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우리한의원장 김 수 범 박사 요즘은 머리에 무거운 것을 들지도 않는데 목디스크로 고생을 하는 사람이 많다. 이것는 목디스크가 단순히 무거운 것을 들어서 오는 것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다는 것을 나탸내 주는 것이다. 목디스크는 목에 충격이 가해져 경추사이의 디스크가 불거져 나와 목과 팔로 내려가는 신경을 눌러서 나타나는 증세이다. 그래서 어깨, 팔, 팔목, 손으로 내려가는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목디스크가 심하면 목의 통증이 심한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단순한 목의 긴장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세도 있다. 목디스크와는 구별을 하여야 한다. 중요한 것은 어깨, 팔, 손으로 내려가는 통증이 있어야 한다. 목디스크의 환자를 보면 가끔은 목의 통증은 별로 없으면서 어깨와 팔꿈치의 통증이 심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목디스크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쉬운 방법이 있다. 고개를 좌우로 돌릴 때에 목이나 팔쪽으로 짜릿한 감을 느끼게 되면 목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다. 보다 적극적으로 검사하려면 환자를 의자에 앉힌 다음에 환자의 머리를 위에서 아래로 눌렀을 때에 팔로 짜릿한 자극이 내려가면 목디스크 증세일 확률이 높다. 요즘에 목에 무거운 것을 이지도 않는데 목디스크 환자가 많은 것일까? 원인을 알아보면 상당수가 목의 자세가 안 좋은 경우가 많다. 즉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컴퓨터를 많이 쓰다보니 잘못된 자세로 작업을 하는 것, 평소에 소파에 비스듬하게 앉는 것, 한쪽으로 무거운 것을 드는 것,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긴장된 생활을 오래하는 것, 모두 목의 근육이 긴장을 초래한다. 이러한 생활이 오래되면 목의 근육이 긴장이 되면서 경추의 간격을 좁혀서 경추사이의 디스크를 불거져 나오게 한다. 자연히 목이나 팔로 나가는 신경을 누르게 되어 통증이 오게된다. 요즘은 주로 신경을 많이 쓰고 잘못된 자세로 오래 있는 것이 원인이 된다. 또 자동차가 많아지고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서 경추의 손상이 와서 목디스크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보통 목디스크를 수술을 하지 않고 치료하려면 적외선체열진단과 척추의 전신과 턱관절의 X-ray가 필요하다. 수술을 하기 위하여서는 CT나 MRI가 필요하다. 적외선체열진단은 몸의 체열을 적외선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몸의 통증부위, 순환이 안 되는 부위를 측정해 낼 수 있다. 턱관절, 경추, 흉추, 요추, 골반의 척추 전신의 X-ray를 찍어보면 퇴행성 척추질환이나 목이 대나무처럼 뻣뻣한 일자목, 척추의 측만증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목디스크환자의 검사를 하여보면 공통된 몇가지 증세들이 있다. 적외선체열진단은 목디스크가 신경을 누르는 부위의 온도가 떨어지는 증세가 특징이다. 척추전신 X-ray는 목의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가끔은 목의 문제는 가벼우면서 흉추나 요추의 이상이 심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는 흉추나 요추의 치료를 병행하여여 치료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턱관절의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다. 턱관절이 목이 있는 뒤로 밀리면 아래의 이빨들이 뒤로 가고. 머리의 무게 중심이 뒤로 가게 되고, 목의 근육이 이를 잡아 주려고 긴장을 하다보면 목 주위의 근육이 긴장이 되어 목의 디스크가 눌리고 목디스크의 증세가 올 수 있다. 사상체질의학에서는 목디스크가 오는 증세에 있어서 경추의 만곡이 비정상적인 것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다. 