조 6,749억원으로, 내수 및 수출 증가로 생산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원자재 수요가 증가한데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여 전년대비 23.2% 증가하였다. 원자재 구매액의 조달처별 비중을 보면, 타제조업체 구매가 57.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일반시장 17.0%, 대리점·무역상 13.2%, 자가생산 4.6%, 직접수입 4.0%, 공동구매 2.0%, 기타 1.9% 등의 순이다. 이를 전년과 비교해보면 타제조업체의 원자재 구매가 전년에 이어 가장 많은 가운데 전년보다 0.2%p 늘어났고, 대리점·무역상을 통한 간접수입과 직접수입 등 수입원자재 구매도 각각 1999년의 13.0%와 3.9%에 비해 다소 증가했으나 협동조합을 통한 공동구매는 이용실적이 여전히 저조하였고 자가생산 비중은 전년보다 다소 줄었다. [조달처별 원자재 구매액 구성비] (단위:억원, %) |
───────┬─────┬──┬───┬────┬──┬──┬──┬───
구 분 │구매액 │자가│타제조│대리점, │직접│공동│일반│기타
│ │생산│ 업체 │무역상 │수입│구매│시장│
────┬──┼─────┼──┼───┼────┼──┼──┼──┼───
중소 │1999│825,471 │4.8 │57.1 │13.0 │3.9 │2.0 │16.3│2.9
제조업├──┼─────┼──┼───┼────┼──┼──┼──┼───
│2000│1,016,749 │4.6 │57.3 │13.2 │4.0 │2.0 │17.0│1.9
────┴──┴─────┴──┴───┴────┴──┴──┴──┴───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회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의 원자재 구매대금 결제(금액기준)는 현금(30일 이내 현금결제) 50.4%, 어음 32.3%, 외상 17.3%로 구매대금 총액의 절반이상을 현금으로 결제하였다. 전년과 비교해 보면 어음결제(1999년 37.3%)는 감소(5.0%p)한 반면, 현금은 1999년(46.8%)에 비해 3.6%p, 외상은 1999년(15.9%)에 비해 1.4%p가 각각 늘었다. 이는 어음발행규모의 축소로 원자재 구매대금 결제시 활용할 판매대금 수취어음이 감소한데다 원자재 공급처의 어음기피에 따라 거래지위상 약자인 입장에서 현금 또는 외상 결제가 많아질 수밖에 없었던데 따른 것이다.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이 원자재 구매대금을 어음으로 지급하는데 소요된 총지급기일(구매어음교부기일과 지급어음의 결제기일을 합한 기일)이 127일로 1999년의 135일 보다 1주일 이상 단축됐다. 이는 지난해 지급어음의 결제기일이 120일 이상 장기어음의 축소(1999년 16.8%→2000년 10.6%)로 1999년의 89일에서 85일로 줄어든 데다 어음교부기일도 1999년의 46일에서 42일로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2) 판매동향 2000년 중소제조업의 판매액은 220조 630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이후 내수위축 및 미국, 일본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둔화에도 불구하고 1999년의 내수 및 수출 호조가 지난해 상반기까지 지속된 데 힘입어 전년 대비 23.3% 증가하였다. 판매방법별로는 타업체의 주문을 받아 생산·판매(납품)한 금액이 전체 매출액의 85.6%로 전년보다 증가하였고, 주문생산판매액 중에서 수출액 비중은 21.6%로 전년보다 2.5%p 늘었으며, 내수판매액 비중도 64.0%로 전년보다 증가하였다. 특히「OEM 및 부품납품」에 의한 판매는 48.0%(수출 13.3%, 내수 35.7%)로 1999년의 51.6% 보다 낮아져 모기업 의존도가 다소 줄어든 대신, 판로개척 및 유지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자기상표」에 의한 판매액 비중은 36.6%로 1999년의 26.1%보다 증가하였다. [판매형태별 제품판매액 구성비] (단위:억원, %) |
───────┬─────┬──┬─────────────────────
│매출액 │계획│ 주문생산판매
│ │생산├──┬────────┬─────────
│ │판매│소계│ 수출 │ 내수
│ │ │ ├──┬──┬──┼──┬──┬───
│ │ │ │OEM │자기│부품│OEM │자기│부품
│ │ │ │ │상표│납품│ │상표│납품
────┬──┼─────┼──┼──┼──┼──┼──┼──┼──┼───
중소 │1999│1,784,238 │22.3│77.7│6.0 │6.4 │6.7 │11.8│19.7│27.1
제조업├──┼─────┼──┼──┼──┼──┼──┼──┼──┼───
