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법 > 보험
제 목 피보험자가 손해배상판결에 항소하지 않아 확정시킨 경우 보험자 면책되는지
갑은 을보험회사와 화물자동차에 관하여 기명피보험자를 갑으로 하는 업무용자동차종합보험계약을 체결하였는데, 병이 무면허로 갑 몰래 위 화물자동차를 운전하다가 정을 사망케 하는 교통사고를 야기하였습니다. 그런데 정의 유족들은 갑과 을보험회사를 공동피고로 하여 정의 사망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의 소송을 제기해 왔으며, 갑은 을보험회사와 별도로 소송대리인을 선임하여 소송을 수행하였고, 제1심 판결 후 갑은 항소를 하지 않았으나, 을보험회사는 항소를 하여 조정이 성립됨으로써 제1심 판결금액을 감액시켰습니다. 그러자 정의 유족들은 을보험회사에 대한 승소금을 수령하고, 그 금액과 갑에 대한 승소금과의 차액을 갑에게 청구하기 위하여 갑의 채권을 압류하였습니다. 이 경우 을보험회사에서 위 차액을 갑에게 지급하여야 되는지.
「상법」제723조는 "①피보험자가 제3자에 대하여 변제, 승인, 화해 또는 재판으로 인하여 채무가 확정된 때에는 지체 없이 보험자에게 그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 ②보험자는 특별한 기간의 약정이 없으면 전항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0일 내에 보험금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③피보험자는 보험자의 동의 없이 제3자에 대하여 변제, 승인 또는 화해를 한 경우에는 보험자가 그 책임을 면하게 되는 합의가 있는 때에도 그 행위가 현저하게 부당한 것이 아니면 보험자는 보상할 책임을 면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 사안과 관련된 판례는 "업무용자동차종합보험약관 제13조 제1항에는 피보험자가 손해배상청구를 받은 경우 피보험자의 동의를 얻어 보험자가 그 소송을 대행할 수 있다고만 규정되어 있을 뿐이어서 피보험자가 반드시 보험자로 하여금 그 소송을 대행하도록 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으므로(피보험자가 소송의 대행을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험자는 보조참가 할 수 있을 것임), 피보험자가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보험자로 하여금 대행하도록 하지 않고 법률전문가인 변호사를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하여 독자적으로 수행하였다고 하여 곧 위 약관조항을 위배하였다거나 또는 피보험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보험자에게 협조하지 않을 경우 그로 말미암아 늘어난 손해에 대하여 보상하지 아니하도록 규정한 약관조항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라고 하면서, "책임보험계약의 피보험자가 보험자의 동의 없이 제3자에 대하여 변제, 승인 또는 화해를 한 경우에는 보험자가 그 책임을 면하게 되는 합의가 있는 때에도 그 행위가 현저하게 부당한 것이 아니면 보험자는 보상할 책임을 면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상법 제723조 제3항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피보험자가 제3자로부터 재판상 손해배상청구를 받아 그 소송에서 손해배상을 명하는 판결을 선고받고 항소하지 않은 채 이를 확정시켰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현저하게 부당한 경우"로 평가되지 않는 한 보험자는 보상할 책임을 면할 수 없으며, 피해자가 피보험자 및 보험자를 공동피고로 하여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의 제1심 판결에 대하여 피보험자는 항소하지 않고 보험자만이 항소하여 항소심에서 제1심 판결 금액보다 감액된 금액으로 조정이 성립되었다는 사실만으로 피보험자의 항소부제기를 "현저하게 부당한 경우"로 평가하여 보험자가 그 차액 상당의 보험금지급의무를 면한다고 볼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대법원 2000.4.21. 선고, 99다72293 판결).

따라서 위 사안에서 을보험회사로서는 갑이 단순히 항소를 하지 않았다는 사유만으로, 정의 유족들이 갑에 대하여 확정된 제1심 판결의 승소금과 제2심에서 을보험회사와 조정이 성립된 금액의 차액을 갑에게 지급할 책임을 면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목록보기

전체 :

0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