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 東 云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꿈을 꾸지만, 부와 명예 그리고 지위는 많은 사람들이 바라는 공통된 꿈일 것이다. 우리는 이를 흔히 성공이라 하며, 성공하기 위해서는 뒷배경과 운이 있어야 한다는 성공법칙이 사회에 만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남보다 앞서 있다거나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성공이라고 생각하는데서 발생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법칙과는 달리 이 영화 <허드서커 대리인(The Hudsucker Proxy, 1994)>은 동화 속의 왕자와도 같이 착하기만 한 한 젊은이가 졸지에 대기업의 사장으로 발탁되어 아이디어 하나만으로도 그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기적(?)으로 가득 차 있다. 물론, 부만이 아니라 진실한 사랑마저도 얻는다는 데 그 성공의 법칙에 차이가 있다. 영화는 1958년 12월 31일 자정 무렵, 새해가 시작된다는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뉴욕의 허드서커사 건물 시계탑 부근의 44층 방에서 노빌(팀 로빈스)이 유리창 밖으로 나와 건물을 기어오르기 시작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먼시라는 소도시의 무명의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노빌은 전문경영인이 되리라는 청운의 꿈을 안고 뉴욕에 온다. 그러나 모든 구인광고는 경력자만을 요구한다. 호구지책을 위하여 할 수 없이 장시간 노동에 저임금으로 악명(?) 높은 허드서커사의 잡역부 모집에 응모하기 위해 그 회사 빌딩 회전문을 열고 들어선다. 곧바로 그에겐 파란 편지(Blue Letter) 전달이라는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임무가 주어지는데, 이는 고위간부들의 아주 개인적인 통신수단으로서 직접 본인에게 전달해야만 한다. 그런데 바로 그날 노빌이 회사 건물 문을 열고 들어간 그 시각, 허드서커사의 사장 웨링 허드서커, 그는 허드서커사를 설립하고 48년 동안 기업을 이끌어온 재계의 신화적 거물로, 경영자로서 가장 성공한 최고의 순간…. 1958년도를 결산하는 이사회에서 이번 3/4분기는 작년 대비 19%나 성장했으며, 시장점유율이 상승함은 물론 7개의 지사를 새로 열었으며, 해외지점도 지난 6개월 동안 뛰어난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독점판매권의 하도급건은 엄청난 이익을 올렸으며, 세금감면 혜택도 보았고, 주식은 두 배로 뛰었다는 회사가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고 있고, 한마디로 가진 건 돈밖에 없다는 행복한 보고를 받는 순간, 담배에 불을 붙여 재떨이에 놓고, 갑자기 주머니 속에서 똑딱거리는 시계를 꺼내어 테이블 위에 올려놓더니만, 만면에 미소를 지으며 그 위를 활주로인양 질주하다가 유리창을 뚫고 아무 이유도 없이 마천루가 내다보이는 뉴욕의 허드서커사 빌딩 44층에서 투신자살한다. 마치 바벨탑을 탈출하는 것과도 같이…. 사장이 죽자, 이사진을 막후조종하며 철저하게 자신의 이득만을 노리는 조직 내부의 모략가로, 부사장인 시드니(폴 뉴만)는 자신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꼭두각시 같은 인물을 사장에 앉혀 회사를 파탄에 빠뜨림으로써 주가를 폭락시킨 후, 다시 싼 값에 사들여 회사를 통째로 삼키려는 음모를 꾸민다. 왜냐하면, 자살한 사장은 회사의 이사장이자 주식을 87%나 가진 대주주이었지만, 그의 재산을 상속받을 가족이 없었다. 따라서, 주식은 회사 사규에 따라 사망 후 첫 회계년도에 일반대중에게 공개하도록 되어 있다. 앞으로 남은 기간은 한 달. 소액주주들에게 회사 소유권을 빼앗기고 싶지 않은 이사진은, 주가를 폭락시킨 후 다시 매입하여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 따라서, 회사를 망칠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영화 원제목 중 proxy는 일반적인 의미로는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권한대행을 위임받는 기법을 의미하며, 기업활동에 비추어 정의하면, 주주대신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권한 위임장(power of attorney) 또는 그런 권한을 위임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시드니의 욕망을 충족시켜 줄 무능한 대리인이라고나 할까? 아무튼 적당한 사람을 물색하던 중, 시드니는 우편물을 배달하러 온 촌뜨기 노빌을 허수아비 사장으로 발탁하고, 잡역부에서 졸지에 사장이 된 노빌은 뉴욕 언론의 표적이 된다. 그러자 허드서커사의 주식이 폭락하기 시작한다. 