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우리한의원장 김 수 범 박사 이제 한여름를 느끼게 한다. 거리에는 반소매와 반바지를 입고 다니는 사람이 많아졌다. 어디를 가도 에어콘을 틀어놓아야 시원한 것을 느낀다. 무더운 날씨에 일이 손에 잡히지 않으며, 마음은 이번 여름휴가를 어디로 갈 것인가 고민을 한다. 여름은 일년 중에 가장 더운 계절이다. 가만히 있어도 답답하고 열이 나며, 찬물이나 시원한 맥주를 벌컥 벌컥 마시고 싶다. 누구나 무더운 날씨를 피하여 시원한 곳에서 편하게 있고 싶은 마음일 것이다. 사람들은 항상 자기 중심으로 생각을 한다. 자신이 더우면 남들도 똑같이 더울 것으로 생각을 한다. 하지만 실제 느끼는 여름은 체질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 사상체질적으로 여름은 소양의 특성을 갖고 있다.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나고 가장 왕성한 때로써 가장 절정의 상태이다. 날씨도 소양의 열이 많은 특성과 같이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찌는 듯하다. 사계절과 비교를 하여 보면 이해가 쉽다. 봄의 맑고 발산하는 생명력이 왕성한 기운은 시원한 성질의 태양의 기운이다. 여름의 무덥고 번창하는 기운은 열이 많은 소양의 기운이다. 가을의 식욕이 땡기고 기가 흡수되는 기운은 따듯한 성질의 태음의 기운이다. 겨울의 움츠리고 저장하며 추운 날씨가 계속되는 것은 찬성질의 소음의 기운이다. 그렇다면 열이 많은 소양인은 열이 많은 여름이 생활하기가 편한 때인가? 그렇지 않다. 오히려 반대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속한 계절보다는 반대의 계절이 생활하기가 좋다. 발산의 기가 강한 봄에는 흡수기능이 강한 태음인이 생활하기가 편하고 무더운 여름에는 몸이 찬 소음인이 생활하기가 편하고 흡수하는 기운이 강한 가을에는 발산하는 기운이 강한 태양인이 생활하기가 편하고 추운 겨울에는 열이 많은 소양인이 생활하기가 편하다. 그래서 여름에는 소양인이 가장 생활하기 힘든 때이고 소음인 생활하기가 편하다. 계절의 특성을 알고 자신의 체질에 따라서 생활을 한다면 무더운 여름을 건강하고 보람차게 보낼 수 있다. 직선적이고 창의력과 순발력이 있고 열이 많은 소양인은 무더운 여름이 되면 가장 힘들어한다. 봄까지만 하여도 그럭저럭 보내다가도 여름이 되면서 아무 이유없이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프며 얼굴이 붉어진다. 심하면 여드름이나 피부의 반점 아토피 증세도 나타난다. 사소한 일에도 쉽게 화를 내며 남들과 다투는 일도 많아진다. 항상 시원한 것만을 찾으며 얼음을 씹어 먹을 정도는 되어야 열이 가신다. 소양인의 열이 많은 것과 자연의 무더운 날씨가 합쳐져 몸에 강하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소양인은 여름이 되면 조심을 하여야 한다. 남들보다 항상 긴장이 되어 있고 쉽게 화를 내며 남들과 다투기를 많이 한다. 활동을 하더라도 무더운 낮에 활동하는 것 보다는 서늘한 오전과 저녁때에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음식은 술, 고열량의 육류, 과식, 매운 음식을 피하고 시원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여름에 보양을 한다고 삼계탕이나 보신탕을 먹으면 더 열이 날 수 있다. 육류를 먹는다면 돼지고기나 오리고기를 이용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가장 좋은 것은 신선한 녹황색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는 것이다. 신선하고 싱싱한 녹황색 야채나 오이, 호박, 가지, 상추 등이 좋다. 여름에 많이 나는 수박, 참외, 딸기, 포도 등과 열대과일인 파인애플, 메론, 바나나 등도 몸의 열을 내리며 갈증을 풀어준다. 보양식으로는 임금님이 삼복음식으로 먹었다는 임자수탕을 먹으면 좋다. 참깻국에 오리고기와 국수를 넣어 시원하게 먹는 음식으로 열을 내리고 음기를 보해주는 보양식이다. 다음으로 힘든 체질은 태양인이다. 저돌적이고 오직 앞으로만 나아가며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참지 못한다. 봄보다는 조금 안정이 되지만 아직도 발산하는 기가 강하여 여름에도 힘이 든다. 