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원가회계 김반장입니다. 원가 담당자는 매월 원가결산을 통해 원가와 손익을 마감합니다. 원가결산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두 개의 보고서를 꼽는다면 당연히 제조원가 명세서와 재고자산 수불부입니다. 오늘은 원가결산 마감에서 가장 중요한 재고자산 수불부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리고 그 상세 내역을 어떻게 추적하는지 등 중요한 특징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고자산 수불부의 역할
기업은 정상적인 운영 활동 과정에서 제품, 반제품, 원재료, 부재료, 저장품(설비 수선·유지품), 상품 등 다양한 재고자산을 필수적으로 보유하게 됩니다. 제품 재고가 없어 고객 주문에 즉각 대응하지 못해 판매 기회를 놓칠 수도 있고, 원부재료의 부족으로 제품 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과다한 잉여 재고가 발생해 장기 진부화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어느 장소(사업장, 공장, 창고, 야드 등)에 어떠한 재고 품목이 얼마나 있는지, 즉 현 재고량(On-Hand Quantity)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 재고관리를 목표로, 기업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생산관리 시스템),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자동창고관리 시스템)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데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기반의 통합 재고관리를 통해 재고자산의 다양한 입출고 거래를 관리하고, 현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고객 주문, 생산 스케줄링, 자재 소요계획 편성 및 구매 주문 등의 의사결정에 활용하게 됩니다. 원가 담당자는 월 중에 발생된 재고자산의 입출고를 모아 월 단위의 재고자산 입출고 장부를 구성하는데, 그 장부를 재고자산 수불부라고 합니다. 재고자산 수불부는 기업이 운영하는 다양한 재고자산 품목(Material, Item) 단위로 원가결산 기간(1개월) 중에 발생된 운영 부문의 거래 일자별 재고자산 입고, 출고, 이동, 대체 거래 실적을 집계하여 기초재고, 당기입고, 당기출고, 기말재고 형태로 구성한 재고자산 장부 또는 보고서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 중 외부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하여 제품 생산에 투입하는 품목인 원부재료 수불부의 일반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월 말, 즉 당월 초(1일) 재고에 당월 중 구매 또는 생산에 의해 입고된 재고를 더하면 당월에 가용한 재고 총량이 됩니다. 여기에 생산 또는 판매를 위해 출고한 재고를 빼면 월말에 창고·야드에 보관 중인 기말 재고가 됩니다. 이를 공식으로 표현하면 기초재고 + 당기입고 = 당기출고 + 기말재고 가 됩니다. 원가 담당자는 매월 원가결산을 통해 위 모습과 비슷한 형태의 재고자산 수불부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합니다. 물론 ERP 시스템을 잘 구축한 회사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재고자산 수불부를 편성하겠지만, 그 수불부 속의 데이터에 문제가 없는지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성을 검증하는데 많은 시간을 쓰고 있습니다. 그럼 왜 이런 재고자산 수불부를 만들어야 할까요? 재고자산 수불부의 중요한 역할은 재고자산의 입고(구매, 생산), 출고(재료비 및 매출원가) 및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에 있습니다. 모든 재고에 꼬리표를 달아 그 금액을 추적해서 관리하기에는 창고의 공간 및 관리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재고자산을 평가하는 방법은 일련의 가정(Assumption)입니다. 앞선 포스팅 글