물론, 노빌이 지하 우편물실로부터 시드니에게 우편물을 배달하기 위해 그를 찾아가는 장면까지의 모습은 회사의 최고위층과 말단사원간의 엄청난 지위차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 보이의 다음과 같은 농담을 통하여 부의 허무함을 나타내준다. "올라가는 데 50년, 내려오는 데 30초 걸리는 게 뭐 게?" "웨링 허드서커야."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자 아르구스 신문사의 당당하고 유능한 여기자 에이미(제니퍼 제이슨 리)에게 새로 추대된 사장의 개인적 신상을 취재해오라는 임무가 맡겨진다. 그녀는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있는 노빌에게 접근, 식사 값이 없다는 둥, 어렵게 살아 왔다는 둥, 갖은 이야기로 노빌에게 다가가지만, 눈치 없는 이 젊은이는 묵묵부답…하는 수 없이 그의 옆에서 실신하는 모습을 보이자, 그녀를 그의 사무실로 데리고 오게 된다. 그녀는 자신도 먼시출신이라 속인 후 곧 그의 비서가 된다. 그녀는 처음엔 특종을 잡기 위해서 위장취업했으나, 선량할 뿐만 아니라 어리숙하지만 꿈과 희망에 가득 찬 순박한 사장에게 끌리게 된다. 시간이 돈이고 돈이 세상을 돌려 지구가 돌아간다면서, 시계가 잘 돌아가게 하는 것이 자신이 하는 일이며, 허드서커사에서 일어 나는 모든 일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없다는 모세를 만난 그녀는, 그를 통하여 고의적으로 꼭두각시 사장을 내세운 이사진의 속셈을 알아차리게 된다. 시드니의 생각과는 달리 바보 같은 노빌이 플라스틱 파이프로 된 둥근 원을 대량생산하여 판매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하게 된다. 그것은 경제성과 단순성이 있고 생산가가 낮으므로, 대량판매를 하면 큰 이익을 낼 수 있는 제품이며, 어린이와 가족들이 허리에 두르고 빙글빙글 돌리며 운동도 하고 재미있게 놀이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제품에 훌라후프라는 이름을 붙인다. 처음에는 생산가 59센트에 판매가 1달러 79센트로 시중에 판매하기 시작했으나, 전혀 팔리지 않자 가격은 25센트까지 하락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허드서커를 완벽하게 몰락시킬 제품이라고 판단한 시드니는 회심의 미소를 짓는다. 그러던 어느 날 훌라후프가 팔리지 않자 상점주인이 화가 나서 내다버린 훌라후프 하나가 길거리로 굴러가기 시작하더니, 그야말로 운명처럼 어떤 꼬마 앞에서 멈춘다. 그러자 이 훌라후프를 가지고 묘기를 부리며 놀던 소년의 모습을 시작으로 많은 아이들에 의해 훌라후프 붐이 촉발되었고, 순식간에 전세계의 남녀노소 불문하고 훌라후프 붐이 일었다. 이를 계기로 세계적인 히트상품이 됨으로써 가격은 즉시 3달러 99센트까지 치솟는다. 허드서커사는 훌라후프로 떼돈을 벌게 되고 주가는 치솟게 됨은 물론, 노빌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경영자로 평가받게 되어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게 된다. 이 영화에서 노빌이 1958년에 발명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 훌라후프의 진짜 발명자는 누구일까? 훌라후프의 발명가는 미국인 루이 마크스다. 1960년대 말 아프리카 오지 여행 중에 그 곳 어린이들이 나무덩굴로 만든 둥근 테를 허리에 감고 빙빙 돌리는 것에 착안했다고 한다. 구조가 간단해 나무덩굴 대신 플라스틱으로 둥근 테를 만든 것이 전부였다. 1년도 못되어 미국 전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훌라후프 붐이 일었고 돈방석에 앉게 되었다(매일경제신문, 1996. 6.28. 34면 참조). 갑작스러운 성공을 만끽하게 된 젊은 사장 노빌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지 못하고 나태해진 채, 자기 혼자서 허드서커사를 일으킨 것이 분명한 사실이라는 둥 자기 만족에 빠지게 된다. 심지어 유명 모델과 염문을 뿌리기도 한다. 그의 그런 모습에 실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미는 그런 그를 예전의 희망에 가득 찬 순수한 모습으로 되돌이키려고 애쓴다. 그녀가 노빌에게 근로자를 8% 해고하면, 1,800명 이상이 실직한다고 하자, 죽은 가지를 처내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렇게 변해버린 그에게, "남자한테 채인 건 처음인데, 정말 아프군요. 하지만 당신이 영혼을 저버리는 건 더 가슴아파요. 돈, 안락, 존경 따위는 중요한 게 아녜요.…노빌, 훌라후프에 대한 당신의 이상을 잊었나요? 모든 미국인에게 웃음을 선사하겠다고 했잖아요.…노빌을 사랑했죠. 아이디어만 가지고 벅찬 곳에 뛰어든 착한 사람을 말예요. 이제는 머리가 너무 커버렸죠."라고 질타한다. 호시탐탐 그의 약점을 노리며 노빌을 몰락시킬 기회를 엿보던 시드니는 훌라후프에 대한 아이디어는 그가 엘리베이터 보이의 생각을 훔친 것이었다는 누명을 씌우고, 에이미가 그런 허위사실을 퍼뜨린 사람으로 오인되게끔 일을 꾸민다. 