사소한 일에도 흥분을 하면 속이 미식거리거나 심하면 토하는 증세가 나오기도 한다. 아무 이유없이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세가 나타날 수도 있다. 태양인은 기가 강한 오전과 뜨거운 낮에는 활동을 피하고 오후와 저녁때에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일을 벌리는 것보다 하나 하나 확인을 하여 서두르지 않고 진행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남들과 다투거나 화를 내는 것도 특히 안 좋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음식은 시원하면서 담백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붕어를 맵지 않게 탕이나 요리로 먹거나 시원한 메밀국수를 먹는 것이 무더운 여름을 나는 비결이다. 또 새우, 조개, 해삼, 게 등을 시원하게 먹는 것도 좋다. 과일은 포도, 머루, 다래, 키위 등을 먹으면 기를 내려주고 마음을 안정시킨다. 여름의 보양식으로는 시원하면서 기를 내려주는 해삼탕을 먹으면 좋다. 여름만 되면 땀을 너무 많이 흘려서 힘들어하는 태음인들은 오히려 땀이 안 나면 열이 발산되지 않아서 더욱 힘들다. 무더운 여름이 땀이 많이 나서 불편은 하지만 기혈의 순환이 잘 되므로 몸은 가볍다. 그러나 평소에 열이 적은 사람은 큰 문제가 없지만 비만하고 얼굴이 붉고 시원한 음식만을 찾는 태음인들은 열이 많아서 힘이 든다. 특징이 얼굴과 머리에만 땀이 나고 얼굴이 검붉은 경우가 많다. 태음인은 운동을 하여 땀을 죽 내주는 것이 몸의 기혈의 순환도 잘되고 열을 빼주는 방법이다. 날씨가 덥다고 행동하기를 싫어하고 많이 먹는다면 몸이 더욱 피곤해진다. 여름의 보양식이라고 보신탕이나 삼계탕을 먹으면 열이 더 많아져서 변이 냄새가 독하게 나고 얼굴과 가슴에 열이 생기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음식은 과식하지 않는 것이 좋다. 원래 식욕이 왕성하여 과식을 하다보면 성인병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술, 기름진 음식, 단음식 등은 피하고 맑은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버섯류, 콩류, 미역, 김 등의 해조류를 먹는 것이 건강식으로 좋다. 삼복더위의 보양식이라면 전통적으로 먹던 음식이 있다. 다름 아닌 우리가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육개장이 바로 삼복더위의 음식이다. 기름을 제거하고 맵지 않고 먹는 담백한 육개장은 태음인의 여름보양식이다. 꼼꼼하고 내성적이고 몸이 찬 소음인들도 더위를 적게 타며 여름에 오히려 따뜻한 것을 느낀다. 늦은 봄까지도 추위를 느끼거나 초가을만 되어도 추워서 내의를 입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에는 무더운 삼복더위에도 추워서 긴소매를 입기도 한다. 에어콘을 강하게 틀어놓은 은행이나 사무실에 가면 오히려 추위를 느낀다. 남들이 더워서 힘들어 할 때에 따뜻한 것을 느끼는 체질이다. 그러나 과로를 하거나 너무 뜨거운 곳에서 생활을 하면 땀이 나면서 탈진이 되기도 한다. 소음인이 따듯한 것을 좋아하지만 여러 원인에 의하여 식은 땀이 나기시작하면 정신이 없을 정도로 할동을 못한다. 몸이 쫙 가라않고 의욕이 없으며 밥맛도 없어서 무기력상태에 빠진것이다. 흔히 삼복음식으로 삼계탕과 보신탕을 먹어서 효과를 볼 수 있는 체질이 바로 소음인이다. 소음인의 양기를 도와주며 몸을 따뜻하게 하여주고 소화흡수가 잘 되어 삼복더위를 건강하게 넘길 수 있다. 음식은 소화가 잘 되고 차지 않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날씨가 덥다고 너무 찬 것을 먹거나 조금이라도 상한 음식을 먹으면 배탈이 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속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찹쌀, 차조 등을 넣어 먹으며 소화가 잘 되고 따듯한 조기, 갈치, 생태탕, 추어탕 등을 먹으면 좋다. 음식은 위장에 부담이 안가는 정도로 파, 마늘, 생강, 고추 등을 먹는 것도 식욕을 돋구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비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