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의 성립요건 |
부하직원의 배임행위를 발견하고도 방치한 경우 형사처벌 여부
|
수지침시술행위가 무면허의료행위로서 처벌되는지
|
지압서비스가 의료법상의 의료행위에 해당되는지
|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형법상 정당행위가 되기 위한 요건
|
노동조합원의 찬반투표 없이 한 쟁의행위의 형사처벌 여부
|
스스로 범죄를 범한 자가 긴급피난을 할 수 있는지
|
형사상 미성년자의 법적 책임
|
초ㆍ중등학교 교사의 체벌이 어느 정도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
|
경찰관이 행인의 소지품을 수색한 경우 그것이 정당한 것인지
|
싸움중에 행해진 가해행위가 정당방위에 해당할 수 있는지
|
관리비가 체납된 경우 관리사무소의 단수조치가 정당행위인지
|
법령 오인으로 중개수수료를 초과하여 받은 경우에 법률의 착오인지
|
낙선운동의 경우에도 공직선거법이 적용되는지
|
외국으로 도피하려는 채무자를 저지하다가 상해를 입힌 경우
|
돈을 갚지 않을 때 채무자의 물건을 빼앗아 올 수 있는지
|
위법한 강제연행 과정에서 음주측정 요구에 응하여야 하는지
|
범죄행위중 자의로 범행을 중단했을 경우에도 처벌하는지
|
만취 후 운전하여 교통사고를 낸 경우 심신장애로 인한 감경 여부
|
충동조절장애에 따른 범행을 심신장애로 인한 범행으로 볼 수 있는지
|
운전면허가 취소된 줄 모르고 운전한 경우 무면허운전에 해당되는지
|
형벌 |
형벌의 종류 및 차이문
|
수사를 받던 도중 범죄사실을 진술한 경우 자수감경이 되는지
|
벌금형과 선고유예부 징역형 중 어느 것이 더 중한 것인지
|
집행유예부 징역형과 벌금형 중 어느 것이 더 중한 것인지
|
교통사고로 선고유예를 받았는데 선고유예는 어떤 것인지
|
집행유예의 기간이 경과한 경우 선고유예가 가능한지
|
집행유예기간 만료 직전에 다시 죄를 범했으면 어떻게 되는지
|
집행유예기간중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받으면 어떻게 되는지
|
집행유예기간 경과 후 취소사유가 발각되면 어떻게 되는지
|
집행유예기간중 범한 죄에 대해 다시 집행유예선고 가능한지
|
형을 집행받은 후 오랜 기간이 지나도 전과가 말소되지 않는지
|
두 개의 범죄에 대하여 두 개의 징역형 선고시 집행유예 여부
|
집행유예 선고시 보호관찰과 사회봉사를 동시에 명할 수 있는지
|
재판 도중 집행유예 기간이 경과한 경우 다시 집행유예를 선고할 수 있는지
|
누범이란 무엇인지
|
집행개시 후 집행불능 된 경우 벌금형의 시효가 중단되는지
|
추징금에 기하여 유체동산 압류 후 취소된 경우 시효중단 여부
|
범행과 동일행위에 대해 무혐의 처리되었다면 법률의 착오인지
|
심리기일 통지하지 않아 보조인 출석 없이 한 소년보호처분결정
|
집행유예 판결확정 전 검사가 집행유예 결격사유 알 수 있었던 경우
|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실이 전과기록에 해당되는지
|
집행유예기간 경과 후의 전과기록 말소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