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처리특례법 |
진행차선의 장애물을 피하기 위한 경우 중앙선침범 여부
|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예외사유
|
범칙금이란 어떤 것인지
|
즉결심판에 불복하는 경우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적용 여부
|
연습운전면허받은 자가 혼자 운전한 경우 무면허운전인지
|
주차장에서의 음주운전이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인지
|
도로교통법상 음주측정불응죄 성립 여부
|
호흡측정기 음주측정결과가 음주운전의 절대적 증거인지
|
음주측정수치가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숨을 불어넣은 경우
|
대학 구내에서 음주운전한 것이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인지
|
손수레를 끌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자가 보행자인지
|
횡단보도상에 누워있는 사람을 충격한 경우의 형사책임
|
횡단보도상의 적색신호시에 횡단하는 자를 충격한 경우
|
녹색등화가 점멸되고 있을 때 횡단보도 진입 후 사고당한 경우
|
횡단보도상 사고 발생시킨 운전자가 구속되지 않을 수 있는지
|
편도 1차로에 정차한 버스 앞서려고 황색실선 중앙선 넘어간 경우
|
유턴 등을 위해 중앙선 넘어 반대차선으로 들어간 경우
|
가상의 경계선인 중앙선을 넘은 경우 중앙선침범 사고인지
|
중앙선을 넘다가 다시 넘어오던 중 사고 낸 경우에도 중앙선침범 사고인지
|
절취한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손괴한 경우의 형사책임
|
피해자를 병원에 후송 후 연락처를 남기지 않은 경우 도주인지
|
교통사고 후 처에게 뒤처리를 부탁하고 현장 이탈한 경우
|
교통사고 후 구호의무를 위반하고 도주한 경우의 가중처벌
|
교통사고 피해자의 상해가 경미하여 구호조치 않은 경우
|
차량운행중 충돌느낌을 받고도 확인 안한 경우 도주인지
|
경찰에 의해 피해자와 함께 병원에 후송된 후 말 없이 나온 경우
|
피해자와 합의중 사정상 운전면허증만 주고 간 경우
|
구호조치 취함없이 목격자인 양 행동한 때 도주운전죄 여부
|
부정수표단속법 |
빌려준 당좌수표 부도처리시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의 책임자
|
수표발행자가 피사취신고를 한 경우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여부
|
백지수표가 부도난 경우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여부
|
백지수표를 보충한 자도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처벌되는지
|
백지보충권 소멸시효 완성 후 보충된 수표 부도된 때 처벌 여부
|
부도수표를 회수할 경우 형사책임을 면할 수 있는지
|
수표부도 후 변제공탁 한 경우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여부
|
발행한도액 초과한 가계수표가 부도된 경우 형사처벌
|
수표가 지급거절된 경우에도 처벌되지 않는 경우
|
기타 |
아르바이트 학생의 도박개장죄 등 처벌 여부
|
농지로 사용불가능한 밭을 건축자재 야적장으로 사용한 경우
|
생활한복이 저작권법의 보호대상이 되는 저작물인지
|
차량 이용한 운전방해가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폭행한 것인지
|
대가받고 대리로 입찰표를 작성ㆍ제출한 경우 변호사법 위반인지
|
손해사정사가 보수받고 피해자대리로 보험금청구 등을 한 경우
|
변호사사무원이 선임료의 일정비율을 받고 사건 알선한 경우
|
행정사가 고소장을 업무로 작성하면 법무사법 위반이 되는지
|
컴퓨터내장 프로그램을 타인이 복제한 경우 절도죄인지
|
음란한 영상화면을 컴퓨터통신망을 통하여 판매한 경우
|
유사성행위의 처벌 가능 여부
|
공무원이 형사처벌받아 그 신분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
|
임금을 체불한 경우 명의상 대표이사도 형사책임을 지는지
|
임금을 지급하지 못할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
|
세금을 체납하여 조세범처벌법 위반으로 처벌되는 경우
|
영업양수 후 식품위생법상 영업자지위 승계신고 못한 경우
|
타인자식을 출산하고도 국가유공자의 처로서 보상을 받은 경우
|
금융기관 임원이 지위를 이용하여 대출받아 대여한 경우
|
경제적 사정으로 체납한 것이 조세범처벌법상 정당사유인지
|
사실혼관계 인척이 성폭력범죄처벌법상의 사실상의 친족인지
|
중혼적 사실혼관계 인척도 성폭력범죄처벌법상 사실상의 친족인지
|
강간 후 스트레스장애가 성폭력범죄처벌법상의 상해인지
|
청소년과 함께 온 성년자에게 주류 판매시 청소년보호법 위반 여부
|
성년자들의 술자리에 미성년자가 나중에 합석한 경우 청소년보호법 위반 여부
|
청소년보호법상 이성혼숙은 남녀 쌍방이 청소년이어야 하는지
|
기존채무 변제를 신규대출 형식으로 한 때 상호저축은행법 위반 여부
|
공사직원이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가중처벌대상인지
|
협동조합이 비조합원에게 차를 제공하고 운행경비받은 경우
|
허가없이 교통범칙금 대신납부 조건으로 회원모집시 형사책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