노빌은 이 때문에 우울증에 빠져버리고 요양원에 갇히기 직전에 이른다. 앤의 440 술집에서 만난 두 사람…. 에이미는 너그러움을 발휘해서 한 번 더 기회를 달라고 부탁하며, 자신이 도와줄테니 이 번 기사가 거짓이란 걸 함께 증명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노빌은 "헛점을 보이지 마라 두 번째 기회란 없다."면서 거절한다. 그리고 자신을 속인 것에 대해 질타를 한다. 절망한 노빌은 영화의 첫 장면, 결국 전임 사장인 웨링이 투신자살했던 시계탑에 올라 투신자살을 기도하는 신세가 된다. 그러나 빌딩에서 떨어지던 노빌이 허공에서 멈춘다. 시간이 정지된 것이다. 바로 그 때, 죽은 웨링이 천사가 되어 나타나 파란 편지가 아직 배달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그 편지에는 사랑하는 여인을 떠나 보낼 만큼 오로지 사업의 성공만이 그 전부였던 자신의 후회스러운 삶에 대한 고백과 함께, 차기 사장은 주주나 이사진의 간섭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고, 실패했다고 절망하게 되면 과거에만 연연하게 되므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유롭게 뜻을 펼칠 수 있도록 자기 재산의 전부를 기증하겠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다시 용기를 얻은 노빌은 에이미와 재회하고, 결국 자기 꾀에 넘어간 시드니는 회사 소유권을 고스란히 노빌에게 넘겨주고 만다. 거꾸로 시드니 자신이 정신병원행이 되고, 노빌은 지혜와 정열로 기발한 아이디어를 다시 내게 됨으로써, 비로소 허드서커사의 진정한 사장이 된다. 그렇다면 이 영화에서 엿볼 수 있는 주제 중 첫째는 바로 아이디어라는 상품일 것이다. 번뜩이는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성공을 이끌어낸 사례들이 많이 있다. 훌라후프 외에도 껌, 볼펜, 샴푸, 스카이 콩콩, 마디가 꺾어지는 빨대, 샌드위치, 통조림, 요요 등…. 이 영화에서도 훌라후프 하나 만으로 비즈니스라는 냉엄한 경쟁의 정글 속에서 단숨에 돈방석에 오를 수 있었고, 비로소 어리숙한 청년에서 경영자로 변모할 수 있었던 것이다. 중간에 좌절도 있었고 동화 같은 이야기로 이를 극복하는 장면도 있었지만…. 유머스럽게 아이디어를 나타낸 짤막한 글을 소개해보자. "어느 잡화점이 어찌나 장사가 잘 되었던지 다른 두 잡화점이 그 가게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이사와서 파격적으로 싼 값으로 판매한다는 큼직한 간판을 내 걸었다. 그러자 며칠동안 궁리한 끝에 양편의 가게 보다 더 큰 간판을 내걸었는데, 그 간판에는 다만 입구라고만 표시되어 있었다"고 한다. 아이디어는 거창한 것만이 아니라 주변에서 얼마든지 이끌어낼 수 있다는 뜻일 것이다. 하나만 더 소개해 보자. 캐나다의 토론토의 어느 백화점에서 소매치기가 잡혔다. 소매치기는 한번만 용서해달라고 소리쳐 울면서 용서를 빌었지만, 경비원들은 사정없이 끌고 갔다. 그런데 문을 잠가버린 경비실 속에서 주고받는 대화는 엉뚱하였다. 소매치기 : 이만하면 합격이지요? 경비원 : 아 그렇고 말구요. 참 멋지게 잘했습니다. 일류 배우이십니다. 다음은 15분 후에 1층 스포츠용품 코너에서 해주세요. 소매치기는 이 백화점측에서 고용한 가짜 도둑이었고, 소매치기로 분(扮)한 사람은 배우나 연극 전공 학생이었다. 좀도둑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는 앞에서 창피를 주는 겁니다. 우리는 그 심리를 이용해서 이런 기회를 착안했지요. 대수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효과는 틀림없으니까요. 조그만 아이디어가 골치 아픈 문제를 의외로 쉽게 해결해 주기도 하는 법이다. 큰 일 작은 일 할 것 없이 아이디어를 짜내고 실천하는 것은 즐거움 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영화 속에서도 노빌의 희망으로서의 가장 단순한 원의 산물이 훌라후프였고, 그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반면, 허드서커사의 건물 앞에 걸려 있는 시계는 통제의 산물인 셈이다. 극단적으로 시간이 정지됨으로써 모든 어려움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바뀐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지금부터가 더 큰 문제이다. 끊임없는 노력을 통하여 아이디어 샘이 마르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사무·생활용품 개발의 대명사로서, 연구개발 제일주의를 표방하여 1년에 무려 515개의 신상품, 즉 3일마다 2개씩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다는 회사, 3M(Minnesota Mining)의 경우를 살펴보자(이하 내용은 중앙일보사, [이코노미스트], 제376호, 1997. 3. 4.에서 발췌). 