재고자산의 평가는 왜? 어떻게?에서 설명한 이동평균법, 총평균법, 선입선출법, 표준원가법 등의 재고자산 평가방법은 재고자산 수불부를 구성하는 대전제라 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기업이 정한 원가계산 제도와 재고자산 평가방법에 맞추어 재고자산 수불부 구성의 목적과 방향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2) 재고자산 수불부의 중요 특징
① 재고자산 수불부는 사업장(공장) 단위 편성
원가 담당자는 원가결산 마감을 위해 월 단위 재고자산 수불부를 반드시 구성해야 합니다. 그럼 현장의 운영 담당자는 기간 단위의 재고자산 수불부가 필요 없을까요? 당연히 필요합니다. 현장 담당자도 한 달 동안 발생한 재고의 입출고를 집계해 기초 + 입고 - 출고 = 기말의 형태로 재고자산 수불을 요약하길 원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실무에서 재고자산 수불부를 누가 만들 것인지 그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럼 원가 담당자가 편성하는 재고 수불부와 현장 담당자가 요구하는 재고 수불부는 어떻게 다를까요? 원가 재고자산 수불부는 사업장 또는 공장 단위 실적을 기준으로 수량뿐만 아니라 금액을 함께 평가합니다. 기초 + 입고 - 출고 = 기말의 금액 정합성 측면에서 원가 재고 수불부의 금액과 운영 부문의 발생 원천 금액에 단 1원의 차이가 발생해도 기업 결산에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 금액 정보의 정합성 검증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에 반해 현장의 재고 수불부는 사업장/공장 내 창고(야드) 단위의 수량 중심으로 구성하며 금액은 다소 틀려도 문제가 되지 않는 단순한 참조 정보입니다. 재고자산 평가방법이 개별법이 아닌 이상 공장 내 동일한 재고 품목은 그 저장위치(창고, 야드)가 달라도 동일한 단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또한 현장 담당자의 입장에서 구매입고는 입고로, 구매반품과 구매취소는 출고로 반영해도 기말재고 수량 계산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원가 담당자의 입장에서 구매입고는 입고 가산, 구매반품과 구매취소는 입고 차감으로 입고 부분에서 가감해야 총평균법에 의한 재고평가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ERP 시스템에서 재고 입출고 유형 중 공장 내 창고(야드) 간 이동대체는 재고 입출고 회계처리 대상이 되지 않는 것도 원가 재고 수불부는 공장 단위로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② 재고자산 수불부는 재고자산 유형별 총계가 아닌 개별 품목 단위 편성
재고자산 수불부는 운영 부문의 개별 품목(Material, Item) 단위로 구성합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 원가 실무를 시작하는 담당자의 입장에서 재고자산 수불부의 용어도 낯선데 대량의 품목 단위 재고자산 수불부를 보면 다소 놀라게 됩니다. 대학에서 원가회계를 공부할 때 재료비는 공장 전체의 원재료를 기초 + 입고 - 기말로 계산하여 산출한다고 배워 문제에서 알려준 재료비로 제조원가만 계산하면 되었는데, 실무에서는 수많은 원부재료 품목 단위로 그 재료비를 직접 계산해야 합니다. 재고자산 수불부를 보면 수량의 합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개별 품목 단위로 관리(측정) 단위가 g, Kg, Ton, 개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단위가 다른 수량의 합은 의미 있는 숫자가 아닙니다. 위 재고자산 수불부 예시를 보면 수량 칼럼에 총계가 없는 이유가 관리 단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일한 품목에 대해 입출고 거래가 g, Kg, Ton으로 다양하게 발생된다면 해당 품목 마스터에 등록된 기본 단위로 자동 환산해서 재고수량 집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③ 재고자산 수불부 구성을 위한 원가 수불유형 관리
구매, 생산, 물류(출하), 영업 등 운영 부문에서 다양한 유형의 재고 입출고 거래가 발생합니다. ERP 시스템마다 부르는 이름은 다소 상이하지만 반드시 거래(이동) 유형을 표준화하고 그에 맞추어 자동 회계기표가 이루어지도록 기능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SAP 시스템 내 재고자산의 입고, 출고, 대체(이동) 거래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유형(Movement Type)의 예입니다.

