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탁공무원의 공탁금회수청구 불수리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이 가능한지
|
추심채무자가 제3채무자에게 동시이행항변을 할 수 있는지
|
회생절차 개시 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회생절차 개시 후 효력
|
전부명령의 기초인 무효인 법률행위에 대한 집행채권자의 부당이득반환의무와 그 방법
|
실제 채무액을 초과하는 액수의 약속어음공정증서에 기한 전부명령의 효력
|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으로 경정한 결정의 효력
|
수 개 전부명령의 피압류채권액이 전부금액 합계액에 미달된 때 배분방법
|
전부명령이 확정된 경우 전부채권자에게 이전되는 피압류채권의 범위
|
금전채권에 대한 강제집행의 불허를 구하는 제3자 이의의 소가 허용되는지
|
한정승인한 상속인의 고유재산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에 대한 불복
|
무효인 공정증서에 의한 강제집행 종료 후 청구이의의 소로 다툴 수 있는지
|
제3채무자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압류 사실의 주장의무를 지는지
|
채권압류 전 피압류채권 대신 부동산을 이전하기로 하는 약정시 압류의 효력
|
피압류채권이 존재하지 아니함을 이유로 한 채무자의 불복 여부
|
사망한 자를 제3채무자로 표시한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효력
|