실제로 이 회사가 지금까지 시장에 내놓은 제품은 모두 5만가지가 넘는다. 3M이란 회사는 잘 몰라도 3M제품은 생활주변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히트상품인 스카치테이프와 포스트잇(사무용 메모지)을 필두로 재생 플라스틱병을 이용해 만든 수세미, 컴퓨터 마우스 패드, 분무형 풀, 첨단 의료·통신용 소재에 이르기까지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는 3M발명품이 쓰인다. 3M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한 본사를 비롯해 전세계 42개국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종업원 수가 8만5천명에 이르는 거대기업으로, 신상품 개발은 3M의 성공비결이자 생존전략이다. 3M의 제품 중에는 한 시대를 풍미할 정도의 획기적인 히트상품도 있지만, 품목당 평균매출액이 30만 달러에 불과할 정도로 작은 아이디어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3M이 다른 대기업과는 달리 소량다품종 생산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왕성한 신제품 개발노력 덕택이다. 3M은 최근 4년간 개발한 신제품으로 총매출의 30%를 달성한다는 경영목표를 세웠다. 4년 전까지는 과거 5년간의 신제품으로 매출의 25%를 충당한다는 게 목표였다. 이미 5만 가지가 넘는 제품을 공급하면서 신제품으로 매출의 30% 이상을 메우자면 끊임없이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내놔야 한다. 3M의 제품개발방식은 프러덕트 아웃(Product-Out)형으로 불린다. 대개의 기업이 시장의 요구를 좇아 제품을 개발하는 마켓 인(Market-In)방식을 취하는데 비해, 프러덕트 아웃방식은 회사가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제품을 개발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 같은 제품개발방식이 가능한 데는 연구개발 제일주의를 표방하는 3M의 독특한 사풍(社風)이 큰 몫을 차지한다. 3M에는 아이디어를 죽이지 말라는 계율이 있다. 아이디어가 많으면 많을수록 상품화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신제품의 수가 늘어난다는 말이다. 따라서, 3M에서는 어떤 아이디어라도 확실한 반증자료가 없는 한 최고경영자도 함부로 무시하거나 묵살할 수 없다는 게 불문율이다. 실제로 연구·기술직 사원은 자신의 근무시간 중 15%를 업무와 무관하게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거나 흥미를 느끼는 연구과제에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15%룰, 회사 내 수많은 연구소와 사업부의 주요 연구개발과제를 내부평가하는 기술감사제도, 상사로부터 연구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은 연구과제라 할지라도 연구자가 추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상사에게 이를 숨기고 비밀리에 연구를 계속 할 수 있는 비밀연구(Boot Legging)제도, 그리고 연구·기술직 직원들이 회사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기술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포럼 등의 제도는 3M만의 독특한 연구지원방식이다. 연구개발을 장려하는 3M의 노력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회사 조직자체가 연구개발중심으로 짜여져 있다. 3M의 조직은 본사 산하에 크고 작은 수많은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사업부는 독립기업과 같은 정도의 자율성을 가지고 운영된다. 회사 내에 수많은 벤처기업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사업이 커지면 다시 작은 사업부로 쪼갠다. 현재는 50개 사업부문이 있고 관련 사업부가 모여 2개의 사업영역을 이루고 있다. 이 같은 사업부중심의 연구개발조직은 통상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데는 제격이지만 사업부의 범위를 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아무래도 놓칠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나온 것이 제네시스(창세기)프로그램이다. 사업부의 성격과 동떨어진 아이디어로 통상적인 연구개발 예산과 인력을 배정 받기 어려운 경우는 본사의 위원회에 신청하여 아예 별도의 예산을 배정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 한 가지 아이디어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3M의 철저한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각종 포상제도도 연구개발을 촉진하는데 적극 동원된다. 