위에서 볼 수 있듯 이러한 ERP 거래(이동)유형은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원가 재고자산 수불부의 구성을 위한 원가 수불유형을 사전에 정의하고 운영 부문의 거래(이동)유형과 연결하여 실적을 재구성합니다. 원가 재고자산 수불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불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고자산 수불유형]
수불분류 |
수불그룹 |
수불유형 |
기초 |
기초재고 |
기초재고 |
입고 |
구매입고 |
구매입고 |
구매반품 |
유상사급입고 |
생산입고 |
생산입고 |
생산입고(무상사급) |
재작업입고 |
재작업출고 |
생산입고(차감) |
무상사급입고 |
대체입고 |
공장간대체입고 |
사업부간대체입고 |
품목대체입고 |
속성대체입고 |
기타입고 |
유형자산대체입고 |
기타입고 |
수불분류 |
수불그룹 |
수불유형 |
출고 |
생산출고 |
생산출고 |
무상사급출고 |
판매출고 |
판매출고 |
판매반품 |
유상사급출고 |
대체출고 |
공장간대체출고 |
사업부간대체출고 |
품목대체출고 |
속성대체출고 |
기타출고 |
제조비용대체출고 |
총원가대체출고 |
매출원가대체출고 |
유형자산대체출고 |
기타출고 |
기말 |
기말재고 |
기말재고 |
④ 재고자산 수불부 검증을 위한 원천 거래 추적
재고자산 수불부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입출고 거래에 대한 운영 부문의 원천 거래 추적이 필요합니다. 구매입고, 구매반품은 구매팀의 구매주문서(Purchase Order)와 매입송장(Invoice)으로, 생산입고 및 생산출고는 생산팀의 생산작업지시(Production Order, Work Order)로, 판매출고는 영업팀의 고객주문(Sales Order)과 물류팀의 출하지시(Delivery Order)로, 공장 또는 사업장 간 이체는 대체지시(Stock Transfer Order, Movement Order)로와 같이 재고 입출고의 원천이 되는 문서로 추적이 가능하도록 연계하여 관리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고자산 수불부의 기말재고에 대해 정물일치(정보와 실물의 일치) 관점에서 창고별로 실물 재고가 존재하는지 정확성 검증을 위한 주기적인 재고 실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⑤ 재고자산 평가 및 원가계산 방법과 재고자산 수불부의 관계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ERP 시스템은 실시간 운영과 재무/관리회계의 통합을 목표로 외부 구매품(원부재료, 저장품, 상품)은 순간 이동평균법을, 자가 생산품은 표준원가법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ERP 시스템이 기본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기업은 월중 재고자산의 입출고 거래(Material Document)에 이동평균단가 또는 표준원가를 적용해 실시간으로 입출고 금액을 계산하고 자동으로 회계전표(Accounting Document/Journal)를 만들어 GL 시산에 반영합니다. 재고자산 수불부는 해당 입출고 금액을 월 단위로 정확히 집계해 요약하는 역할을 우선적으로 수행합니다. 그러나 기업회계기준은 표준원가에 의한 재고자산 및 매출원가의 평가를 용인하지 않으며, 월중에 발생한 표준원가차이를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재고자산과 매출원가로 배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가 담당자는 월 결산 시 각종 운영 실적(매출/구매/생산 실적 확정)과 제조비용(노무비, 감가상각비, 유틸리티비 등 각종 생산 비용)이 마감되면 표준과 실제의 원가 차이를 출고(생산출고, 판매출고)와 기말 재고에 배분하여 총원가법에 의한 실제원가를 재계산합니다. 월중 발생한 표준원가 차이를 집계해 배부하는 기준이 재고자산 수불부가 되며 이 과정을 거치면 실제원가 기준의 재고자산 수불부가 최종 완성됩니다. 그럼 ERP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이동평균단가와 표준원가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재고자산 수불부를 편성해야 할까요? 해당 기업의 경우 월중에 발생한 재고자산의 입출고 수량만을 기준으로 재고자산 수불부를 우선 편성한 후 월말 운영 및 비용 실적이 마감되면 그때 실제원가 계산 과정을 거쳐 재고자산 금액 수불을 편성하고 관련 원가결산 마감 전표를 생성해 최종 회계기표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재고자산 수불부를 편성하는 논리적인 관점에서 보면 월중 표준원가 운영에 의한 재고자산 수불부 구성 방식이 월말 실제원가 기준의 재고자산 수불부를 계산하는 방식에 비해 많이 어렵지만, 실시간 물류와 재무의 통합으로 전제로 하는 ERP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면 월중 표준원가(자가생산품)와 이동평균단가(외부구매품)의 적용이 그 취지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ERP 시스템 중 SAP ERP만이 표준원가 차이배부에 의한 실제원가 계산(재고수불 구성)을 기본 기능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다른 ERP의 경우 표준원가 기능만을 제공하거나 월말 실제원가 기반의 재고수불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별도 개발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원가결산에서 가장 중요한 재고자산 수불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생산하는 품목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 엑셀 기반의 수작업 구성이 가능했지만 다품종 소량생산 체계로 변화하는 기업 현실 속에서 ERP 시스템 내 재고자산 수불부의 구성은 필수입니다. 물론 재고자산 수불부의 구성의 필수 대전제는 현장의 재고 입출고에 대한 정확한 실적 관리입니다. 판매 생산 규모가 점차 확대되는 기업이 ERP 시스템을 신규 도입하거나 전면 재구축하려는 중대한 이유 중 하나가 재고자산의 통합 관리가 아닐까 생각하면서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