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우리한의원장 김 수 범 박사 일상 생활에서 술은 빠져서는 안 되는 식품이다. 즐거울 때나 슬플 때나 항상 같이 하는 것이 술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를 풀기 위하여 마시고 기쁜 일이 있으면 축하를 하기 위하여 술을 마신다. 항상 술은 우리의 주위에 있다. 세계 어느 나라를 가던 마음을 트게 하는 것은 술이다. 각 나라마다 전통적인 독특한 술이 있어 서로의 애환을 달래기도 한다. 서양의 유명한 위스키, 꼰약, 맥주 등은 전세계에 공급을 할 정도로 알려진 술들이 많이 있다. 한국에서의 술문화는 독특한 면이 있다. 두 세 명의 사람만 모여도 항상 따라 다니는 것은 술이다. 한번 만나서 술을 먹기로 마음먹으면 1차, 2차, 3차 등의 장소를 바꾸어가며 뿌리를 뽑을 때까지 먹는다. 식사를 하면서 반주로 가볍게 먹을 때는 그래도 이성적으로 대화를 하고 즐기는 상태다. 2차, 3차로 가면 갈수록 점점 강도가 심해지며 골수들만 남아서 마시게 된다. 이쯤되면 사람이 술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술이 사람을 마시기 시작한다. 우리사화의 관습중의 하나가 술을 가지고 사람을 판단하는 것이다. 술을 같이 마셔보면 사람을 알 수 있다고 하여 술을 마시는 습관을 매우 중요시하였다. 심한 경우에는 능력있는 사람은 술을 잘 마시고 잘 놀고 전날 술을 잔뜩 마시고 다음날 거뜬히 일어나 업무를 하는 사람이라고 판단을 하기도 한다. 한국에서의 술은 사교다. 상대와 단숨에 친해지는 것도 술이고 술이 있어야 일이 진행된다. 술을 마시지 못하거나 종교적으로 술을 안 마시는 사람은 한국사회에서 사업을 하는데 영향을 받으므로 더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한다. 심지어는 대신 술을 마셔주는 술상무라는 직책도 공공연히 도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술은 안 마시는 것이 건강에 좋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상황이면 피해를 적게 해야한다. 요즘은 점점 술이 약해지며 부드러워지고 종류도 다양하여 지고 있다. 엣날에는 술이라고 하면 소주와 막걸리가 주종을 이루고 고급 술로 맥주를 먹었다. 이제는 막걸리는 보기가 힙들고 소주, 맥주, 양주가 주종을 이루며 값이 저렴한 소주보다는 맥주나 양주를 마시는 경향이 많다. 그리고 옛날에는 깡술을 마시기도 하였지만 요즘은 모두 몸을 생각하여 몸에 좋다는 술을 중심으로 마시는 경향이다. 한의학에서는 한약을 이용하여 만든 약주가 있다. 옛날의 의학서적이나 동의보감에 보면 보면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한약재를 이용하는 방법과 효능 등에 대하여 기술하여 놓았다. 술은 열이 많고 맛은 쓰고 달고 매우면서 독이 있다. 효능은 약이 빠르게 온몸에 퍼지게 하며 혈맥을 통하게 하고 위와 장을 도와주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우울한 것을 없애고 화나는 것을 발산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한약재를 선별하여 약술로 만들어 마시면 병을 치료하는데 이용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전통이 남아있어 요즘에도 어느 집에 가보면 둥그런 유리병에 각가지 약재를 넣어서 다양한 색깔의 약주를 전시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약으로 먹기보다는 술을 마시되 조금이라도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다. 술을 약으로 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술은 마시면 몸에 해를 주기 때문에 건강과는 거리가 먼 식품이다. 그러나 독도 잘 쓰면 약이 된다. 약술도 자신의 몸에 맞게 먹는다면 약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고혈압이 있거나 간기능이 약한 사람은 주의하여야 한다. 약술의 장점은 한약재의 성분을 다리지 않고 우려내며 보관이 쉬운 점이다. 그렇다면 체질에 따라서 어떻게 술을 마셔야 좋은가? 꼼꼼하고 내성적이고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려는 소음인은 몸이 차고 위장의 기능이 약하며 기(氣)가 부족한 편이다. 반면에 술의 성질은 열이 많으면서 기가 강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준다. 그래도 술이 잘 맞는 체질은 소음인이다. 