대표적인 것이 3M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칼튼상이다. 획기적인 연구성과로 회사발전에 크게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이 상은 3M연구직 누구나가 평생에 걸쳐 한 번 받아 보고 싶은 최고의 영예다. 3M에는 이밖에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11가지의 포상제도가 있는데 지금까지 수상자가 1만5천여명에 이른다. 1902년 사업에 문외한인 5명이 각각 1,000달러씩을 출자해 설립한 3M은 당초에는 광산회사로 출발했다. 연마제용 강옥석을 채굴했으나 품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처음부터 좌절을 겪었다. 3M은 도산직전의 위기에서 사업방향을 연마지(샌드페이퍼)개발로 돌려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를 계기로 3M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산업용 소재에서부터 사무·생활용 필수품의 대명사로 우뚝 서게 된 것이다. 3M의 발전에 초석을 놓은 초대회장 윌리엄 맥나이트는 이 때부터 인간중심의 3M 경영철학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3M의 연구개발풍토를 확립시켰다. 이런 전통은 1991년 취임한 리비오 디지모니 현회장에까지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디지모니 회장은 지금도 틈날 때마다 "실패의 경험에서 터득한 교훈이 더욱 소중하다"며 연구개발을 독려한다. 둘째로, 영화에서는 전임 회장의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경영자에게 중요한 것은 물러설 때를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다시 표현하면, 경영자의 여러 책임 중에 후계자양성 책임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경영학에서는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말로 표현되는데, 전문경영자로써 주주에게 봉사하는 것만이 아니라, ① 기업의 존속·발전추진에 대한 책임, ② 종업원의 인간적 만족에 대한 책임, ③ 이해관계자의 이해조정에 대한 책임, ④ 환경오염 방지에 대한 책임, ⑤ 후계자양성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뜻이다. 이 중에서 다섯째 번 책임은 기업의 발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미래를 위한 유능한 경영자의 양성 없이는 기업성장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경제사회의 발전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임금이라는 세종대왕의 경우를 살펴보자. 태종 이방원은 막강한 힘을 이용하여 정권을 찬탈하여 왕위에 오른 후, 자식들에게 왕위를 물려 줄 때, 자신과 뜻을 같이 한 공신들 마져도 배척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강력한 왕권을 세습함으로써 후대에 태평성대를 이룰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 준다. 여기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양녕대군이라는 존재이다. 그는 스스로 왕이 되기를 거부하고, 자신보다 출중한 동생이 임금이 될 기회를 만들어주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세종 자신이 성군이 될 자질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겠지만, 그들의 공과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문제는 문종과 단종으로 이어지는 세습에서 발생하였다. 병약한 장자에게 왕위를 물려줌으로써 조선시대 중 가장 피로 얼룩진 시대를 열게 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세종은 당대에는 훌륭한 임금으로서의 역할을 다 했다고 할 수 있지만, 왕위를 잘못 넘겨주었다는 책임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영화에서 소개된 아이디어라는 조건 외에 일류기업의 조건에 대하여 몇 가지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일류 미국기업의 전략에 대하여 살펴보자.
