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
회사가 도산한 경우 임금 및 퇴직금 채권의 배당순위
|
당직근무가 시간외 근로에 해당되는지
|
프리랜서의 임금체불
|
근로자가 임금채권을 우선변제받으려면 가압류가 필요한지
|
사용자의 재산이 이전된 경우 퇴직금 등 우선변제권 인정 여부
|
배당요구하지 않은 임금채권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
|
임금채권 우선변제권의 추급효 인정 여부
|
경매개시 전 가압류한 임금채권자의 배당기일에서의 우선배당권
|
수급인에게 고용된 근로자의 도급인에 대한 노임우선청구권 여부
|
부도 3개월 이전에 퇴직한 자의 최종 3개월분 임금의 우선변제 여부
|
합자회사 무한책임사원의 재산도 사용자의 총재산에 포함되는지
|
우선변제권 있는 임금채권을 사용자를 대위하여 변제한 자의 지위
|
선원의 임금을 지급받기 위하여 선박우선특권을 실행하는 방법
|
선박우선특권과 임금우선특권 사이의 배당순위
|
노동부에 신고하고도 지급받지 못한 체불임금을 받는 방법
|
퇴직 후 소급 적용 된 임금인상의 효력이 퇴직자에게도 미치는지
|
대한민국 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을 배제하기로 한 약정의 효력
|
퇴직금 |
연봉제 근로계약에 있어서 퇴직금을 별도로 청구 가능한지
|
회생절차가 개시된 회사에 대한 임금 등 청구 가능 여부
|
초과근무를 했을 경우 초과근무수당의 청구가 가능한지
|
동절기 단축 근무시 초과근무의 할증임금 지급 여부
|
예비군 훈련기간 중 부상시 사용자의 임금지급문제
|
초과지급된 수당의 반환채권으로 임금채권과 상계할 수 있는지
|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임금채권에 대하여 상계하기로 한 약정의 효력
|
회사채권으로 자기회사 직원의 임금채권에 압류를 할 수 있는지
|
임금채권의 양수인이 사용자에게 직접 양수금청구를 할 수 있는지
|
퇴직금의 산정기준과 방법
|
사직서 수리를 고의로 지연한 경우 퇴직시기 및 퇴직금산정기준
|
형식적인 근로관계의 단절 있을 때의 퇴직금산정기간
|
형식적인 주식회사 이사로 근무한 경우 퇴직금청구가 가능한지
|
동일회사 내 계열사로 전적되면서 퇴직금 수령시 퇴직금산정기간
|
노동조합 전임자의 퇴직금산정은 어떤 기준에 의하는지
|
근로자의 요구로 퇴직금을 중간정산한 경우 퇴직금 정산방법
|
회사합병으로 퇴직금이 누진제에서 단수제로 변경된 경우
|
불합격 후 추가 채용되면서 그 사이 변경된 퇴직금규정 적용시 정당한지
|
계속근로하면서 서류상 퇴직과 입사를 반복한 자의 퇴직금청구권
|
퇴직금 산정에 있어서 일부수당이 제외된 경우 위법인지
|
퇴직금에 관한 민ㆍ형사상 일체의 청구를 포기한 약정의 효력
|
법 개정으로 정부특정업무 대행기관의 변경시 종전근로관계 승계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