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빼고 다 오른다 : 물가상승의 요인 추적
BY 택스넷 2023.10.11
조회 827 4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2%대를 보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들어 3.4%를, 9월에는 3.7%를 기록했으며, 생활물가지수는 4.4% 올라 한국은행측에서 전망했던 예상 상승률을 웃도는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와 생활물가지수는 무슨 차이일까?
국제적인 기후위기 탓에 원료·생산재·식량 등의 생산에 영향을 미쳐 공급감소에 대한 우려가 높습니다. 이는 세계 경제 흐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 국내에서는 지난 7월 집중호우 및 8월 폭염 ·태풍 등 기상 영향으로 채소류·과일류 가격이 높은 폭으로 상승해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수이다. 2020년을 기준(100)으로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품목 458개를 대상으로 산출한 종합소비자물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 생활물가지수 생활물가지수란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물품과 기본 생필품을 대상으로 작성된 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이다. 소비자물가의 조사대상이 되는 품목 중에서 쌀, 배추, 쇠고기처럼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기본 생필품 14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한 지수이다.

국제유가와 물가상승의 상관관계
국제유가와 물가 상승 간의 관계는 복잡하며 다양한 영향을 받는 경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이 두 변수 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산비용 증가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에너지 비용이 증가합니다. 이는 생산 및 운송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생산 및 운송 비용이 증가하면 기업들은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재 가격 영향 국제유가의 상승은 연료 및 에너지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소비재의 가격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 지출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 필수품들이 에너지 의존적인 경우 이러한 영향이 강조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압력 국제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에너지 가격은 생산 및 운송 비용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다양한 부문에서의 가격을 올릴 수 있습니다.
- 통화 가치 하락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수출 수입 균형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통화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으며, 이는 수입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수요와 공급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고 수요가 늘어날 때 국제유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가 성장하면 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이에따라 기업들이 가격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 하다면 가격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어 유가를 넘어서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후위기와 물가
기후위기와 물가는 다양한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기후위기와 물가 간의 일반적인 영향들에 대한 몇 가지 요소들입니다.- 자연재해와 농업 생산 기후변화는 자연재해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폭염, 가뭄, 홍수 등은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농업 생산량의 감소는 식품 공급 부족과 더불어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에너지 가격 변동기후위기와 관련된 이슈로는 에너지 생산 및 소비의 변화가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이나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규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가격의 변동을 초래하고, 이는 소비재와 서비스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자연재해와 생산설비 파괴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생산설비와 기반 시설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재건 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기업의 생산비용과 제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재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생산설비의 파괴는 실업률에도 영향을 미쳐 생산력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보험 및 금융 부담 빈번한 기후 관련 자연재해는 보험 및 금융 시스템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보험료의 상승 및 금융 시장 불안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 부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친환경 기술 및 정책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친환경 기술의 개발과 도입은 새로운 비용과 투자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부 산업의 생산비용을 올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물 부족과 가격 상승 기후위기로 인한 물 부족은 농업 및 산업 부문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물 부족은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고, 이는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정책 변화와 물가 조절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정책의 변화는 산업 및 에너지 부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비용, 에너지 가격, 환경 규제 등에서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신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