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성으로 듣기
2024-FSSQA03
【제![]() |
[2024-FSSQA03, 2025.01.09]○직접참가특성이 없는 금리연동형 보험계약의 공시이율예실차 회계처리 |
---|
【현황】 □ 직접 참가특성이 없는 금리연동형 계약에 대해 일반 모형을 적용하며, ㅇ금융위험과 관련된 가정 변동이 계약자에게 지급되는 금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보험계약집합으로 분류 ㅇ또한, 보험금융손익은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세분화 □ 공시이율예실차는 계약자적립금에 부리되는 공시이율의 예상과 실제 차이로서, 실제 공시이율이 예상 공시이율보다 작은(큰) 경우 보험부채 감소(증가) 【질의 사항】 □직접 참가특성이 없는 금리연동형 계약에 대해 당기말 현재 확정된 공시이율로 적립한 계약자적립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경우 ㅇ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 예실차(CSM 처리 제외)로 인한 보험부채 변동을 유효수익률법을 적용하여 OCI로 처리하거나, ㅇ 예상부리이율법상 당기에 부리되는 금액으로 보아 즉시 PL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 【회신】 □귀 질의의 경우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 할인율의 변동효과 등을 포함한 총보험금융수익(비용)을 문단 B132에서 규정하는 체계적 배분을 통해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세분화합니다. 다만 총보험금융수익(비용) 중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 예실차로 인한 보험부채 변동금액만 별도로 산정하여 할인율의 변동효과 등과 달리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수 없습니다. 【판단근거】 □ 관련규정 : ㅇ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문단 87, 87A, 88, 90, 용어의 정의(기초항목), B97, B128, B129, B130, B132, IE165, IE172, BC 342 ㅇ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치 변경과 오류」 문단 13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문단 87에 따르면 보험금융수익(비용)은 화폐의 시간가치 및 그 변동효과와 금융위험 및 그 변동효과로 발생하는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문단 B97에서는 화폐의 시간가치 및 그 변동의 효과와 금융위험 및 그 변동의 효과에 미래 현금흐름 추정에 미친 효과를 포함합니다. 아울러 문단 B128에서는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할 금액 중 일부를 결정하는 기초항목의 가치변동에 의한 보험계약집합의 측정치 변동은 화폐의 시간가치와 금융위험 및 이들의 변동효과라고 설명합니다.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로 인해 미래 현금흐름(계약자적립금) 추정치가 변경되며, 기초항목인 공시이율 변동으로 보험계약집합 측정치가 변동되는 점을 고려할 때,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로 인한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은 보험금융수익(비용)에 해당됩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문단 88(2)에서 규정하는 회계정책을 선택한 보험회사는 금융위험과 관련된 가정 변동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되는 금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보험계약집합에 대해 문단 B132를 적용하여 해당기간의 보험금융수익(비용)을 세분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험회사는 질의 대상 금리연동형 보험계약과 관련하여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를 포함한 총보험금융수익(비용)을 문단 B132에 따라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세분화합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문단 B129에 따르면 보험계약 포트폴리오별로 보험금융수익(비용)을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구분할 때,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문단 13에 따라 특정 범주별로 서로 다른 회계정책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거나 허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거래, 기타 사건 및 상황에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선택하여 일관성있게 적용해야 합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에서는 총보험금융수익(비용)을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세분화하며, 공시이율의 가치변동에 의한 보험계약집합의 측정치 변동은 화폐의 시간가치와 금융위험 및 이들의 변동 효과로 규정한 점 등을 고려할 때, 보험금융수익(비용)을 구성하는 변동 원인별로 서로 다른 회계정책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거나 허용된 경우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로 인한 보험부채 변동금액만 별도로 산정하여 즉시 당기손익으로 처리할 수 없습니다. □ 한편, 질의자가 제시한 사례에 따르면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로 인한 보험부채 변동분을 즉시 당기손익으로 처리할 경우 당기중 발생한 총보험금융수익(비용)이 전액 당기손익으로 처리되어 기타포괄손익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회계처리는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을 세분화하도록 한 체계적 배분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 또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문단 IE165에 따르면 문단 B130(2)에 따라 기업은 계약집합의 듀레이션에 걸쳐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되는 금액의 총합이 영(0)이 되도록 배분하기 위해 부채의 최초 장부금액이 미래현금흐름의 추정치와 같도록 각 보고기간에 적용될 수 있는 일련의 할인율을 계산합니다. 또한 문단 IE172에서는 예상부리이율에 따른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추정치의 변동분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고 언급합니다. 즉 보험금융수익(비용)은 미래현금흐름 추정치를 할인한 보험계약집합 장부금액의 변동으로서 미래현금흐름(계약자적립금 추정치)을 예상부리이율로 할인한 보험부채 변동분을 문단 B132(1)(나)에 따른 당기에 부리되는 금액으로 보아 당기손익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문단 BC342에 따르면 당기장부수익률법 이외 보험계약의 보험금융수익(비용)을 보험계약집합의 측정에 이용되는 이율과 관계없는 할인율을 사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수 없습니다. 