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의 본질과 전망(1) - 무역전쟁의 기원
BY 홍익희 2018.09.14
조회 11677 121편. 무역전쟁의 기원
이번 무역전쟁의 본질을 파악하고, 향후 전망을 하려면 과거로부터 이야기를 풀어야 한다.1907년 공황
1906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는 8.3도 규모의 대지진이 발생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컸다. 이 시기 샌프란시스코 화재보험의 절반가량은 영국회사 보험이었다. 이때 영국에서 보험료 지급을 위해 유출된 금의 양은 영국이 보유한 금의 14%에 달했다. 금본위제 국가였던 영국의 금 유출은 심각한 통화감소를 가져와 잉글랜드은행은 금 회수를 목표로 재할인율을 4%에서 7%로 크게 올렸다. 영국의 금리상승은 미국의 금 유출을 야기해 미국은 유동성 부족으로 결국 1907년에 공황이 발생했다. 곧 기축통화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교역 상대국들의 유동성을 빨아들여 외환 위기나 공황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에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이다.케인즈의 선견지명
1차 대전 직후인 1918년 파리강화회의에서 영국 대표단의 케인즈는 독일에 1,320억 마르크라는 천문학적인 배상금을 물려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으나 거부되었다. 그는 회의에 참가한 각국 정치인들이 이기적인 자국 정치논리를 앞세워 경제를 무시하는 무지한 행태에 충격을 받고 분노했다. 그는 이듬해에 쓴 <평화의 경제적 결과>라는 책에서 연합국 지도자들을 강력하게 비판하며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정치가 아니라 금융과 경제라는 사실을 한 사람이라도 제대로 이해했더라면… 아직 시간이 있을 때 흐름을 이로운 쪽으로 돌려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929년 대공황,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스무트 - 홀리 관세법’의 악몽
미국 경제사학자 존 스틸 고든은 저서인 월스트리트 제국에서 "대공황은 29년 10월 29일 주가 대폭락이 아니라 이듬해 30년 6월 17일 보호무역법인 스무트·홀리법 제정이 불러왔다"라고 주장했다. 1930년대의 대공황을 이끈 핵심은 보호무역주의라는 이야기다. 1929년 대공황이 시작되자 미국 의회는 1930년에 공화당의 스무트 의원과 홀리 의원이 공동 발의한 “스무트 - 홀리 관세법‘을 제정하여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강화했다. 미국산을 우선적으로 써야 한다는 이 법안은 평균 관세를 13%에서 59%로 올리고, 최고 400%의 관세를 매길 수 있게 했다. 경제학자 1,028명이 세계경제가 동반 추락할 수 있다고 결사반대하며 탄원서를 냈음에도 후버 대통령은 그해 6월 법안에 서명했다.
미국의 전횡, 1985년 플라자 합의와 후속 공격
1980년대 일본의 경쟁력 있는 수출에 미국은 심하게 당하고 있었다. 당시 미국의 무역적자의 36%가 일본과의 무역에서 본 적자였다. 미국은 모종의 수를 내야겠다고 생각했다. 결국 미국이 택한 건 환율 압박이었다. 1985년 9월 22일, 미국은 선진 5개국 대표들을 뉴욕 플라자호텔로 불러 모아 이들에게 ‘달러 가치를 하락시키고 엔화 가치를 높이는’ 공동전선을 펴도록 압력을 넣었다. 주 대상은 미국에 대해 무역흑자를 많이 내고 있는 일본과 독일이었다. 특히 일본이 주 타깃이었다. 그해 미국은 1,190억 달러 경상수지 적자를 보았는데 이 가운데 429억 달러가 일본에 대한 적자였다. 이렇게 미국이 시장원리에 맡겨야 할 외환시장에 각국 정부의 개입을 요청한 것이다. 엔화의 경우, 1971년 닉슨 쇼크 때 1달러 360엔에서 시작한 환율이 250엔으로 절상되었다. 그 뒤 달러화 가치는 1985년 9월 1일 달러 당 237엔에서 1988년 1월 127엔까지 하락했다. 2년여 사이에 엔화 가치는 2배 가까이 올랐다. 이를 현재 상황에 비추어 생각하면 얼마나 큰 변화였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의 비극’은 여기에서 싹텄다.
최신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