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회계 김반장] 제조원가 배부는 왜? 어떻게?
BY 김대수 2023.09.21
조회 3104 7
1) 제조비용의 성격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마케팅, 연구개발, 구매, 생산, 물류, 영업, 서비스, 경영관리, 경영지원 등 여러 운영 조직에서 다양한 경영활동을 수행합니다. 제품 생산을 위해 원부재료 및 저장품(Material)을 구매하여 생산에 투입하고, 제품 생산, 지원 및 공장 관리를 위해 임직원에 대한 각종 인건비(Man)가 발생합니다. 또한 각종 생산 설비와 기계장치(Machine)의 가동을 위한 유틸리티(전력, 수도, 가스 등) 및 수선유지 비용, 제품 판매를 위한 각종 영업 및 물류 비용 등 다양한 비용(Money)의 소비가 이루어집니다.
2) 제조원가 배부
제조원가 배부는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원가계산을 위해 다양한 원가중심점(Cost Center, 부서)에서 발생한 제조비용을 인과관계, 수혜기준, 부담능력 등을 고려하여 정한 합리적인 배부기준(Cost Driver)과 배부경로(Allocation Path, Cycle)를 이용하여 원가대상(Cost Objects)에 배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제조원가 배부를 위해서 기업 내 비용 발생의 원천이 되는 각 부서(원가중심점)의 유형과 업무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각 부서(원가중심점)는 수행하는 업무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공장 회계팀, 노무관리팀 등 공장 또는 사업장의 경영 관리를 담당하는 사업장 공통 부문, 설비보전팀, 공무팀, 생산관리팀 등 제품의 원활한 생산을 지원하는 생산지원 부문, 생산 직접 공정을 담당하는 생산직접 부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생산을 담당하지는 않지만 생산직접 부문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공장 공통관리 및 생산지원 조직은 간접(In-Direct) 원가중심점이라 하며, 직접적인 제품 생산 공정을 담당하는 조직을 생산직접(Direct) 원가중심점이라 합니다. 원가중심점별로 발생한 여러 유형의 제조비용을 비용 발생 원천과 배부 원가대상 간 인과관계, 수혜기준, 부담능력기준, 공정성과 공평성 기준 등을 고려해 가장 합리적인 배부 방법과 기준을 정해서 생산직접 원가중심점에서 생산한 제품에 귀속하는 일련의 과정이 제조원가 배부입니다.
① 계정과목 (Account)과 원가요소 (Cost Element)
제조비용은 ERP 재무회계에서 계정과목을 이용하여 회계전표로 처리되며, 원가관리 영역은 해당 제조비용을 원가요소로 재구성합니다. 원가요소는 제조비용에 대한 발생 원천별로 상세 내용을 구분하는 원가분류 항목으로, 크게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하고 각 항목은 다시 원가 비중과 분석 요구를 고려하여 하위 상세 원가요소로 정의됩니다.② 원가중심점 (Cost Center)
원가중심점은 책임 단위별로 비용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게 한 후 실적을 집계하여 결과를분석함으로써 원가 절감 활동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조직 단위로 단순하게 말하면 비용 예산을 편성하고 제조비용이 발생하는 최하 조직 단위입니다. 원가중심점은 역할과 성격에 따라 본사공통, 사업부공통, 공장공통, 생산간접지원, 생산직접 등으로 구분되며 비용 회계전표를 처리할 때 원가중심점을 지정합니다.③ 배부기준 (Cost Driver)
배부기준은 공통비 배부 또는 제품별 원가귀속 시 부문 간 사전에 합의된 합리적이며 원가 발생과 인과관계가 높은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배부원칙 등을 고려해 사전에 정합니다. 예를 들어, 인사팀 제조비용을 배부할 경우 배부받는 원가중심점별 인원 수를 기준으로 배부하고자 한다면 원가중심점별 인원수가 배부기준이 됩니다. 또한 생산직접 원가중심점의 노무비는 제품별로 투입된 생산작업시간을 기준으로 원가대상(Cost Objects; 제품, 반제품, 생산작업지시 등)에 배부하고자 한다면 생산작업시간이 제품별 배부기준이 됩니다.④ 배부경로 (Allocation Path, Cycle)
배부경로는 공통비 배부를 위해 부문 상호 간 인과관계, 수혜부담, 부담능력, 공평성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원가중심점 간의 배부 대상과 순서를 정의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공장 노무관리팀은 전 부문으로, 설비보전팀은 생산직접 부문으로 배부하고자 한다면 어느 원가중심점(누가)이 어떠한 원가중심점(누구)에 업무를 지원하는가를 분석하여 배부하는 From 원가중심점(Sender)과 배부받는 To 원가중심점(Receiver)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배부경로를 정하는 데 있어 원가중심점별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그 성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조원가 배부는 사전에 정의한 배부 기준정보를 활용하여 부문별로 발생된 제조비용을 집계하여 공통비 및 제품별 배부 과정을 거쳐 요소별 원가 → 부문별 원가 → 제품별 원가 순으로 계산됩니다. 월 중에 회계전표를 통해 발생된 부서(원가중심점)별 제조비용을 집계하여 요소별 원가를 계산합니다. 원가중심점 단위로 집계된 요소별 원가 중 공통 및 생산 간접/지원 부문의 제조비용을 사전에 정한 배부단계(순서)와 배부기준을 이용하여 생산직접 원가중심점으로 공통비용을 배부하고, 다시 제품별 배부 과정을 통해 해당 생산직접 원가중심점에서 생산한 제품/반제품(또는 생산작업지시)으로 제조원가를 최종 귀속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가결산 단계 중 제조원가 배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업에 따라 운영하는 부서(원가중심점)가 많고 배부 경로와 단계가 복잡한 경우 반복적인 제조비용 배부 및 검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최대한 자동화하는 것이 업무 효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모쪼록 다가오는 가을 잘 즐기시길 바라며 모두 건강하세요.
최신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