│2000│2,200,630 │14.4│85.6│7.5 │8.3 │5.8 │11.2│28.3│24.5
────┴──┴─────┴──┴──┴──┴──┴──┴──┴──┴───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회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의 판매대금 결제(금액기준)는 현금(30일 이내 현금결제)이 38.9%, 어음 43.1%, 외상(30일 초과 현금결제)은 18.0%를 차지했다. 이를 전년과 비교해 보면 어음결제는 1999년의 49.8%에서 6.7%p가 감소한 반면, 현금결제비율은 1999년의 34.4%에 비해 4.5%p가 증가했고, 외상결제비율도 1999년의 15.8%에 비해 2.2%p가 늘었다. 이는 대기업 및 금융권 구조조정에 따른 어음발행규모의 축소로 어음교환규모가 IMF이후 감소추세인데다 어음기피 및 기업구매자금대출제도 시행(2000. 5) 등으로 어음이 줄고(1998년 53.6%→2000년 43.1%) 대신 현금이 증가(1998년 32.0%→2000년 38.9%)하는 추세이며, 외상은 지난해 하반기이후 자금사정악화 등으로 인해 30일 초과한 현금결제가 많아진데 따른 것이다. [제품판매대금 결제상황] (단위:%) |
───────┬───────┬───────┬────────
│ 현 금 │ 어 음 │ 외 상
구 분 ├───┬───┼───┬───┼───┬────
│ 1999 │ 2000 │ 1999 │ 2000 │ 1999 │ 2000
───────┼───┼───┼───┼───┼───┼────
중소제조업 │ 34.4 │ 38.9 │ 49.8 │ 43.1 │ 15.8 │ 18.0
───────┴───┴───┴───┴───┴───┴────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회 제품판매대금의 어음결제기일을 합한 총회수기일은 평균 138일로 1999년의 147일에서 9일이 단축되었다. 이는 수취어음의 결제기간이 현금결제 유도, 장기어음 축소 등으로 1999년의 94일에서 2000년에 91일로 줄어들었고 어음수취기일도 1999년의 53일에서 2000년에 47일로 짧아진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제품판매 후 수취어음을 현금화하는데 까지는 평균 4.6개월(1999년 5.5개월) 정도의 장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재무구조 1) 성장성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의 매출액은 1999년에 국내외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 특히 내수호조에 힘입어 1998년의 부진(△3.5%)에서 탈피하여 18.0%로 크게 증가한데 이어 지난해에도 하반기 이후 유가상승, 환율불안 등 국내외 경기침체 등으로 인한 부진에도 불구하고 상반기까지 1999년의 경기회복세가 지속된 데 힘입어 전년대비 23.3% 증가하였다. 총자산은 지난해 법인창업 증가와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 상승, 투자유가증권 평가손실, 환차손 등 수익성 악화와 차입금 감소 등으로 증가율이 전년의 14.1%에서 12.4%로 둔화되었다. [경영규모 추이] (단위:%) |
────────┬──┬──┬──┬──┬──┬──┬──┬──┬───┬──┬───
구 분 │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 │1999│2000
────────┼──┼──┼──┼──┼──┼──┼──┼──┼───┼──┼───
총자산증가율 │18.5│20.9│15.8│23.5│12.1│ 8.3│13.4│10.3│-4.1 │14.1│12.4
매출액증가율 │17.0│16.0│ 9.0│ 9.0│15.7│15.4│ 6.1│5.3 │-3.5 │18.0│23.3
유형자산증가율│21.3│23.3│10.0│37.0│12.8│7.8 │14.2│11.0│-6.1 │10.7│12.7
────────┴──┴──┴──┴──┴──┴──┴──┴──┴───┴──┴───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회 2) 수익성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은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가격 상승과 인건비, 감가상각비, 물류비 증가 등에 따른 매출원가 상승, 금리하락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 환율불안에 따른 환차손 증가,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투자유가증권 평가손실 등으로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이 감소하여 수익성이 1999년에 비해 악화되었다. [수익성 지표] (단위:%) |