┌────┬─────────────────────────┬─────────────────┐ │연구자 │경 영 전 략 │예 │ ├────┼─────────────────────────┼─────────────────┤ │변중석1)│ 자연(천·지·인)과 화합하는 정도경영비전을 설정하여│ LG의 정도경영, 유한양행의 업종전 │ │ │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의한 경영혁신을 추진 │ 문화 │ │ ├─────────────────────────┼─────────────────┤ │ │ 사내유보금 등으로 항상 자금여유 보유 │ 남양유업 및 삼영전자의 무차금경 │ │ │ │ 영 │ │ ├─────────────────────────┼─────────────────┤ │ │ 학술연구부문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확충 │ 선경의 장학생지원, 효성의 최초 │ │ │ │ 민간기술연구소 │ │ ├─────────────────────────┼─────────────────┤ │ │ 문예부문에 종사하는 인재육성에 대한 지원 │ 삼성 및 코오롱의 체육인양성, 금 │ │ │ │ 호의 음악인육성 │ │ ├─────────────────────────┼─────────────────┤ │ │ 자원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 삼성, 현대 및 대우의 공익사업, 한│ │ │ │ 국유리의 자선사업 │ │ ├─────────────────────────┼─────────────────┤ │ │ 근로생활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업인프라부문, │ 두산의 환경친화운동, 풀무원의 무 │ │ │ 즉 녹색환경개선, 종업원의 복지증진, 노사일체감을 │ 공해식품 │ │ │ 조성하기 위한 활동을 확충 │ │ └────┴─────────────────────────┴─────────────────┘ ┌─────┬───────────────────────────┬──────────────┐ │김준범2) │ ○ 핵심역량 확보에 자원 집중 │ │ │ │ ○ 타겟 고객의 니즈를 적극 수용 │ │ │ │ ○ 잘 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 │ │ │ │ ○ 항상 적고 강한 조직 유지 │ │ │ │ ○ 경쟁사와는 다른 차별화 포인트 개발 │ │ │ │ ○ 눈을 글로벌시장으로 │ │ ├─────┼───────────────────────────┼──────────────┤ │이주인3) │ 상식적이고, 기본에 충실한 경영 │ │ │ │ ○ 핵심 역량 중심의 경영(주특기 중심) │ │ │ │ ·미래지향적인 사업 구조 조정 │ │ │ │ ·철저한 수익성 위주의 경영 │ │ │ │ ·고객만족의 실천 │ │ │ │ ○ 사람중심의 경영 │ │ │ │ ·구성원들의 역량 발휘를 위한 여건 조성 │ │ │ │ ·경영사이클(학습을 촉진시키는 계획·실행·평가 │ │ │ │ 메커니즘)의 엄격한 적용 │ │ │ │ ·조직경쟁력의 근본원천으로서의 리더에 대한 │ │ │ │ 가치부여 │ │ ├─────┼───────────────────────────┼──────────────┤ │정진철외4)│ ○ 사회에 봉사하는 기업으로서의 명성을 획득하자.. │ │ │ │ ○ CEO 육성 프로그램을 제도화하자. │ │ │ │ ○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가치를 중시하는 구조를갖추자.│ │ │ │ ○ 조직 구성원을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기업변신을 │ │ │ │ 유연하게이루자. │ │ ├─────┼───────────────────────────┼──────────────┤ │ 盧富鎬5) │ 事業的 價値(도전적 가치)와 人間的 價値 │ │ │ │ (인간존중의 가치)의확립 │ │ ├─────┼───────────────────────────┼──────────────┤ │최병권6) │ 인재중심의 경영 │Federal Express사의 구성원 │ │ │ ○ 전략적 역량 - 시장과 고객 등 경영환경의 조망 및 │ 의식조사, TRW사의 글로벌 │ │ │ 방향설정 │ 리더 육성프로그램,Monsanto │ │ │ ○ 조직운영 역량 - 전략적 과제의 실행에 따른 거시적 │사의 성과관리시스템, │ │ │ 성과도출 │Johnson & Johnson사의 │ │ │ │리더십개발 프로그램, AT&T의 │ │ │ │ Meta Competency 리더십모델 │ └─────┴───────────────────────────┴──────────────┘ 1) 변중석, 초우량기업의 새로운 평가기준, 한국공인회계사회, [월간공인회계사], 1999년 3월. 2) 김준범, 초우량기업이 다른 점, LG경제연구원, [주간경제], 524호, 1999. 6.23. 3) 이주인, 경영의 기본에 충실한 일류기업들, LG경제연구원, [주간경제], 612호, 2001. 2.28. 4) 정진철·임종욱, 불황을 모르는 기업의 조건, 현대경제연구원, [Prime Business Report], 2001. 6.28. 5) 盧富鎬, 優秀企業은 무엇이 다른가, 한국물가협회, [물가자료], 2001년 7월호. 6) 최병권, 인류기업의 인재중심경영 실천사례, LG경제연구원, [주간경제], 666호, 2002. 3.13.그러면 경영사(史)에서 실제로 각 기업들이 개발하여 현재까지도 주목받고 있는 경영기법들을 제목만 열거해 보자(자세한 내용은, 윤덕균, 생산성 역사를 통해 본 초우량기업의 성공이야기 , 민영사, 1996. 참조). 