즉 예상부리이율에 근거하여 당기손익을 인식하지 않고, B132(1)(가)에 따른 단일률에 근거한 보험금융수익(비용)에 당기중 발생한 공시이율예실차로 인한 보험부채 변동금액을 추가로 가산한 금액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경우 보험계약집합의 측정에 이용되는 이율과 관계되는 할인율로 당기손익을 인식한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참고자료】 ------------------------------------------------------------------------------------------------ ※ 이 참고자료는 "K-IFRS 질의회신"에 대한 이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질의회신 과정에서 검토된 사항이나 관련 기준서 등을 정리한 것으로서, "K-IFRS 질의회신"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Ⅰ. 예상부리이율법 관련 ‘당기에 부리되는 금액’ 해석 1. IASB Staff Paper □ B132의 목적은 IFRS 9의 상각후 원가와 동등한 금액을 효과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며, ㅇ 보고기간말 현재 명시적인 공시이율(explicit crediting rate)을 반영하는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금융비용 인식 ------------------------------------------------------------------------------------------------ ※ IASB Staff Paper [1] IASB Staff Paper : Recognition of the contratual service margin in profit or loss in the general model (‘19.1월) (c) state that if changes in financial assumptions do not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the amounts paid to the policyholder, then any investment service could be regarded as minimal and hence disregarded. This criterion is used in paragraphs B131-B132 of IFRS 17 to determine what amounts should be included in profit or loss when an entity uses the option in IFRS 17 to include some insurance finance income and expenses in other comprehensive income. The objective of paragraphs B131-B132 of IFRS 17 is to identify an amount effectively equivalent to an amortised cost amount applying IFRS 9. In doing this, the paragraphs effectively distinguish between contracts that provide a fixed return and contracts that provide a variable return. [2] IASB Staff Paper : Disaggregating changes arising from changes in market variables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objective (‘15.9월) 17. Accordingly, the staff think that: (c) for contracts in which changes in market variables are expected to affect the nominal amounts paid to the policyholder in most or all circumstances, presenting the insurance investment expense using a discount rate that reflects the extent to which the effects of changes in market variables affects the existing nominal payments to policyholders is consistent with a cost measurement basis. Consequently, the staff think that for some insurance contracts, an insurance investment expense that uses a discount rate that reflects the explicit crediting rate in the reporting period to the policyholder in the period may be appropriate, because that is a faithful representation of a cost measurement basis. ------------------------------------------------------------------------------------------------ ☞ 보험금융수익(비용)은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한 보험부채(BEL)의 변동으로서 미래현금흐름(계약자적립금)을 예상부리이율로 할인한 보험부채(원가 BEL) 변동분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것임 * 시가 BEL과 원가 BEL 차이는 미래에 부리되는 금액으로 보아 OCI 처리 2. 해외 사례 조사 □ 예상 부리이율에 기초한 할인율을 별도 추정하여 체계적 배분 ------------------------------------------------------------------------------------------------ 해외 문헌 및 사례 조사 [1] 국제 보험계리사 협회 : Application of IFRS 17 Insurance Contracts Solve for rates which “amorti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value and the original estimate in proportion to how interest is credited. [2] 미국 보험계리사 협회 : FAQ-indirect Par Contracts Under IFRS 17 In our experience, the projected crediting rate method provides a more level P&L result, as the systematic allocation generates discount rates that are intended to be aligned with projected crediting rates. [3] Allianz IR ------------------------------------------------------------------------------------------------ Ⅱ. 공시이율예실차 효과만 별도 PL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 □ 기준서상 공시이율예실차, 할인율 변동 등 총보험금융손익을 B132에 따라 PL과 OCI로 구분해야 함 ㅇ 즉 보험금융손익의 각 구성요소를 각각 구분하여 PL과 OCI로 회계처리하는 것이 아님 □ 또한, 손익계산서상 미래현금흐름 추정치 변동과 할인율 변동효과는 동일한 위치(same location)에 있어야 한다는 IFRS 17 원칙에 부합해야 함 ------------------------------------------------------------------------------------------------ ※ IASB Update(‘15.9월) Disaggregating changes arising from changes in market variables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objective (Agenda Paper 2B) Cash flows The IASB tentatively decided that, for all insurance contracts, an entity should present changes in estimates of the amount of cash flows that result from changes in market variables in the same location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consistently with the changes in discount rates. ------------------------------------------------------------------------------------------------ |
전체 :
227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