──────┬───────┬───────┬──────┬──────────
구 분 │총자산 │매출액 │매출액 │금융비용 대
구 분 │경상이익률 │경상이익률 │순이익률 │매출액 비율
├────┬──┼────┬──┼───┬──┼─────┬────
│ 1999 │2000│ 1999 │2000│ 1999 │2000│ 1999 │2000
──────┼────┼──┼────┼──┼───┼──┼─────┼────
중소제조업│ 3.61 │3.54│ 3.27 │2.92│2.81 │2.25│ 3.40 │ 2.81
──────┴────┴──┴────┴──┴───┴──┴─────┴────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회 3) 안정성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은 수익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차입금 감소로 부채비율이 하락하고 자기자본비율은 상승하는 등 재무구조가 다소 개선되었다.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이 차입금 비율 하락(차입금의존도:1999년 32.58%→2000년 31.94%)으로 1999년의 206.9%에서 192.6%로 낮아져 경영안정성이 다소 개선되었고,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산)은 1999년의 32.6%에서 34.2%로 높아졌으며, 단기채무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외상매출채권 및 현금확보 증가 등의 영향으로 유동자산이 증가하여 1999년의 107.0%에서 107.8%로 다소 높아졌다. [안정성 지표] (단위:%) |
──────┬───────┬───────┬───────┬─────────
구 분 │ 유동비율 │ 자기자본비율 │ 부채비율 │ 차입금의존도
├───┬───┼───┬───┼───┬───┼────┬────
│ 1999 │ 2000 │ 1999 │ 2000 │ 1999 │ 2000 │ 1999 │ 2000
──────┼───┼───┼───┼───┼───┼───┼────┼────
중소제조업│106.98│107.81│32.58 │34.18 │206.94│192.56│ 32.58 │31.94
──────┴───┴───┴───┴───┴───┴───┴────┴────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회 4) 생산성 2000년 중 중소제조업은 경상이익 감소 등 수익성 악화로 부가가치가 전년대비 3.7% 증가에 그쳐 부가가치율(부가가치/매출액)이 1999년의 27.0%에서 26.1%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종업원 1인당 생산성 지표는 고용증가율(5.1%)이 상대적으로 낮아 전년보다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이 매출증가(23.3%)에 힘입어 전년대비 17.3%,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노동생산성)는 전년대비 13.3%, 종업원 1인당 인건비는 전년대비 17.6%가 각각 증가하였다. 또한 인건비 증가로 부가가치 중 인건비 비중인 노동소득분배율은 1999년의 60.0%에서 62.3%로 높아졌다. 총자본투자효율(자본생산성)과 설비투자효율은 각각 31.6%와 73.9%로 매출증가에 따라 1999년의 29.8%와 69.7% 보다 상승하여 부가가치 창출에 다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지표] (단위:천원, %) |
────────────┬────┬────┬────┬──────
구 분 │1998 │1999 │2000 │증감(△)률
────────────┼────┼────┼────┼──────
종업원 1인당 매출액 │ 94,944 │ 105,202│ 123,425│ 17.3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25,076 │ 28,417 │ 32,185 │ 13.3
종업원 1인당 인건비 │ 15,364 │ 17,056 │ 20,062 │ 17.6
────────────┼────┼────┼────┼──────
총자본투자효율 │ 28.20 │ 29.84 │ 31.61 │ 1.77%p
부가가치율 │ 26.41 │ 27.01 │ 26.08 │ -0.9
노동소득분배율 │ 61.27 │ 60.02 │ 62.33 │ 3%p
│ │ │ │ 2.31%p
────────────┴────┴────┴────┴──────
※주:총자본투자효율=부가가치/총자본 자료:중소기업청, 기협중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