포드사의 컨베이어 시스템(1913년), 벨연구소의 통계적 품질관리(1924년), 랜드사의 시스템분석론(1946년), GE사 마일즈의 가치공학(1947년), 듀폰사의 CPM(Critical Path Method; 1957년), GE사 파이겐바움의 TQC(Total Quality Control; 1960년), 이시가와의 품질관리 분임조(1962년), 마틴사의 ZD운동(1962년), IBM사의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1968년), 일본전장(日本電裝)의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1969년), 토요타사의 JIT(Just In Time; 1973년), 해링톤의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1973년), 볼보사의 공장 인간화(1977년), 마쓰시다사의 RIAL(Redesign &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Line-System) 등이다. 실제로 미국의 초일류기업들의 사례를 통하여 그들만의 경영전략에 대하여 살펴보자( 초일류 미국기업에서 배운다 , 중앙일보사, 이코노미스트 , 제365호 1996.12. 3.∼제384호, 1997. 4.29.; James C. Collins, Jerry I. Porras, Built to Last-Successful Habits of Visionary Companies, Harper Business, 1994(최숙희 평) 참조).
┌─────┬─────────────────────┬───────────────────┐ │회사명 │경 영 전 략 │ 평가 및 핵심적 경영이념 │ ├─────┼─────────────────────┼───────────────────┤ │모토롤라 │ ·6시그마운동(99.997% 무결점 품질경영 운 │ ○ 미국에서 가장 사랑 받는 기업 │ │ │ 동) - 전사적 품질관리의 거인, 권한위임 │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적당한 가격에 │ │ │ 의 화신, 교육훈련의 신봉자, 혁신의 대명 │ 공급하여 사회에 공헌 │ │ │ 사, 이익의 황태자 │ ·끊임없는 자기 혁신 │ │ │ │ ·잠재된 창조력 일깨우기 │ │ │ │ ·사고,품질,고객만족에 대한 끊임없는 │ │ │ │ 개선 │ │ │ │ ·고용자의 존엄성 중시 │ │ │ │ ·비즈니스에 대한 정직, 성실, 도덕성 │ ├─────┼─────────────────────┼───────────────────┤ │GE │ ·핵심기술을 통한 계열화 │ ○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기업 │ │ │ ·워크아웃과 6시그마의 결합 - 생산부문은 │ ·기술과 혁신을 통한 삶의 질 향상 │ │ │ 물론 엔지니어링, 거래업무도 품질관리 │ ·고객, 종업원, 사회, 주주에 대한 │ │ │ │ 책임의상호 의존적인 균형 │ │ │ │ ·개인의 책임과 기회 │ │ │ │ ·정직과 성실 │ ├─────┼─────────────────────┼───────────────────┤ │GM │ ·1920년 슬론회장 : 사업부제 도입, 승용차 │ 20세기 미 산업을 이끈 자동차업계의 │ │ │ 생산의 완전라인화, 매년 자동차모델 변경 │ 대부 │ │ │ ·90년대 이후 : 리스트럭처링, 감량경영 │ │ ├─────┼─────────────────────┼───────────────────┤ │휴렛팩커드│ HP WAY(종업원의 창의성 계발과 인간존 │ ○ 멀티미디어 세계 제패 야심 │ │ │ 중의 인본주의 경영) - 이윤추구, 고객만족,│ ·우리 분야에서의 기술적 공헌 │ │ │ 사업확대, 지속성장, 사원존중, 사회봉사 등│ ·HP사람들에 대한 존경과 기회 │ │ │ 7가지 경영목표 │ ·사회공동체에 대한 공헌과 책임 │ │ │ │ ·HP고객에 대한 서비스 │ │ │ │ ·목적과 가치 달성을 위한 수단으 │ │ │ │ 로서의이윤과 성장 │ ├─────┼─────────────────────┼───────────────────┤ │AT&T │ 기술, 인프라, 기획력 │ 정보통신시장 점령한 혁신의 귀재 │ ├─────┼─────────────────────┼───────────────────┤ │타임워너 │ 타임워너, 터너방송의 합병 - 쌍방향 정보전│ 20세기 미국 대중문화의 산실 │ │ │ 달 │ │ ├─────┼─────────────────────┼───────────────────┤ │보잉 │ ·지속적인 품질개선 │ ○ 비행산업의 개척자(지구촌서 │ │ │ ·공정혁신 - 운영위주의 조직,팀·조직으로 │ 5초에 1대꼴이착 륙) │ │ │ 업무수행, 책임의 다양화, 전 조직의 목표 │ ·도전과 위험과의 대결 │ │ │ 부과, 매트릭스 업무추진, 다양한 정보에 │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 │ │ │ 의한 의사결정, 고객지향적 사업추진 │ ·성실과 도덕적인 비즈니스 │ │ │ ·기업문화 - 강인하고 억세며, 일할때 일하 │ ·항공의 세계를 먹고, 숨쉬고, │ │ │ 고 놀 때 놀며, 회사의 운명을 걸고, 과정 │ 잠자는 것 │ │ │ 을 중시 │ │ ├─────┼─────────────────────┼───────────────────┤ │인텔 │ ·컴퓨터표준 리드 │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반도체시장 한 손에│ │ │ ·독특한 경영철학 │ │ │ │ ·연구개발 중시 │ │ │ │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제휴 │ │ ├─────┼─────────────────────┼───────────────────┤ │코카콜라 │ ·베일에 싸인 제조비법, 독특한 광고전략, │ 111년 지켜온 세계의 맛 신화 │ │ │ 진출한 국가에서 생산, 판매케 하는 현지화│ │ │ │ 와 전쟁과 권력까지도 판매무기화 하는 기 │ │ │ │ 업경영철학 │ │ │ │ ·신규시장개척을 위한 3A전략- 판매망확충 │ │ │ │ (Availability), 이윤보장(Affadability), │ │ │ │ 현지적응(Acceptability) │ │ ├─────┼─────────────────────┼───────────────────┤ │암웨이 │ ·다단계라는 독특한 판매기법-광고 안해 가 │ 고품질·봉사정신으로 다단계시장 석권 │ │ │ 격 35% 저렴 │ │ │ │ ·단기적인 이익보다는 지역사회 봉사의 장 │ │ │ │ 기적 사업추진 방식 │ │ │ │ ·가족중심의 신뢰경영 │ │ ├─────┼─────────────────────┼───────────────────┤ │씨티은행 │ ·개도국에 대한 사업확대 │ 소매금융으로 우뚝 선 금융왕국 │ │ │ ·현금입출금기(ATM)도입 │ │ │ │ ·악성상업대출을 대손상각, 스왑거래 │ │ │ │ 등으로위기 극복 │ │ ├─────┼─────────────────────┼───────────────────┤ │월트디즈니│ ·시대를 앞서 가는 감각-캐릭터 상품 │ 변해야 산다 끝없는 창조와 도전 │ │ │ ·맥도널드와의 마케팅동맹 │ │ ├─────┼─────────────────────┼───────────────────┤ │듀폰 │ ·시장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 │ 22세기 내다보는 글로벌 화학기업 │ │ │ 대적 변신 추구-전략사업단위 채택, 연구 │ │ │ │ 개발 최우선 전략 채택 │ │ │ │ ·환경친화경영-프레온 폐기하고 대체 냉매 │ │ │ │ 개발 │ │ │ │ ·셰어즈 프로그램- │ │ ├─────┼─────────────────────┼───────────────────┤ │월마트 │ ·매일 저비용운영과 매일 저가격판매 │ 저비용·저가격 신화로 세계 제패 │ │ │ (Everyday Low Cost, Everyday Low │ │ │ │ Price) │ │ │ │ ·생필품부터 싸게 팔아 소비자에 어필 │ │ │ │ ·통신위성망 이용하는 첨단 영업-상품적재 │ │ │ │ 이동트럭 15분마다 위치추적 │ │ │ │ ·매장·공장 재고·수급상황도 초고속 조절 │ │ ├─────┼─────────────────────┼───────────────────┤ │AT커니 │ ·자문료의 10배 이상 성과 -자문료의 10배 │ 처방에서 실행까지 특유의 턴키 │ │ │ 정도 성과를 내는 조건으로 계약을 하고 │ 솔루션으로 세계 컨설팅업계서 두각 │ │ │ 그 이상의 결과를 거두는 것이 목표. 즉, 1│ │ │ │ 백만원을 자문료로 받으면 고객이 1천만원 │ │ │ │ 이상을 챙길 수 있도록 한다는 실속주의 │ │ ├─────┼─────────────────────┼───────────────────┤ │머크 │ ·20세기초 항생제 페니실린 대량합성과 스 │ 7년 연속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 │ │ 테로이드 관절염치료제, 결핵약 스트렙토 │ 기업선정된 스트렙토마이신의 산실 │ │ │ 마이신 개발로 일약 세계 굴지의 제약회사 │ │ │ │ 로 발돋움 함 │ │ │ │ ·탄탄한 연구개발능력 보유로 인한 타의 추 │ │ │ │ 종을 불허하는 탁월한 신약개발능력 │ │ └─────┴─────────────────────┴───────────────────┘세계 최고의 경영자로 일컬어지는 웰치 회장은 경영이란 우주과학처럼 복잡한 것이 아니다. GE가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진실의 가치를 잘 이해하고, 이를 철저히 실행한 데 있다 라고 말하였다. 이는 기업 성공의 비결이 어떤 특별한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장 기본적인 것, 가장 상식적인 것을 얼마나 잘 실행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덧붙여 영화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 이란 카피와도 같이, 월터 디즈니의 꿈·믿음·도전·실천 이라는 꿈의 경영 방식은 꿈을 통한 창조와 구성원들 간의 협동을 강조하고 있다. 꿈을 잃어 가는 현대인의 가슴에 마음껏 상상한다는 것의 기쁨을 느끼게 해준 것만으로도, 젊음과 늙음의 차이는 나이가 아니라 아직도 꿈을 꾸는 있는가 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면, 그는 언제나 영원한 젊은이로 살아 숨쉬고 있다. 가장 비현실적인 이야기를 통하여 가장 현실적인 부를 성취하게 해준 해리 포터 와도 같이, 꿈을 꾸고, 그 꿈은 꼭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끊임없이 도전함으로써 실천될 수 있다 . 오늘은 디즈니가 꾸었던 꿈속으로 여행을 해볼까? 혹시 인어공주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