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 |
행위무능력자가 유언을 할 수 있는지
|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의 효력
|
구수증서에 의한 유언의 효력
|
유언의 효력과 관련한 구수(口授)의 의미
|
유언방식에 위배된 피상속인의 상속재산분할방법 지정행위의 효력
|
유언에 참여할 증인의 자격
|
상속 |
사망한 부모의 빚을 공동상속인들이 분할하여 부담할 수 있는지
|
재산상속에 있어서 법정상속인의 상속순위
|
태아도 재산상속을 할 수 있는지
|
양자로 입양된 자가 생부모의 재산을 상속할 수 있는지
|
타인의 친생자로 된 혼인 외의 자가 생모 재산을 상속받는 방법
|
제4관 상속재산과 법률관계
|
적모와 혼인 외의 출생자, 계모자간에 상속권이 있는지
|
남편과 아들이 동시에 사망한 경우 남편 재산의 상속인
|
장인과 처가 동시에 사망한 경우 사위가 장인의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는지
|
조부의 재산을 사망한 부(父)를 대신하여 상속할 수 있는지
|
대습상속인이 될 배우자가 대습상속의 개시 전에 사망한 경우
|
아들부부의 싸움 도중 며느리의 방화로 아들만 사망시 상속권자
|
불륜행위한 처가 남편의 유산을 상속할 수 있는지
|
공동상속인 1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 된 부동산의 회복방법
|
동 순위의 상속인이 태아를 낙태한 경우 상속결격사유인지
|
이혼으로 인한 위자료청구권도 상속이 가능한지
|
이성동복(異姓同腹)의 형제자매도 상속인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
수탁자의 공동상속인에 대한 신탁해지의 방법
|
부의금은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
상속재산관리인 선임청구인에게 보수의 예납을 명할 수 있는지
|
1990.1.13. 개정된 민법 시행 후 상속인의 법정상속분
|
1990.1.13. 개정된 민법 시행 후 상속인의 법정상속분
|
특별수익자의 상속분
|
상속인이 될 자녀 전원이 피상속인의 사망 이전에 사망한 경우 손자들의 상속분
|
피상속인 재산의 증가에 기여한 상속인의 기여분
|
제사용 재산의 승계와 상속회복청구권에 관한 제척기간의 적용
|
특별연고자의 상속재산분여
|
상속재산의 분할방법
|
공동상속인의 일부가 상속등기에 협력하지 않을 경우
|
상속재산분할협의 불성립시 상속재산분할 방법
|
사망한 부모의 빚을 물려받지 않을 수 있는지
|
상속개시 후 인지된 자의 상속재산의 과실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 가부
|
사망자의 생명보험금이 상속포기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
상속포기서 목록에 상속재산이 누락된 경우 상속포기의 효력
|
제1순위 상속인이 상속을 포기한 경우 상속순위
|
미성년자의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권 행사기간
|
상속개시 전 상속포기의 효력
|
공동상속인 중 1인의 행방불명시 소유권이전등기 방법
|
피상속인의 무권대리인이 상속인이 된 경우 무권대리의 효력
|
공동상속인 1인이 자기의 지분에 근저당을 설정할 수 있는지
|
제3자에 대한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 기산일
|
상속회복청구권이 포괄적 유증의 경우에도 적용되는지
|
상속개시 10년 후 상속권을 침해당한 경우 상속회복청구권
|
유류분제도란 무엇인지
|
공동상속인 중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 유류분청구권
|
유증으로 유류분이 침해된 경우 상속인의 구제
|
사인증여무효소송 제기시 유류분청구권의 소멸시효 중단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