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주택임대차 > 주택임차인의 대항력
제 목 임차주택이 양도된 후 임차인의 주소를 이전할 경우 양수인에 대한 대항력
저는 갑소유 주택을 전세보증금 3,000만원에 계약기간 2년으로 임차하여 입주와 전입신고를 마쳤는데, 그 후 갑은 위 주택을 을에게 양도하면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저는 분양받은 아파트의 입주문제로 주민등록을 이전하고자 하는바, 이 경우 주민등록을 이전하여도 을에 대한 대항력에는 영향이 없는지.
「주택임대차보호법」제3조 제1항은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익일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이 경우 전입신고를 한 때에 주민등록이 된 것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3조 제3항은 "임차주택의 양수인(기타 임대할 권리를 승계한 자를 포함한다.)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 한 것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귀하는 입주와 주민등록전입신고를 함으로써 대항력을 취득하였다고 할 것이고, 양수인 을은 갑의 임대인으로서의 지위를 승계 하였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위 사안에서 귀하의 주민등록이 이전되면 이미 취득한 대항력에 영향이 있는지 문제됩니다. 이에 관하여 판례는 "주택의 임차인이 제3자에 대하여 대항력을 구비한 후에 임대주택의 소유권이 양도된 경우에는 그 양수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게 되므로, 임대인의 임차보증금반환채무도 양수인에게 이전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양수인이 임차보증금반환채무를 부담하게 된 이후에 임차인이 주민등록을 다른 곳으로 옮겼다 하여 이미 발생한 임차보증금반환채무가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습니다(대법원 1993.12.7. 선고, 93다36615 판결).

따라서 귀하가 주민등록을 이전하여도 을의 임대인으로서의 지위에는 변함이 없다 할 것입니다. 그러나 귀하의 주민등록이 이전된 후 다시 위 주택을 매수한 매수인, 제3자의 근저당권이 설정되는 경우 그 근저당권자, 또는 위 주택이 경매개시 되어 매각되는 경우 그 경매절차의 매수인 등에게는 임차인으로서의 대항요건이 결여된 상태이므로 대항하지 못한다 할 것입니다.
목록보기

전체 :

0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