체질에 따라 목디스크의 원인이 다르므로 체질에 따라 주의한다면 목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다. 성격이 꼼꼼하고 내성적이며 모든 것을 정확히 하고 정리정돈을 잘 하는 소음인은 너무 긴장을 많이 하여서 목디스크가 온다. 남들은 기분 나쁜 일이 있으면 얼마 안 있어 잊어버리지만 오래 간직하는 경우가 많다. 충격이 크면 클수록 다른 사람보다 훨씬 더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머리 속에 가득 차 있는 울광증이나 스트레스, 완벽하게 해야된다는 부담, 긴장된 생활을 풀어주어야 한다. 그래서 경추 주위의 근육과 인대의 긴장이 풀어주어 경추사이의 간격이 여유가 있게 해야한다. 음식은 따뜻하며 약간 얼큰한 것이 좋다. 몸도 따뜻하게 보온을 하며 몸에 땀이 약간 배는 정도로 운동을 하여주는 것도 좋다. 차로써는 뼈와 척추를 튼튼히 하는 두충차, 긴장된 것을 풀어줄 수 있는 생강차, 유자차 등이 좋다. 기혈이 부족할 경우에는 인삼천궁차도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창의적이고 활달하고 적극적이며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봉사정신이 강한 소양인은 기분이 나쁠 때에 화를 많이 내거나 화를 풀지 못하고 가슴에 많이 갖고 있는 경우에 화가 목으로 올라간다. 이때에 잘못된 자세를 취하거나 긴장을 하는 경우에 갑자기 목디스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 신장의 기능이 약하거나 음이 허하여 허화(虛火)가 많은 경우에도 퇴행성 목디스크나 골다공증을 동반하여 목디스크가 올 수 있다. 따라서 항상 마음을 안정시키고 화를 내지 않고 남을 이해하려고 하며 모든 일을 천천히 처리하고, 세 번 이상의 생각을 한 후에 행동을 하는 것이 좋다. 아침, 저녁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아무 생각 없이 명상이나 단전호흡을 하는 것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음식은 녹두, 팥, 해삼, 생굴, 복어, 잉어, 가물치, 오이 등의 시원한 것이 머리와 목의 열을 내려주어 목디스크의 긴장을 풀어준다. 차로써는 화를 내려주고 음기를 보충하여주는 산수유차, 구기자차가 도움이 된다. 의젓하고 인내심이 강하며 느긋하며 성취력이 강한 태음인은 욕심을 많이 내고 과식을 하여 체중이 늘어나거나 목의 긴장이 생기면 목디스크가 많이 생긴다. 과식을 많이 하여 비만하여지면 목도 같이 굵어지고 목의 순환이 잘 안 된다. 여기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욱하기 화가 많이 오르거나 너무 욕심을 많이 내게 되면 목의 순환이 안되고 긴장을 하여 목디스크 증세가 나타난다. 따라서 목의 순환이 잘 되도록 하며 목의 살이 찌지 않게 하고, 목욕과 운동을 자주 하여 기혈의 승강이 잘 되도록 하여야 한다. 고단백의 저칼로리의 음식을 먹으며 소식을 하여 살이 찌지 않게 하고 피를 맑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음식은 배, 호도, 잣, 칡 등이 머리의 열을 내리며 진액을 보충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차로는 몸의 습을 없애주어 순환이 잘 되게 하는 율무차, 몸의 열을 내려주고 긴장을 풀어주는 칡차가 도음이 된다. 저돌적이고 선동적이고 영웅심이 강하고 추진력이 강한 태양인은 저돌적으로 나가려고 하다보면 기운이 위로 많이 올라가서 목의 긴장이 되어 목디스크가 올 수 있다. 또한 기가 너무 많이 오르다보면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증세가 병행하여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마음을 안정시키고 차분하게 행동을 하며 행동을 옮기기 전에 여러 번 생각한 후에 행동을 해야한다. 안하무인격으로 행동을 하거나 급한 마음으로 행동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화를 내거나 기름진 음식이나 고열량의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음식은 기를 내려주는 담백한 붕어, 조개, 포도, 머루, 모과 등이 좋다. 차로는 기를 내려주고 근육을 풀어주는 모과차, 기를 내리며 뼈를 튼튼하게 하여주는 오가피차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