평소에는 말이 거의 없다가도 술을 마시게 되면 술의 기운을 얻어서 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 빼빼 말라 있으면서 밥은 별로 안 먹고 깡술만 마시는 사람들 중에 많다. 도수가 얕으며 양이 많은 술보다는 소주, 고량주, 양주 등과 같이 양이 적으면서 도수가 높은 것을 선호한다. 약주로는 따뜻한 성질의 한약재를 이용하여 만든 약주가 좋다. 양기를 보하고 위장기능을 튼튼하게 하려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술인 인삼(人蔘)주가 좋다. 빈혈을 치료하거나 보혈(補血)을 하고자 하면 당귀(當歸)주나 천궁(川芎)주를 마시면 좋다. 신장의 기능과 성기능을 강화시키고자 하면 "오래된 두터운 종이도 뚫는다"는 파고지(破古紙)주가 좋다. 직선적이고 순발력이 강하고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소양인들은 화와 열이 많아 술을 마시면 바로 열을 받고 쉽게 취한다. 그래서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 중에 소양인이 많다. 몸에서 받지 않기 때문이다. 술을 마시면 바로 얼굴이 붉어지거나 심장이 뛰거나 정신이 어지러운 경우가 많다. 남들이 보기에는 술도 잘 마시소 말도 잘하고 활달하기 때문에 술도 잘 마실 것으로 생각을 한다, 그러나 실제는 술만 먹으면 잠이 안 오거나 정신을 못 차리거나 일을 할 수 가 없을 정도로 취한다. 사회생활에 잘 어울리고 싶은 마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술을 마시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술마시는 사람을 부러워한다. 만일 술을 마신다면 독한 술보다는 도수가 얕고 성질이 차면서 이뇨작용이 잘 되는 것이 좋다. 보리를 원료로한 맥주나 포도를 원료로한 와인, 선인장류를 원료로한 데낄라 등을 마시면 좋다. 약주는 마시더라도 많이 마시면 절대 안되고 몸에 적응이 될 수 있을 만큼의 소량을 먹는 것이 좋다. 피를 맑게하고 열을 내려주며 변비가 있는 경우에는 생지황(生地黃)주를 마시면 좋다. 양기를 보충하고 성기능을 강화하려면 "남편이 어느 날 산딸기를 먹은 후에 소변을 보자 오줌발이 너무 세어서 요강이 엎어진다"는 일화가 있는 복분자(覆盆子)주가 좋다. 무엇이든 잘 먹고 느긋하고 성취력이 강한 태음인들은 간기능이 강하여 잘 취하지 않고 술도 많이 먹어 주당이 많다. 무엇이든 잘먹고 흡수가 잘 되지만 기액(氣液)의 순환, 기(氣)와 혈(血), 체액의 순환이 잘 안되어 병이 생긴다. 술을 마시면 조금 먹어서는 마음적으로는 취한 것 같은데 표시가 잘 안나기 때문에 남들의 술잔을 많이 받게되어 많이 마시게 된다. 많이 마시다 보면 자연히간, 심장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어 열이 많이 생기기 때문에 간질환과 알콜중독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열이 많고 얼굴이 붉은 태음인들은 혈액순환이 안되어 쉽게 취하는 경우도 있다. 안주도 많이 먹기 때문에 쉽게 비만해진다. 순환이 잘 안되므로 양을 적게 마시며 도수도 앝은 것을 마시는 것이 좋다. 약주는 술이 열이 많지만 조금이라도 중화를 시킨다면 열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려면 죽엽(竹葉)주가 좋고, 페를 보하기 위하여서는 폐의 음기를 도와주는 맥문동(麥門冬)주가 좋다. 양기가 부족하여 성기능이 떨어진 경우에는 "양이 이풀을 먹은 후에 음탕한 생각을 하였다"는 음양곽(淫羊藿)주가 좋다. 저돌적이고 선동하고 남을 이끌어나가는데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는 태양인은 간기능이 약하고 기가 강하다. 기가 강하여 위로 오르거나 발산을 하기 때문에 기가 강한 술을 마시면 더욱 기가 올라서 술도 쉽게 취하며 안하무인(眼下無人)으로 행동하기 쉽다.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자신의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취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체질적으로 술을 마시면 몸이 힘들기 때문에 마시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독주를 마시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한다. 마신다면 포도를 재료로한 와인을 가볍게 마시는 것이 좋다. 약주를 마신다면 기를 내려주고 수렴을 시켜주려면 모과(木瓜)주가 좋고, 몸의 열을 내려주기 위하여서는 솔잎차가 좋다. 또 양기가 부족하여 성기능을 강화시키고 다리를 튼튼하게 하려면 오가피(五加皮)주를 마시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